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역설, 반어, 설의법 - 예시

by 솜비 2023. 6. 11.

역설
표면적으로는 의미가 모순되고 이치에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 어떤 진실이나 진리를 담고 있는 표현
모순 형용 - 수식하는 말과 수식을 받는 말 사이에 모순이 일어나는 표현
(찬란한 슬픔의 봄, 소리없는 아우성)


 

 

1.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 찬란한 슬픔의 봄을!

2.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 이별이, 이별이 있어야 하네.

3. 이러매 눈감아 생각해 볼 밖에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4.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5. 분분한 낙화 /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6.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7. 임은 갔지마는 나는 임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8. 네 이름의 외로운 눈부심 위에 / 살아오는 삶의 아픔

9. 바라보노라 온갖 것의 보이지 않는 움직임을

10. 괴로웠던 사나이 /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반어
​실제와는 반대로 표현하는 방식
겉으로 표현한 내용과 속마음에 있는 내용을 서로 반대로 말함으로써 의미를 강조


1.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 그 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중략) 그래도 당신이 나무라면 /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 먼 훗날 그 때에 "잊었노라"    - 김소월, '먼 훗날'

2. 한줄의 시는 커녕 / 단 한권의 소설도 읽은 바 없이 / 그는 한평생을 행복하게 살며 / 많은 돈을 벌었고 / 높은 자리에 올라 / 이처럼 훌륭한 비석을 남겼다.   - 김광규, '묘비명'

3.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 황동규, '즐거운 편지'

4. 아니야 아니야 서럽지 않다. / 배앓이를 하던 날 납작 엎드렸던 아랫목이 차디찬 물살에 갇힌다 해도 / 나는 나는 서럽지 않다.  - 진이현, '수몰민'

5. 신새벽 뒷골목에 / 네 이름을 쓴다 민주주의여 내 머리는 너를 잊은지 오래
내 발길은 너를 잊은지 너무도 오래 / 오직 한 가닥 있어 / 타는 가슴 속 목마름의 기억이 / 네 이름을 남몰래 쓴다 민주주의여  -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6. 현진건의 소설  <운수 좋은 날>

 

 

 


역설 = 진술 모순
반어 = 상황 모순

 

 

 


설의법
누구나 다 인정하는 사실(쉽게 판단할 수 있는 사실)을
 의문형식으로 제시하여 강조하는 표현법
내용 : 평서형
형식 : 의문의 형식. 대답 요구X


 


설의법과 의문문 비교하기


뿌리없이 흔들리는 부평초 잎이라도 / 물 고이면 꽃은 피거니
이 세상 어디서나 개울은 흐르고 / 이 세상 어디서나 등불은 켜지듯
가자 고통이여 살 맞대고 못 가랴 (설의법) / 가기로 목숨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 (설의법)
- 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눈이 오는가 북쪽엔 / 함박눈이 쏟아져 내리는가 (의문문)
험한 벼랑을 굽이굽이 돌아간 / 백무선 철길 위에
느릿느릿 밤새어 달리는 / 화물차의 검은 지붕에
연달린 산과 산 사이 / 너를 남기고 온
작은 마을에도 복된 눈 내리는가 (의문문)
  -  이용악, '그리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