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학201

문학의 해석 관점 (외재적 관점, 내재적 관점) 외재적 관점과 내재적 관점 외재적 관점에는 반영론적/ 표현론적/ 효용론적 관점이 있다. 반영론적 관점(모방론) 작품을 작품의 대상이 도는 현실과 인생을 재현 반영했다고 보는 관점. 작품에 반영된 시대 현실 역사의 검토가 중시된다. 작품을 역사적 사실들의 조립체 또는 역사 자료로 볼 우려가 있으며 작품과 현실을 지나치게 일대일로 대응한다는데서 기계적 수용에 대한 우려가 있다. 표현론적 관점(표현론, 생산론적 관점) 문학 작품을 작가의 체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 작품 속에 나타난 작가의 의도 정서 파악이 중시된다. 이것은 문학을 감정의 표현 또는 작가의 지각 사상 감정에 작용하는 상상력의 산물로 정의하는 낭만주의와 연결되는 관점. 이 관점은 작가의 의도가 그대로 투영된 것이 아님에도 불.. 2024. 8. 31.
이상, <날개> 해설 정리 1936년 9월 종합지인 『조광(朝光)』에 발표되었다. 「오감도(烏瞰圖)」(1934)·「지주회시(蜘鼄會豕)」(1936) 등 실험적인 작품에 대한 생경한 반응을 신심리주의 또는 심화된 리얼리즘이라는 평가로 바꾸게 한 작가의 대표적 작품이다. 한국 소설사의 전통에서 이상 문학의 비범성을 부각시키고 한국 소설의 전통시학에 변혁을 가져온, 문학사상 획기적인 작품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지식 청년인 ‘나’는 놀거나 밤낮없이 잠을 자면서 아내에게 사육된다. ‘나’는 몸이 건강하지 못하고 자아의식이 강하며 현실 감각이 없다. 오직 한 번 시행착오로 아내를 차지해본 이외에는 단 한 번도 ‘아내’의 남편이었던 적이 없다. 아내가 외출하고 난 뒤에 아내의 방에 가서 화장품 냄새를 맡거나 돋보기로 화장지를 태우면서 아.. 2023. 8. 25.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공무도하(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공경도하(公竟渡河)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공타하사(公墮河死)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당내공하(當柰公何) 가신 임을 어이할꼬 갈래 : 고대가요, 서정시, 한역시 성격 : 애상적, 서정적, 체념적 주제 : 임과 사별한 슬픔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서정시가 집단가요에서 개인서정시로 넘어가는 단계의 가요 사랑하는 임의 죽음과 이별에서 오는 한의 정서는 정읍사, 가시리, 서경별곡, 진달래꽃 등으로 이어지는 민족 정서의 전통의 기반이 되었다 창작배경 고조선 때, 뱃사공 곽리자고가 배를 손질하고있는데 머리가 하얗게 센 미친 사람(백수광부)이 머리를 풀고 술병을 든채 물을 건너려 했다. 그의 아내가 뒤따르며 만류했으나 그는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이에 그의 아내는 노래.. 2023. 7. 10.
정극인, 상춘곡 해설 정리 꼭! 외워두어야 할 '가사의 특징' (작품이랑 연관지어서 시험에 출제됨 !!!) 정극인, '상춘곡' 작품 해설 및 정리 2023. 7. 10.
판소리사설, 흥보가 해설 정리 2023. 7. 8.
고려가요, 동동 해설 정리 고려가요 동동 정리 & 해석 해설 고려가요 동동 정리 & 해석 해설 2023. 7. 4.
(현대문학) 극 갈래 - 희곡, 시나리오의 형식 / 특징 * 희곡(戱曲) - 무대 위에서 공연을 목적으로 쓰여진 연극 대본 * 희곡의 내용적 요소 - 인물, 사건, 배경 * 희곡의 3요소(형식적 요소) - 해설: 막이 오르기 전에 무대나 등장인물, 배경 등을 설명 - 지문: 행동이나 표정, 말투, 심리 등을 지시(동작 지시문)하거나 분위기, 효과음, 조명 등을 지시(무대 지시문) - 대사: 등장인물들이 하는 말로 대화, 독백, 방백이 있음 * 희곡의 대사의 종류 - 독백 : 등장 인물이 무대에서 혼자 하는 말 - 방백 : 관객은 들리지만 상대 등장인물은 들리지 않는다고 약속하고 하는 말 * 희곡(시나리오)의 구성 단계 - 발단 : 등장인물과 배경을 소개하고 갈등의 원인을 제시함 - 전개(상승): 사건을 진행하면서 등장 인물 사이에 대립과 갈등이 점차 상승함 -.. 2023. 6. 11.
역설, 반어, 설의법 - 예시 역설 표면적으로는 의미가 모순되고 이치에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 어떤 진실이나 진리를 담고 있는 표현 모순 형용 - 수식하는 말과 수식을 받는 말 사이에 모순이 일어나는 표현 (찬란한 슬픔의 봄, 소리없는 아우성) 1.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 찬란한 슬픔의 봄을! 2.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 이별이, 이별이 있어야 하네. 3. 이러매 눈감아 생각해 볼 밖에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4.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5. 분분한 낙화 /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6.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7. 임은 갔지마는 나는 임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8. 네 이름의 외로운 눈부심 위에 / 살아오는 삶의 아픔 9. 바라보노라 온갖 것.. 2023. 6. 11.
이상화, '나의 침실로' 해석 / 해설 / 핵심정리 이상화, '나의 침실로' 해석 / 해설 '마돈나' 지금은 밤도 모든 목거지에 다니노라 피곤하여 돌아가려는도다. (구원의 여성상, 잃어버린 조국) (모임을 뜻함. '모꼬지'의 방언) (밤이 다 가고 날이 밝으려함 - 화자의 다급함) 아, 너도 먼동이 트기 전으로 수밀도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오너라. (명령형 종결어미 - 만남에 대한 갈구) (영탄법) (수밀도 : 껍질 얇고, 살과 물이 많으며 맛이 단 복숭아. 젊은 여인의 관능적 아름다움을 은유적으로 표현) '마돈나' 오려무나, 네 집에서 눈으로 유전하던 진주는 다 두고 몸만 오너라. (눈물을 뜻함. 눈물을 강요하던 인습, 낡은 가치관) (몸 : 가식이 없는 순수한 상태) 빨리 가자, 우리는 밝음이 오면 어덴지 모르게 숨는 두 별이어라. (청유형 .. 2023.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