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심훈 '그날이 오면' 해석/해설

by 솜비 2019. 11. 19.

그 날이 오면, 그 날이 오면은
삼각산(三角山)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漢江)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 날이
이 목숨 끊기기 전에 와 주기만 할 양이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鐘路)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들이받아 울리오리다.
두개골이 깨어져 산산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恨)이 남으오리까.
    
그 날이 와서, 오오, 그 날이 와서
육조(六曹) 앞 넓은 길을 울며 뛰며 뒹굴어도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드는 칼로 이 몸의 가죽이라도 벗겨서
커다란 북을 만들어 들쳐 메고는
여러분의 행렬(行列)에 앞장을 서오리다.
우렁찬 그 소리를 한 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저항시(참여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희생적. 저항적. 의지적. 역동적
어조 : 절절한 호소, 강인한 의지, 도도한 의기(義氣)의 자세와 목소리, 비장(悲壯)한 어조
표현 : 격정적
심상 : 시각적. 청각적
구성 :     1연  그 날이 오면 죽어도 한이 없음
                 2연  그 날이 와서 기쁨이 우렁찬 소리를 듣기만 하면 당장 죽어도 원이 없음
제재 : 광복의 그 날
주제 : 환희의 극한, 절정이 될 광복의 그 날을 염원하는 간곡한 절규. 조국 광복에 대한 염원
출전 : <그 날이 오면>(1949)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장편소설 “상록수”의 작가 심훈이 쓴 희귀한 저항시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햇빛을 못 보다가 광복 후인 1949년에 유고집을 묶어서 낸 시가․수필집 <그 날이 오면>에 실렸다. 서정성이 약한 것은 흠이나, 시 정신은 놀랍다.
이 작품의 시 정신을 두 단어로 나타내면 ‘격정(激情)과 환희’이다. 그리고 그것을 가로막는 장애물과 ‘한(恨)’의 정서와 염원이 바닥에 깔린다.
돌이켜보면 우리 민족은 한(恨)의 역사를 살아 왔고 환희의 정점을 목전에 두고 파탄의 바닥으로 추락한 경험을 수없이 되풀이해 왔다.
이 시에는 맺힌 한을 풀려는 의식과, 한이 풀리고 소망을 성취하는 민족 공영(共榮)의 정점에서 환희의 송가(頌歌)를 불러 보고 싶은 절절한 염원이 서려 있다.
이 시의 시 정신, 주제 의식은 역사적이다. 그 때는 조국의 광복을 위해 썼고, 지금 우리는 통일된 그 날을 그리며 이 시를 읽는다.
이 시는 이처럼 탄탄하고 절절한 주제 의식에 묻혀 기교의 아름다움, 세련된 정서와 아어주의(雅語主義)의 문체 등을 피안(彼岸)의 장식물이 되고 만다.
이 시는 ‘그 날’을 정점으로 변화를 꿈꾼다. 그 날이 되면 삼각산은 일어나 춤을 추고 한강물은 환희로 용솟음친다. 그 날은 밤하늘의 까마귀(죽음의 상징)까지 목숨을 던져 삶의 축제에 참여한다. 그 날은 기쁨의 소식이 부활의 종소리로 울려 퍼지며 기쁨으로 가득 찬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그 날’― 시인은 축제에 참여한다. 내 가죽을 벗겨서 북을 만들어 울릴 수만 있다면 죽어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날― 이는 물론 광복의 그 날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시는 다른 해석이 들어갈 여지를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의 의미는 단순하다. 단순한 만큼 거칠며 거친 만큼  진솔하고 그만큼 충격적이다. 충격적인 만큼 끔찍하기까지 하다.
삼각산과 한강물이 춤을 추고, 용솟음칠 기쁨에 시인은 자신의 머리로 종소리를 울리겠다고 한다. 육조 앞 - 지금의 광화문 네거리 - 넓은 길을 뛰며 울며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터질 듯한 감격을 느낀다. 감격의 정도가 이 정도에서 그쳤다면 이 시는 소박하고 설익은 시로 독자들에게 아무런 충격을 주지 못했으리라. 그런데 심훈은 ‘가죽이라도 벗겨서......’라고 끔찍한 과장법을 통해 한 조각 남은 독자의 심상을 참혹하게 산산이 깨어버린다. 바로 그런점이 시적 미숙함이며 동시에 아마추어적인 정직함이라고 할 수 있다.
총독부의 검열을 의식하지 않고 시인의 비밀 노트에 쓰여진 시라고는 한지만 이토록 격정적인 표현으로 독자의 의식을 때리는 ‘저항시’를 우리는 불행스럽게 갖지 못했다. 심지어 이육사와 윤동주의 어떤 미발표 원고를 찾아본다 해도 심훈식의 소름이 오싹할 격정은 찾을 길 없다. 그러나 오늘날 대다수의 우리는 육사와 윤동주의 시에 감동할지언정 “그 날이 오면”을 낭송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시의 정서를 감당하기도 어렵지만 그보다도 시인 심훈의 절망을 이기려는 괴로운 얼굴이 먼저 다가오는 것을 느끼기 때문이다. 저열한 비유지만 길을 걸어가는 사람이 신발을 만든 장인(匠人)을 자꾸 떠올려야 한다면 그 신발은 결코 좋은 신발일 수 없는 것처럼 우리가 한편의 시를 읽으면서 작자의 얼굴이 자꾸만 다가온다면 역시 바람직한 일일 수는 없으리라. 하여간 우리 역사 속에 이런 시가 다시 쓰여져서는 안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시는 옥스퍼드 대학교수인 C.M 바우라가 쓴 <시와 정치(Poetry and Politics)>에 세계적인 저항시의 예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바우라가 말하길 심훈이 시 속에서 조국의 해방을 예측하고 있었다는 투의 설명은 하나의 과장이라고 하겠다. 현실적으로 이육사처럼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건 시인조차도 ‘그 날’은 ‘천고의 뒤’에나 가능한 일로 생각하고 있다. 청산리 전투에 김좌진 장군의 부하로 참전한 이범석 장군조차 ‘그 날’은 언제가 될는지 모르는 아득한 미래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친일파 신으로 지탄을 받은 서정주의 ‘해방이 그렇게 빨리 올 줄을 몰랐다.’는 진술은 정직한 말이라고 하겠다. 상해 임시정부의 김구 주석까지도 일본의 항복을 좀처럼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다. 하물며 1930년대에 심훈이 ‘그 날’을 예측했다는 것은 소위 의도의 오류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시인은 예언자가 아니다. 그러나 시인은 또한 예언자가 되어야 한다. 그는 길흉화복을 예언하는 점술가가 아니라 시대와 민족의 위기의 징표를 읽어내고 경고하는 잠수함의 토끼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시는 언젠가 다가올 광복의 ‘그 날’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던져 그것을 이루겠노라는 일종의 출사표(出師表)인 것이다.





