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156

[무료 공유 무료 배포] 국어 빈칸 넣기 문제지 - 화자의 정서 태도 어조 직접 정리한 프린트물 무료로 공유 및 배포합니다. 공부할때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위에껀 빈칸넣기 문제지, 아래껀 답지입니다. ◽시적 화자 : 시 속에서 말 하는 이 (= 서정적 자아, 시적 자아) - 시인이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시 속에 내세우는 대리인을 말한다. - 소설을 쓸 때, 작가가 허구적 대리인인 ‘서술자’를 내세우듯이 시인은 시 속에 ‘시적 화자’라는 대리인을 내세워 대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한다. - 화자는 시인과 동일 인물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화자의 위치 ➀ 표면적 화자 : 작품에서 ‘나, 우리’와 같은 시어를 통해 자신을 노출시키는 화자 󰃚 서으로 가는 달같이는 /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나는 불경처럼 서러워졌다. ➁.. 2022. 4. 26.
소설의 시점과 특징 교재 참고 및 검색으로 여러 자료들을 보면서 제가 보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 시점 : 서술자가 작품 속 인물이나 사건 등을 바라보는 위치와 태도(관점) (1인칭 주인공, 1인칭 관찰자, 3인칭 관찰자, 전지적 작가) ․ 각 시점들의 특징과 예시 - 1인칭 주인공 시점 : 주인공 ‘나’가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함 ex) 내가 위그든 씨의 사탕가게에 들른 것은 여섯 살때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 서술자 ‘나’가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음. - 1인칭 관찰자 시점 : 부주적 인물인 ‘나’가 관찰자로 등장하여 주인공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줌. 다른 인물의 심리를 행동묘사를 통해서 드러냄 ex) 꽃을 든 어머니 손가락이 파르르 떠는 것을 나는 보았습니다. → 작품 속의 서술자 ‘나.. 2022. 2. 20.
정지용, '춘설' 해석 / 해설 문 열자 선뜻! (이제 봄이 되었다고 생각했던 화자가 의외의 추위에 놀람) 먼 산이 이마에 차라. (=차가워라) (2행 전체 : 공감각적 심상. 시각의 촉각화) 우수절 들어 (시간적 배경, 계절적 배경. 겨울→봄) 바로 초하루 아침. 새삼스레 눈이 덮인 멧부리와 (눈 : 봄의 생명력을 느끼게 하는 매개체) 서늘옵고 빛난 이마받이 하다. (눈 덮인 산이 이마에 닿은 듯이 가깝게 보여 차갑게 느껴진다 - 화자와 대상의 거리 소멸. 시각의 촉각화) 1~3연 : 봄눈이 내린 산의 서늘함을 깨닫는 어느 아침 얼음 금 가고 바람 새로 따르거니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 흰 옷고름 절로 향기로워라. (바람에 흔들리는 옷고름을 향기롭다고 표현. 시각의 후각화) 옹송그리고 살아난 양이 (힘든 겨울을 견뎌내고 봄을 맞이함).. 2021. 12. 16.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해석 / 해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상징적, 의지적 주제 : 완전한 합일과 생명력 넘치는 순수한 삶의 추구 특징 1. 가정법(~다면)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 2. '물'과 '불'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주제를 표현 3.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 가정법을 통한 소망의 표출 가정법 : '만난다면', '흐른다면', '적시기도 한다면', '닿는다면' (현실의 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비롯됨) 가정법 사용 효과 만남에 대한 호자의 소망이 매우 간절함을 표현하며 현실 상황에 대한 강한 극복 의지를 나타낸다. * '물'의 의미 확장 * '물'과 '불'의 대립적 이미지 * '물'의 역할 - 고립된 개체를 합일시켜주는 매개체 - 현대인의 고독 해소 * 바다와 하늘의 의미.. 2021. 7. 31.
고은, '머슴 대길이' 해석 / 해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실명시, 성장시 성격 : 민중적, 회상적, 예찬적 주제 : 머슴 대길이를 통해 깨달은 공동체적 삶의 의미 특징 1. 이야기체를 사용하여 친근하고 소박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2. 구체적인 지명과 대사를 직접 인용하여 사실감을 부여하고 있다. 3. 비유적 표현을 통해 시적대상이 화자에게 미친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 대길이를 통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가치 - 모든 사람과 조화를 이루며 남을 배려하는 공동체적 의식을 가진 대길이 - 민족의식을 지닌 대길이 ☞ 더불어 사는 삶의 중요성과 민족의식의 중요성 새터 관전이네 머슴 대길이는 (실존인물, 시적 대상) (군산의 옛 지명 - 사실성 강조) 상머슴으로 누룩 도야지 한 마리 번쩍 들어 도야지 우리에 넘겼지요 (옛날 .. 2021. 7. 22.
