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by 솜비 2020. 7. 1.

* 직접 정리함

 

<화자>

시적 화자 : 시 속에서 말 하는 이 (= 서정적 자아, 시적 자아)

- 시인이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시 속에 내세우는 대리인을 말한다.

- 소설을 쓸 때, 작가가 허구적 대리인인 서술자를 내세우듯이

시인은 시 속에 시적 화자라는 대리인을 내세워 대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한다.

- 화자는 시인과 동일 인물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화자의 위치

표면적 화자 : 작품에서 , 우리와 같은 시어를 통해 자신을 노출시키는 화자

󰃚 서으로 가는 달같이는 / 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는 불경처럼 서러워졌다.

이면적 화자 : 화자를 지칭하는 시어가 작품 속에 드러나지 않는 상태의 화자

 

화자와 관계를 맺는 대상

청자 : 화자와 대응되는 개념으로 화자의 노래를 들어주는 사람.

대화체로 된 시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나타난다. , 화자의 말을 들어주는 대상을 설정하여 '청자'가 시의 표면에 나타나는 것이다. 청자가 없는 경우는 주로 화자의 독백으로 이루어진다.

시적 대상 : 시인이 경험한 것 중 시인의 미의식에 의해 선택된 대상이다. 시인은 개인적 고뇌, 경이로운 자연 현상, 시대와 역사의 아픔, 희로애락의 인간사 등 많은 것을 경험한다. 이 중에서 시인에 의해 선택되어 시라는 작품에 녹아든 것을 시적 대상이라고 한다.

 

 

<화자의 정서>

정서 : 화자가 가지고 있는 감정과 느낌, 생각, 사상 등을 의미한다.

화자의 정서를 알기 위해서는 화자가 처해 있는 시적 상황과 시적 대상을 파악해야 한다.

밝음과 긍정의 정서 : 희망, 환희, 소망, 그리움, 동경, 여유, 풍류, 달관(초탈) .

어둠과 부정의 정서 : 고통, 죽음, 절망, , 애상, 허무, 고독(외로움), 우수, 방황, 체념, 분노, 개탄 등.

 

 

 

고전 문학에 자주 나타나는 화자의 정서

1. 자연친화

속세에서 벗어나 자연에 은거하는 화자의 만족감과 즐거움의 정서.

화자의 시선이 자연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물아일체의 경지,

화자 자신에게 향하는 경우에는 안빈낙도하는 마음으로 나타난다.

󰃚 작은 초가집을 벽계수 앞에 두고 / 송죽 울창한 속에 풍월 주인 되었어라. - 정극인, <상춘곡>

 

2. 사랑, 그리움, 안타까움, 슬픔

임과 이별한 상황에서 느끼는 정서.

󰃚 이화우 흩뿌릴 때 울며 잡고 이별한 임 / 추풍낙엽에 저도 날 생각하는가 /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하는구나 - 계랑의 시조

 

3. 유교적 가치

: 임금에 대한 일편단심의 정서를 노래한 작품이 많다.

󰃚 까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 야광명월이 밤인들 어두우랴 /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고칠줄이 있으랴 - 박팽년의 시조

: 부모님과 이별한 경우 효를 다하지 못한 안타까움과 함께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 반중 조홍감이 고와도 보이는구나 / 유자가 아니라도 품음 직하다마는 / 품어 가도 반길 이 없으니 이를 서러워하노라. - 박인로의 시조

 

4. 현실 비판

부정적 현실 또는 세태에 대한 비판의 정서.

해학과 풍자를 활용하여 현실을 비꼬기도 하고, 냉소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 하하 허허 한들 내 웃음이 진정한 웃음인가 / 하도 어처구니가 없어서 흐느끼다가 그리 된 것을 / 사람들아 웃지를 말구려 입 찢어지리라 - 권섭의 시조

 

태도 : 시적 화자가 시적 제재·독자·사회를 향해 내는 개성적 목소리 및 대응방식을 말한다.

주로 시적 화자의 태도는 '어조'를 통해 드러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자의 태도>

예찬적 태도 : 사람이나 대상이 가진 좋은 점을 찾아서 그것을 칭찬하고 세워주는 태도

비판적 태도 : 사회나 대상의 잘못된 점을 따지는 태도

구도적 태도 : 진리나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구하는 태도

긍정적, 낙관적 태도 : 상황이나 대상이 옳다고 인정하거나 바람직하다고 받아들이는 태도 또는 지금은 어렵고 힘들지만 앞으로 일이 잘 풀릴 것이라고 생각하는 태도

달관적 태도 : 세상의 근심 걱정, 사소한 사물이나 일 등에 얽매이지 않고 세속에서 벗어나 초월한 자세를 보이는 태도

반성과 성찰의 태도 : 자기의 잘못을 되짚고 뉘우치거나, 자신이나 대상을 찬찬히 살펴보는 태도

의지적 태도 : 절망적이거나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려는 굳센 마음을 먹는 태도

수용적 태도 : 어떤 상황을 자신의 운명으로 생각하고 받아들이는 태도

관조적 태도 : 좀 떨어진 위치에서 거리를 두고 대상을 바라보면서 차분한 마음으로 그 의미나 본질을 추구하고 자신에게 비추어보는 태도

도피적 태도 : 어려운 상황이나 문제를 해결하는 대신에 피하고 도망가려는 태도

자연친화적 태도 : 자연 속의 삶을 지향하고 만족감을 드러내고 그것을 즐기는 태도

조화와 합일의 추구 : 이질적인 것들이 서로 어울리며 하나의 모습을 만드는 것을 추구하는 태도

체념적 태도 : 할 수 없지 않느냐는 식으로 상황을 받아들이는 태도

회의적 태도 : 믿고 따르려는 태도가 아니라 의심하면서 믿지 않는 태도

* 그 외 : 여성적, 남성적, 철학적, 명상적, 풍자적, 염세적, 고백적 태도 등.

 

 

 

고전 문학에 자주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

 

 

 

<화자의 어조>

어조 : 화자가 사용하는 특징적인 말의 느낌이나 말투

화자의 유형에 따라 : 남성적, 여성적 어조

말하기 방식에 따라 : 독백적, 직설적 어조

화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 낙천적, 격정적, 영탄적, 애상적, 절망적 어조

청자에 대한 화자의 태도에 따라 : 명령, 청유, 기원, 순응, 간청, 고백하는 어조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에 따라 : 우호적, 친화적, 예찬적, 냉소적, 비판적, 풍자적, 체념적 어조

 

 

 

시상 전개 방식

시상(詩想) : 시에 담겨 있는 화자의 생각/정서

시상 전개 방식 : 시상을 시에서 구현해 나가는 방식

시상 전개 방식을 파악하는 이유 : 화자의 정서 파악을 위해.

시상이 전개됨에 따라 화자의 정서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작품을 정확하게 감상 할 수 있다.

 

 

# 현대시 고전시 화자 개념 정서 태도 어조  화자 개념 정서 태도 어조  화자 개념 정서 태도 어조 현대시 고전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