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51

상고 시대의 서정 문학 / 서사 문학 1. 상고 시대(~고려시대 이전까지)의 서정 문학 - 샤머니즘, 토테미즘을 바탕으로 하는 원시 종합 예술 (제천의식에서 이루어짐) - 음악(소리) + 무용(몸짓) + 문학(말) - 지혜가 발달, 사회가 진보하면서 말(문학)이 시가 문학과 서사 문학으로 세분화됨. - 구전되다가 한자로 기록되어 전해짐. 1) 고대가요 - 제천의식에서 불렀던 집단적 서사 가요 -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개인적 서정 가요 - , , :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해짐. 시가 문학이 서사 문학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음. 2) 향가 - 향찰로 표기됨. - 의의 : 최초의 국문 시가, 개인 창작시. - 에 14수, 에 11수 - 총 25수가 있음. - 최초의 향가 : 6C말 서동이 지은 - 마지막 향가 : 10C말 .. 2020. 6. 27.
(고전문학) 경기체가 * 한림별곡(한림 제유) 고려 고종 - 최초의 경기체가 - 풍류적, 향락적, 귀족적 - 무신 정권에 새롭게 참여한 신진 사대부들의 학문적 자부심과 의욕적 기개를 노래함. - 구체적, 실제적 사물에 시적화자의 정서를 결부시켜 노래한 새로운 문학. - cf) 이전 : 추상적, 관념적 대상 노래 - 형식 : 8장의 분절체 전대절(前大節) : 1~4행, 후소절(後小節) : 5~6행 3음보. 3·3·4조 - 한문어구 나열, - 현토 : 1~7장. 우리말의 아름다움 살림 : 8장 - 문사들의 학문적 의욕, 기개 : 1~3장. 신흥사대부의 향락적 생활, 풍류 과시 : 4~8장 - 후렴구 : 위 ( )ㅅ 景긔 엇더하니잇고 (현토 : 한문에 토를 다는 일. 한문을 읽을 때 구절과 구절 사이에 우리말 조사나 어미 등을 붙.. 2020. 6. 12.
(고전문학) 고려가요 / 고려속요 * 고려속요(고려가요) - 고려시대에 불려졌던 민속가요. - 현존하고 있는 고려속요는 궁중음악으로 사용된 것으로 민속가요(민요)의 성격을 많이 벗어남. - 조선 초기 궁중 음악책인 , , 로 전함. - 조선초에 고려속요가 새로운 악곡에 맞추어 개작, 각색되었지만 지방민요를 바탕으로 했다는 성격을 아예 저버릴 수 없기 때문에 고려속요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는 것. * 형식적 특징 - 3음보 - 분연체 - 후렴구의 반복 * 고려사 악지에 의하면, 당시 음악을 아악, 당악, 속악으로 나누고 있다. - 아악 : 국가에서 정기적으로 거행하는 공식적인 행사. 천지신명이나 왕가 조상에 대한 제사에 소용되는 것 - 당악 : 공식적이지 않은 행사. 잔치를 거행할 때 소용되는 구경거리 음악. 중국에서 유입된 것. - 속악 .. 2020. 6. 12.
충담사, '찬기파랑가' 해석 / 해설 열치매 (구름, 또는 창문을) 열어젖히며 나타난 달이 (기파랑의 고결한 자태, 인품) 흰 구름 따라 가는 것 아니냐? 새파란 냇가에 (기파랑의 깨끗하고 맑은 인품) 기랑의 모습이 있구나. 이로부터 냇가 조약에 (기파랑의 원만하고 강직한 인품) 낭이 지니시던 (기파랑) 마음의 끝을 따르련다. (마음의 자취, 기파랑의 훌륭한 인품) 아아, 잣가지 높아 (낙구의 감탄사. 10구체 향가의 특징) (잣가지 : 기파랑의 곧고 고매한 인품과 절개) 서리를 모를 화랑이여. (시련, 역경, 불의) - 충담사, '찬기파랑가' * 향가는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국어의 어순에 따라 표기한 문학인데, 오늘날 우리가 신라 시대의 언어 실태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학자에 따라 향가에 대한 해독이 다르다. 양주동은 이 작품을 .. 2020. 2. 7.
고려가요 <가시리> 해석/해설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날러는 어찌 살라 하고 (나더러는 어찌 살라 하고) 임과 이별하면 살 수 없는 심정 - 절망감이 가장 강렬하게 표현됨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버리고 가십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붙잡아두고 싶지만) 선하면 아니 올셰라(서운하면 오지 않을까봐 두려워)주체 : 임 / 임을 붙잡지 못하고 떠나보내는 이유 - 소극적 현실 대응 위 증즐가 대평성대 셜온 님 보내옵나니 나는 (서러운 님 보내옵나니) '셜온'의 주체는 '임'과 '화자'로 각각 해석될 수 있음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나는 (가시자마자 돌아오소서) 임에 대한 화자의 소망이 직접적으로 드러남 위 증즐가 대평성대 * 나는 .. 2020. 2. 7.