함민복, '사과를 먹으며' 해석 / 해설 사과를 먹는다 (이상적, 상식적, 구체적, 경험적 행위로부터의 출발) 사과나무의 일부를 먹는다 ('사과 ~를 먹는다' 비슷한 통사구조 반복 = 운율감을 주고, 행위의 의미 심화와 강조) [사과 꽃에 눈부시던 햇살을 먹는다 (봄) 사과를 더 푸르게 하던 장맛비를 먹는다 (여름) 사과를 흔들던 소슬바람을 먹는다 (가을) 사과나무를 감싸던 눈송이를 먹는다] (겨울) [ ] = 계절감을 나타내는 시어들과 계절의 순환 사과 위를 지나던 벌레의 기억을 먹는다 사과남웨서 울던 새소리를 먹는다 ( : 사과가 열리기까지 함께한 자연물) 사과나무 잎새를 먹는다 3~9행 : 사과가 있기까지의 주변의 자연현상. 계절의 순환을 거쳐 사과가 열림 다른 자연물들의 도움을 받아 사과가 열림. 사과를 먹는다 = 사과가 열리기까지의 자.. 2021. 7. 18.
백석, '고향' 해석 / 해설 나는 북관(北關)에 혼자 앓아 누워서 (함경도. 타향에서의 소외감과 고독감) 어느 아침 의원(醫員)을 뵈이었다. - 고향의 따뜻함을 느끼게 되는 계기 의원은 여래(如來) 같은 상을 하고 관공(關公)의 수염을 드리워서 (-같은 : 직유법 / 시각적 심상) (석가여래처럼 자비롭고 인자한 모습)(관운장의 수염 - 너그럽고 푸근한 정감) - 아버지의 이미지와의 유사성을 은근히 드러냄 먼 옛적 어느 나라 신선 같은데 (동화적 요소. 과거와 고향 회상의 실마리를 제공) [새끼손톱 길게 돋은 손을 내어 묵묵하니 한참 맥을 짚더니 문득 물어 고향이 어데냐 한다. (전통적인 인간관계 형성의 계기) 평안도(平安道) 정주(定州)라는 곳이라 한즉 (극적 전환의 계기) 그러면 아무개 씨(氏) 고향이란다. (화자와 의원의 관련성.. 2021. 7. 17.
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문학작품의 비판적 수용 1. 어떤 부분을 비판적으로 봐야 하는가? - 문학 작품을 이루는 요소 파악하기 2. 비판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먼저 '작품' 이해를 해야 한다. - 문학 작품을 둘러싼 맥락 파악하기 * 문학작품을 둘러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한 문학 작품의 감상방법 (문학의 해석 관점) 문학의 해석관점 설명 참고 [문학/현대문학] - 문학의 해석 관점 (외재적 관점, 내재적 관점) 비판적 수용이란 위의 모든 요소에 대해 사실적, 객관적으로 파악해서 알고, 자신의 삶에 비추어서 파악하여 그 가치를 내면화 하는 것 문학 작품의 창의적 생산 1. 문학 작품 생산의 의미 - 기존 작품 : 자신의 시간, 방법에 맞는 형식 맥락, 매체 선택 → 재구성 - 다양한 생각, 느낌 → 심미적으로 형상화 → 생산 - 수.. 2021. 7. 17.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해석 / 해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반성적, 고백적, 미래지향적, 저항적 주제 : 어두운 현실을 살아가는 지식인의 자기 성찰과 현실 극복의 의지 특징 1. 상징적 시어의 대립을 통해 의미를 강화 2.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적 대상을 구체화 3. 고백적 어조를 통해 화자의 자기 성찰과 극복 의지를 보여줌 4. 대립적 시어를 통해 시적 대상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며 시상을 전개 * 시어와 시구에 담긴 의미 육첩방 : 이 시의 공간적 배경. 일본 유학중인 화자가 있는 일본식 다다미방이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상황에 비추어보면 화자를 억누르는 답답하고 암담한 현실의 의미. 슬픈 천명 : 부정적 현실에 대응하지 못하고 시를 쓰는 괴로움.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 싸우기보다는 시를.. 2021. 7. 16.
김수영,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해석 / 해설 *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와 비슷한 시 = 신석정 '어느 지류에 서서' * 1961년 부조리한 시대에 대한 비판의식을 표출하는 작품 * 김수영의 작품세계 - 현실에 대한 강렬한 비판의식, 저항정신. - 소시민적 자아에 대한 반성 *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참여시 성격 : 자조적, 반성적, 현실참여적, 비판적 제재 : 현실의 불합리와 부조리 주제 : 부당한 현실에 저항하지 못하는 소시민적 삶의 자세에 대한 자기반성 특징 1. 대비되는 상황을 제시하여 주제 강조 2. 반복적 표현, 자조적 독백을 통해 반성적 태도를 드러냄 3. 체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사건들을 나열하고 있다. * 부정적 현실 상황(시대상)을 드러내는 시구 붙잡혀 간 소설가, 언론의 자유를 요구, 월남 파병, 포로수용소 제..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