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

고려가요, '정석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by 솜비 2020. 7. 8.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先王聖代)예 노니와지이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신 님믈 여와지이다.

 

()으로 ()고즐 사교이다.

()으로 련()고즐 사교이다.

바회 우희 접듀(接柱)요이다.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텰릭아 나

므쇠로 텰릭을 아 나

(鐵絲)로 주롬 바고이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텰슈산(鐵樹山)애 노호이다.

텰초(鐵草)를 머거아

텰초(鐵草)를 머거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임금님이) 계십니다.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임금님이) 계십니다.

태평성대에 놀고 싶습니다.

 

바삭바삭한 가는 모래 벼랑에

바삭바삭한 가는 모래 벼랑에

구운 밤 다섯 되를 심습니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덕이 있으신 임과 이별하고 싶습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그 꽃을) 바위 위에 접을 붙입니다.

그 꽃이 세 묶음이 피어야만

그 꽃이 세 묶음이 피어야만

덕이 있으신 임과 이별하고 싶습니다.

 

무쇠로 철릭을 재단하여

무쇠로 철릭을 재단하여

철사로 주름을 박습니다.

그 옷이 다 헐어야만

그 옷이 다 헐어야만

덕이 있으신 임과 이별하고 싶습니다.

 

무쇠로 큰 소를 만들어서

무쇠로 큰 소를 만들어서

쇠로 된 나무가 있는 산에 놓습니다.

그 소가 쇠로 된 풀을 먹어야만

그 소가 쇠로 된 풀을 먹어야만

덕이 있으신 임과 이별하고 싶습니다.

구스리 바회예 디신

구스리 바회예 디신

긴힛그츠리잇가.

즈믄  외오곰 녀신

즈믄  외오곰 녀신

()그츠리잇가.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천년을 외로이 살아간들

천년을 외로이 살아간들

(임에 대한) 믿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빈칸테스트 파일 예시>

 

 

 

 

 

 

고려가요 '정석가'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받기 :)

다운 받으실 때, 아래에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4 정석가.hwp
0.06MB

 

 

 

# 정석가 핵심 정리 해설 정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정석가 핵심 정리 해설 정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정석가 핵심 정리 해설 정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화자 임과 이별하고 싶지 않은 사람 상황 임과의 영원한 사랑을 기원함 정서 연모, 사랑, 소망 태도 이별하지 않겠다는 의지적 태도 주제 ➀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➁ 태평성대의 기원 의의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염원을 역설적으로 표현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는 고려가요로, 불가능한 상황을 전제로 논리를 전개하는 기발한 발상이 돋보임. 작품의 갈래 ◽고려가요 고려시대에 평민들이 주로 부르던 민요적 시가. ‘속요, 장가, 여요’라고도 부름. 민요에서 형성되어 구전되어 오다가 궁중의 행사에 사용되면서 조선시대부터 문자로 기록됨. 형식 - 대체로 여러 개의 연으로 나뉘어 구성되는 분연체 - 3음보를 기본으로 하여 3·3·2조의 음수율이 주로 나타남 - 연과 연 사이에 특별한 뜻 없이 악기의 소리를 흉내낸 것으로 보이는 독특한 후렴구(여음)가 있음 내용 - 남녀 간의 사랑, 자연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 - 남녀의 애정문제를 너무 직설적으로 표현하였다 하여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남녀상열지사’라고 평하기도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