조성기, <창선감의록> 스크랩 정리 개인 공부용으로 스크랩했고,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쳐서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였음. 핵심정리도 추가로 정리해둠 :) (참고 : 책에 따라 딸 이름이 빙선으로 나오기도, 태강으로 나오기도 함) 창선감의록 국문본·한문본이 있다. 작자에 대하여 김태준(金台俊)은 그의 『조선소설사』에서 정준동(鄭浚東)·김도수(金道洙) 등을 기록한 바 있다. 뒤에 나온 증보판에서는 조재삼(趙在三)의 『송남잡지(松南雜識)』에 선조 졸수공(拙修公)이 어머니를 위하여 「창선감의록」과 「장승상전(張丞相傳)」을 저작하였다는 기록을 들어 조성기(趙聖期)가 지었다는 설을 첨가하였다. 김태준이 김도수 저작설을 제시한 것에 대해서는 전언인지 문헌에 의거한 것인지 밝힌 바 없고, 또 저작과 관련되는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믿기 어렵다. 정준동.. 2020. 1. 29.
이세보, 상사별곡 - 2019년 고2, 고3 모의고사 출제 작품 이세보, '상사별곡' 황매 시절 떠난 이별 만학단풍 늦었으니 상사일념 무한사는 저도 나를 그리려니 굳은 언약 깊은 정을 낸들 어이 잊었을까 인간의 일이 많고 조물이 시기런지 삼하삼추 지나가고 낙목한천 또 되었네 운산이 멀었으니 소식인들 쉬울손가 대인난 긴 한숨의 눈물은 몇 때런고 흉중의 ㉠불이 나니 구회간장 다 타 간다 인간의 ㉡물로 못 끄는 불이라 없건마는 내 가슴 태우는 불은 물로도 어이 못 끄는고 자네 사정 내가 알고 내 사정 자네 아니 세우사창 저문 날과 소소상풍 송안성의 상사몽 놀라 깨여 맥맥히 생각하니 방춘화류 좋은 시절 강루사찰 경개 좇아 일부일 월부월의 운우지락 협흡할 제 청산녹수 증인 두고 차생백년 서로 맹세 못 보아도 병이 되고 더디 와도 성화로세 오는 글발 가는 사연 자자획획 다정터니.. 2020. 1. 29.
삼국사기의 효녀 지은 설화, 삼국유사의 빈녀양모 비교 불교에서는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태어남과 죽음을 반복하는 일을 윤회라 한다. 윤회를 하면서 전생의 인연과 쌓은 덕화가 후세에 영향을 준다고 하여 덕(德)혹은 공덕을 쌓기를 강조한다. 그렇게하면 부처님의 은덕으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이다. 일연이 쓴 삼국유사는 이러한 불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천상계, 지상계, 인간계, 축생계 등 보이지 않는 세계의 존재와 상호소통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인간이 아닌 존재의 신이함 등을 다룬 책이다. ‘빈녀양모’도 그러한 맥락에서 살펴보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던 가난한 여자의 이야기가 지나가던 효종랑의 두 낭도들의 귀에 들어가 많은 사람들과 임금의 도움을 받고, 후에 그 집을 희사하여 절로 만들게 된 모든 과정이 어떤 보이.. 2020. 1. 27.
토끼전 핵심 정리 ​1. 인물의 행동과 성격, 인물에 따라 달라지는 주제 인물 행동 성격 주제 토끼 먹을 것을 앞세운 별주부의 유혹에 넘어감 욕심이 많음 헛된 욕심 경계 위기 극복하는 지혜의 필요성 위기의 순간에 기지를 발휘하여 살아남 남의 말을 너무 쉽게 믿음 별주부 용왕에게 토끼의 간을 구해주려 노력 충성심이 깊음 우직한 충성심 비판의식 없이 맹목적인 충성심 비판 토끼의 속임수를 알고 자결 왕의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름 용왕 자신이 살기 위해 토끼를 희생시키려고 함 이기적 권력층의 이기적인 횡포 비판 거짓에 속아 진실을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 비판 토끼의 말에 쉽게 속음 어리석음, 우둔함. 죽음을 받아들임 잘못을 반성 자가 사리 토끼의 말이 거짓임을 용왕에게 당당히 말함 충직함, 이성적, 합리적 소신있게 비판하는 강직.. 2020. 1. 25.
고전소설 속 삽입시의 기능 시는 압축적인 내용으로 의미의 함축성을 강조하여 오래도록 감동을 지속시키게 하여, 인물의 심리를 비유적, 함축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주제를 집약적으로 전달하기도 한다. 또한 사건 전개의 방향을 암시하기도 하고, 작품의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한다. 1. 인물의 상황, 심리 표현 /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를 비유적, 함축적으로 표현 2. 인물의 개성 표현 3. 서사적 전개 속에 서정적 감흥을 일으킴 4. 낭만적 분위기 조성 5. 상상력 자극 6. 주제를 집약적으로 전달 7. 사건 전개 방향 암시 / 사건 전개의 매개 역할 ​8. 단조로운 구성에서 벗어나게 함 # 고전 소설 삽입시 고전소설 시 고전소설 삽입시의 역할 기능 삽입시의 기능 삽입시 2020.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