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고 시대(~고려시대 이전까지)의 서정 문학
- 샤머니즘, 토테미즘을 바탕으로 하는 원시 종합 예술 (제천의식에서 이루어짐)
- 음악(소리) + 무용(몸짓) + 문학(말)
- 지혜가 발달, 사회가 진보하면서 말(문학)이 시가 문학과 서사 문학으로 세분화됨.
- 구전되다가 한자로 기록되어 전해짐.
1) 고대가요
- 제천의식에서 불렀던 집단적 서사 가요
-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개인적 서정 가요
- <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해짐.
시가 문학이 서사 문학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음.
2) 향가
- 향찰로 표기됨.
- 의의 : 최초의 국문 시가, 개인 창작시.
-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 - 총 25수가 있음.
- 최초의 향가 : 6C말 서동이 지은 <서동요>
- 마지막 향가 : 10C말 균여대사가 지은 <보현십원가> 11수
- 향가를 집대성했다는 <삼대목>은 전해지지 않음.
- 형식
4구체 : 향가의 초기 형태. 민요/동요가 정착된 것.
8구체 : 4구체에서 발전된 형태. 과도기적 형태.
10구체 : 가장 정제되고, 세련된 4-4-2구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짐.
마지막 2구인 낙구의 첫머리에는 반드시 감탄사 ‘아으’를 둠(후대 시조 형식에 영향을 줌)
- 내용 : 민요, 동요, 토속 신앙, 임금을 그리워하는 노래, 나라를 다스리는 노래, 불교적 기원과 신앙심
- 작자층 : 승려, 화랑 등 귀족 계층
3) 한시
- 7C경 한시가 본격적으로 창작되어 한문학의 기원을 이룸.
-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작~삼국시대에 이르러 완전히 정착됨
-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한시 : 을지문덕, <여수장우중문시>
2. 상고 시대의 서사 문학
1) 설화
-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일정한 구조를 지님.
꾸며낸 이야기라는 점에서 서사 문학의 근원이 됨.
적층문학의 성격을 가짐.
- 유형
신화 : 신적 존재가 초능력을 발휘하는 신성성을 중시하는 이야기
전설 : 비범한 인간이 비극적 결말에 이르는 내용이 대부분. 구체적 시간, 장소가 드러남
민담 : 평범한 인간이 운명을 개척하는 내용. 시간, 장소가 구체적이지 않음.
- 상고시대 초기(고대 국가 시기)에는 신화가 많이 등장.
후기(삼국 시대)로 갈수록 진실성/보편성 추구하는 전설과 민담이 많아짐
- 건국 신화 : 고대 국가 성립하면서 등장. 고대 국가는 신화를 통해 통치 기반을 공고히 하고, 정복과 지배의 과정을 정당화, 자기 집단의 우월성을 과시함.
- 김부식의 <삼국사기>, 일연의 <삼국유사>, 박인량의 <수이전>(전하지 않음)에 신화, 전설, 민담이 수록됨
2) 한문 문학
- 한문을 능숙하게 구사한 상층 귀족들에 의해 창작됨.
-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설화 : 설총의 <화왕계>
-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최치원의 <토황소격문>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소설의 특징과 서술자 (0) | 2020.07.01 |
---|---|
조지훈, '승무' 해석 / 해설 (2) | 2020.06.27 |
(고전문학) 경기체가 (0) | 2020.06.12 |
(고전문학) 고려가요 / 고려속요 (1) | 2020.06.12 |
충담사, '찬기파랑가' 해석 / 해설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