작가 소개
심훈(沈熏 1901~1936) 소설가. 시인. 영화 제작인. 서울 출생. 본명은 대섭(大燮). 경성제일고보 재학시 3․1 운동에 참가하여 4개월 간 복역, 출옥 후 상하이[上海]로 가서 위안장대학[元江大學]에서 수학하였다. 1923년부터 동아일보 ․조선일보 ․조선중앙일보에서 기자 생활을 하면서 시와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1926년 <동아일보>에 영화 소설 “탈춤”을 연재한 것이 계기가 되어 영화계에 투신, 이듬해에는 “먼동이 틀 때”를 원작 ․각색 ․감독하였다.
1930년에는 “동방의 애인”, 1931년에는 “불사조(不死鳥)”를 각각 조선일보에 연재하고 1933년에는 “영원의 미소”, 1934년에는 “직녀성”을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했다. 1935년에는 농촌 계몽소설 “상록수”가 동아일보 창간 15주년 기념 소설 현상 모집에 당선되면서 크게 각광을 받았다. 이 소설은 당시의 시대적 풍조였던 브나로드 운동을 남녀 주인공의 숭고한 애정을 통해 묘사한 작품으로서 오늘날에도 널리 읽히고 있다. 1981년에는 일본에서도 이 책이 번역․간행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







공부용으로 스크랩해둔 오래 전 자료라 출처를 모르겠음
문제시 삭제하겠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