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51

임제, <원생몽유록> 스크랩 정리 ★ 임제의 에 관한 자료 스크랩 & 중요한 부분 체크 조선 중기에 임제(林悌)가 지은 한문소설. ‘원자허전(元子虛傳)’이라고도 한다. 작자에 대해서는 김시습(金時習)·원호를 주장하는 이설이 있었다. 황여일(黃汝一)의 ≪해월문집 海月文集≫의 기록에 의하여 임제임이 확정되었다. 작품의 제작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작품 말미의 연기(年記)로 추정하면 1568년(선조 1)으로 보인다. 황여일은 이 글에 발(跋)과 제시(題詩)를 붙이고 있다. 꿈을 이용하여 현실을 비판하되 현실의 인물이 꿈 속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는 소설류를 몽유록이라고 한다. 몽유록 계통의 소설은 심의의 을 거쳐 임체의 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원생몽유록은 꿈이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세조의 왕위 찬탈이라는 정치권력의 모순을 폭로하려는 의도를 실행한.. 2020. 8. 20.
채수, <설공찬전> 스크랩 정리 ● 채수, 에 관한 자료 스크랩 & 중요한 부분 체크 설공찬전 : 1511년(중종 6) 무렵 '채수'가 지은 고전소설. 『중종실록』에서는 ‘설공찬전(薛公瓚傳)’,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에서는 ‘설공찬환혼전(薛公瓚還魂傳)’으로 표기하였고, 국문본에서는 ‘설공찬이’로 표기하고 있다. 한문 원본은 1511년 9월에 그 내용이 불교의 윤회화복설을 담고 있어 백성을 미혹한다 하여 왕명으로 모조리 불태워진 이래 전하지 않는다. 그 국문필사본이 이문건(李文楗)의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의 이면에 「왕시전」·「왕시봉전」·「비군전」·「주생전」 국문본 등 다른 고전소설과 함께 은밀히 적혀 있다가 1997년 극적으로 발견되었다. 국문본도 후반부가 낙질된 채 13쪽까지만 남아 있다. ● 줄거리 - 사촌 몸에 들어.. 2020. 8. 20.
고려가요, '청산별곡'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서 살겠노라. 머루랑 다래를 먹고 청산에서 살겠노라.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서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서 울며 지내노라. 날아가던 새(갈던 사래)를 본다. 물 아래(평원 지.. 2020. 7. 9.
고려가요, '가시리'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잡와 두어리마 선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셜온 님 보내노니 나 가시  도셔 오쇼셔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나더러는 어찌 살라 하고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서운하면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위 증즐가 대평성대 서러운 임 보내오니 가시자마자 곧 돌아오십시오. 위 증즐가 대평성대 고려가요 '가시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받기 :) 다운 받으실 때, 아래에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고려.. 2020. 7. 8.
고려가요, '정석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先王聖代)예 노니와지이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신 님믈 여와지이다. 옥(玉)으로 련(蓮)ㅅ고즐 사교이다. 옥(玉)으로 련(蓮)ㅅ고즐 사교이다. 바회 우희 접듀(接柱)요이다.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텰릭을 아 나 므쇠로 텰릭을 아 나 텰(鐵絲)로 주롬 바고이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텰슈산(鐵.. 2020. 7. 8.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龜乎龜乎出首露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구호구호출수로 掠人婦女罪何極 남의 아내 앗았으니 그 죄가 얼마나 큰가? 약인부녀죄하극 汝若悖逆不出獻 네 만약 거스르고 내놓지 않는다면 여약패역불출헌 入網捕掠燔之喫 그물로 너를 잡아서 구워 먹으리라. 입망포략번지끽 # 고대가요 해 핵심정리 및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2020. 7. 2.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公無渡河 임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공 무 도 하 公竟渡河 임은 마침내 물을 건너시네. 공 경 도 하 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타 하 이 사 當奈公何 아아, 가신 임을 어이할꼬. 당 내 공 하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 정리 ☞ [문학/고전문학] -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공무도하(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공경도하(公竟渡河)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공타하사(公墮河死)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당내공하(當柰公何) 가신 임을 어이할꼬 갈래 : 고대가� poof31.tistory.com #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핵심정리 및 테스트 (다운).. 2020. 7. 1.
고전 시가의 표현법 (비유, 상징, 고전시가에 자주 나오는 상징적 소재) 고전 시가의 표현법 (비유, 상징, 고전시가에 자주 나오는 상징적 소재) 어떤 대상을 (유사한 속성을 지닌)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1) 직유법 vs 은유법 : 비교의 의미를 담은 연결어(~같이, 처럼, 듯이 등)의 유무에 따라 2. 의인법 vs 활유법 : 어떤 대상(사람 또는 생물)에 빗대느냐에 따라 3) 대유법 : 대상의 한 부분이나 그 속성을 들어 전체나 자체를 표현하는 방법. 제유법과 환유법이 있음 - 추상적인 개념이나 관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표현법 - 원관념은 숨기고 보조 관념 만으로 의미를 표현한다. - 비유와 달리 상징은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의 유사성이 없다. - 특히 고전문학에서는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보편화된 관습적 상징이 주로 나타난다. 1) 고전시가에 자주 .. 2020. 7. 1.
고전소설의 특징과 서술자 ◽ 소설의 개념 : 현실에 있을 법한 이야기를 작가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재창조한 허구의 세계(문학) ◽ 소설의 발달 과정 : 설화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대소설 → 신소설 → 현대소설 ◽ 소설의 3요소 고전 소설의 특징과 서술자 고전 소설은 조선 시대 초기에 등장하여, 임진왜란 이후에 본격적으로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고전 소설은 소설 발달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현실적 사건의 등장(전기성), 우연적인 사건 전개, 편집자적 논평, 선악의 이분법적 대립, 시(노래)의 삽입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1. 고전소설의 특징 1) 전기성 ‘전기 = 기이한 이야기를 전한다’는 뜻. 비현실적인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 마치 판타지 소설에서처럼 천상계와 같은 비현실적 공간이 나오기도 하고, 주인공이 .. 2020. 7. 1.
조지훈, '승무' 해석 / 해설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사 : 얇고 가벼운 비단)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나비로구나 / 나비 : 승복을 입고 얇고 하얀 비단으로 만든 고깔을 쓴 여승의 여리고 고운 자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줌) 파르라니 깎은 머리 (파르스름하게)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 (시적 허용으로 특별한 심리적 효과 - 여인의 서러움의 심정을 드러냄. 세사에 시달려 번뇌에 쌓인 심정)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역설적 표현. 여승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서 오히려 더 서럽게 느껴진다는 뜻) 빈 대 황촉 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빈 대 : 빈 무대. 공간적 배경 / 밤 : 시간적 배경)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오동잎 잎새 뒤로 달이 지나가는 모습 - 애상적 정서)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긴 소매로.. 2020.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