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문과 논설문의 개념과 특징
■ 글의 짜임이란
글속에 담긴 글쓴이의 생각이나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글의 내용을 질서 있게 조직해 놓은 것
1. 글의 구성 요소
단어 --> 문장 --> 문단 --> 글
2. 문단의 짜임
·문단 : 하나의 완결된 생각의 덩어리
(1) 중심 문장 : 그 문단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 내용이 담긴 문장
(2) 뒷받침 문장 : 중심 문장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쓰인 문장
3. 글의 짜임을 파악하는 방법
글쓴이 → 글 → 독자
(1) 문단의 중심내용, 요점정리 (핵심어나 중요어구를 찾음)
(2) 관련 문단 묶기(지시어, 접속어 살핌)
(3) 글을 세부분으로 나누기(처음, 중간, 끝)
4. 중심 내용의 위치에 따른 글의 구성 방식
(1) 두괄식 구성 : 중심 내용이 글의 앞부분에 있음
(2) 미괄식 구성 : 중심 내용이 글의 뒷부분에 있음
(3) 양괄식 구성 : 중심 내용이 글의 앞과 뒤에 있음
(4) 중괄식 구성 : 중심 내용이 글의 가운데에 있음
(5) 병렬식 구성 : 중심 내용이 대등하게 나열됨.
▶ 설명문과 논설문의 글의 짜임
<설명문>
처음 : 설명할 대상, 배경, 동기, 목적, 방법 등을 제시하는 단계< 독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구실
중간 : 다양한 설명 방법을 통해 사실과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는 단계
끝 : 중간에서 설명한 내용을 요약, 정리, 마무리하는 단계
<논설문>
처음(서론) : 글을 쓰는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문제를 제기하는 단계
중간(본론) : 여러 가지 근거를 들어 주장하려는 바를 증명하는 단계
끝(결론) : 주장 내용을 요약하고 확인, 강조하는 단계
▶ 접속어와 지시어
1. 역할 : 문장의 연결 관계가 간결하고 분명해지므로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접속어의 종류
(1) 순접 : 앞뒤 문장이 시간적으로 이어지는 관계
(예) 그리고, 그리하여, 이리하여
(2) 역접 : 앞뒤 뒤문장이 서로 반대 되는 경우
(예)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그래도
(3) 인과 : 앞뒤의 문장을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는 경우
(예) 왜냐하면, 그래서, 따라서, 그러므로
(4) 전환 : 앞뒤의 내용이 바뀌는 경우
(예) 그런데, 그러면
(5) 기타 : 대등( 및, 또), 요약(요컨데,결국), 첨가(게다가, 또한)
☞ 설명문
① 어떤 지식이나 정보를 알기 쉽게 풀이하여, 독자들이 그 대상을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쓴 글
② 설명문의 특성
·객관성 : 객관적이어서 주관이 배제됨.
·정확성 : 정확하고 명료하여 이해하기 쉬운 순서로 전개됨.
·평이성 : 평이하고 설득력이 있으며 납득할 만한 표현을 사용함.
·체계성 : 대개 '처음 - 중간 - 끝'의 체계적 구성을 지님.
·사실성 : 정확한 지식이나 정보를 사실에 근거하여 전달함
③ 설명문의 구성
·처음 : 설명 대상·방법·범위의 소개
·중간 : 설명 대상을 순서에 의해 본격적으로 전개
·끝 : 요약, 강조, 마무리
④ 설명문의 갈래
1. 실용적인 설명문 ; 일상 생활에 직접 도움을 주기 위한 글 [예] 가전 제품 설명서, 약품 사용법 등
2. 과학적인 설명문 ; 학술 지식이나 교양을 주기 위 한 글
1. 설명문 : 어떤 사실이나 현상, 사물, 원리 등에 대하여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 쓴 글
2. 설명문의 특성
1 사실성 : 정확한 지식이나 정보를 사실에 근거하여 전달함
2 객관성 : 글쓴이의 주관적인 의견이나 감정없이 사실을 객관적으로 설명함
3 체계성 : '머리말(처음)-본문(중간)-맺음말(끝)' 의 3단 구성으로 짜임새 있게 서술함
4 명료성 : 뜻이 분명하게 전달되도록 간결하고 명확한 언어를 사용함
5 평이성 :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어휘와 간결한 문장으로 씀
3. 설명문의 구성 단계
1 머리말(처음) : 설명할 대상, 목적, 이유 제시, 독자의 관심 유도
2 본문(중간) : 적절한 설명 방법으로 대상을 알기 쉽게 풀이
3 맺음말(끝) : 본문의 요약, 정리 및 강조, 글의 마무리
4. 설명문의 설명 방법
1 정의 : 대상의 본질, 개념 뜻을 밝히는 방법
2 예시 : 구체적인 예르르 들어 보이는 방법
3 비교 : 둘 이상의 대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방법
4 대조 : 둘 이상의 대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방법
5 분류 : 대상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나누거나 묶어 설명하는 방법
6 분석 : 대상 전체를 이루는 부분인 구성요소로 쪼개어 설명하는 방법
☞ 배경지식 - 논설문에 대하여
1]. 논설문의 뜻과 특징
(1) 논설문의 뜻 : 자기의 주장을 명확하게 밝히면서 다른 사람을 설득하거나 특정한 행동을 하도록 촉구하는 글
(2) 논설문의 특징
1. 글쓴이의 생각이나 주장이 뚜렷이 드러나는 글
2. 근거가 타당하고 정확한 글
3. 문장이 논리적이면서 체계적이어야 함
4. 문단의 구별이 뚜렷한 글
5. 한 문단은 주장을 제시하는 부분과 이를 뒷받침 하는 논증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3) 설명문과 논설문의 차이
[2] 논설문의 짜임
(1) 3단 구성
1. 처음(서론) : 글의 첫머리로, 주장하고자 하는 문제의 실마리가 드러나며 글을 쓴 취지나 목적이 나타난다. (문제제기)
2. 중간(본론) : 글의 중심 부분으로, 글쓴이의 주장과 그에 대한 이유 또는 근거가 제시된다.(주장증명)
3. 끝 (결론) : 글의 마무리 부분으로, 본론의 내용을 요약하며 핵심 주장을 강조한다.(주장요약)
(2) 4단 구성
1. 기(起 : 도입) : 문제 제기, 주의 환기
2. 승(承 : 발전) : 논지 전개, 논제 해명
3. 전(轉 : 전환) : 논지 전환 (반대되는 의견 검토)
4. 결(結 : 정리) : 논지의 마무리, 요약
[3] 논설문의 갈래
(1) 논증적 논설문 : 객관적인 증거(논거)를 제시하여 어떤 일이나 문제의 옳고 그름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글
1. 논문 : 특수한 분야를 연구하는 학술적인 글
2. 평론 : 남의 이론이나 생각에 대해 비평하고 평가한 글
(2) 설득적 논설문 :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을 논리 정연하게 밝힘으로써 읽는 이들이 자신의 의견에 공감하게 하는 글
1. 사설 : 신문사 등에서 사회의 어떤 문제에 대해 공식적인 의견을 밝힌 글
2. 칼럼(column) : 재치 있고 단편적인 시사 평론
3. 연설문 : 강연을 위핸 쓴 글
[4] 논설문 읽는 방법
1.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여 읽는다.
2. 글쓴이가 주장하는 내용을 정확히 파악한다.
3.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타당한지 파악한다.
4. 구성의 긴밀성과 논리적 전개방식에 유위하며 읽는다.
[5] 논설문 내용 제시 방법
1. 논증 : 뒷받침하는 근거나 이유를 제시하여 주장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것
2. 예증 : 구체적인 예를 들어 주장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것
3. 인용 : 전문가나 권위자의 의견을 인용하여 주장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것
4. 비유 : 잘 알려진 사실에 빗대어 주장의 타당성을 높이는 것
설명문의 개념과 특징 설명문의 개념과 특징 설명문의 개념과 특징 논설문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데, -대' 올바르게 사용하기 (1) | 2022.10.21 |
---|---|
언어의 특성 (기호성, 자의성, 역사성, 사회성, 창조성, 법칙성) (0) | 2020.03.04 |
어휘의 유형과 의미 관계 (0) | 2020.01.25 |
국어 문법 - 품사 문제 풀이 (무료 배포) (1) | 2020.01.25 |
중1 국어 - 국어의 자음 체계, 모음 체계 - 빈칸 넣기 테스트 (무료 배포) (0) | 2019.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