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전>
1. 인물의 행동과 성격, 인물에 따라 달라지는 주제
인물 |
행동 |
성격 |
주제 |
토끼 |
먹을 것을 앞세운 별주부의 유혹에 넘어감 |
욕심이 많음 |
헛된 욕심 경계 위기 극복하는 지혜의 필요성 |
위기의 순간에 기지를 발휘하여 살아남 |
남의 말을 너무 쉽게 믿음 |
||
별주부 |
용왕에게 토끼의 간을 구해주려 노력 |
충성심이 깊음 |
우직한 충성심 비판의식 없이 맹목적인 충성심 비판 |
토끼의 속임수를 알고 자결 |
왕의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름 |
||
용왕 |
자신이 살기 위해 토끼를 희생시키려고 함 |
이기적 |
권력층의 이기적인 횡포 비판 거짓에 속아 진실을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 비판 |
토끼의 말에 쉽게 속음 |
어리석음, 우둔함. |
||
죽음을 받아들임 |
잘못을 반성 |
||
자가 사리 |
토끼의 말이 거짓임을 용왕에게 당당히 말함 |
충직함, 이성적, 합리적 |
소신있게 비판하는 강직함 |
토끼를 전송하는 자리에 나타나지 않음 |
강직함, 소신이 있음 |
2.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본 이 글의 창작의도
조선 후기의 사회상 |
권력층의 부패 ⇒ 백성들이 고통 당함 농업경제 발전 ⇒ 부유한 농민 등장. 농민층 지위↑ 신분제 동요 |
|
인물이 상징하는 인간형 |
용왕 |
절대적 권력을 누리던 지배계층(왕) |
토끼 |
지배계층의 이기적 횡포에 괴롭힘 당하던 피지배계층(백성) |
|
창작 의도 |
힘없는 백성들이 자신들도 대접 받을 수 있는 세상이 오기를 바라는 소망을 드러내기 위해 |
3. 다양한 결말 비교
|
본문 |
결말1 |
결말2 |
토끼 |
달아남 |
달아남 |
똥으로 만든 약을 주고 달나라로 |
별주부 |
자결 |
관음보살에게 충성심 인정받음 |
충신이 됨 |
용왕 |
병으로 죽음. 반성O |
반성X |
반성X |
평가 |
헛된 충성심에 대한 비판이 강함 |
별주부의 충성심을 가장 높이 평가 |
자라의 충성심 인정 지배층을 풍자적으로 조롱 |
⇒ 결말이 다양한 이유 : 작품이 창작된 당시에 ‘충성심’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달랐기 때문
3. 고전소설과 현대소설 비교
|
고전소설 |
현대소설 |
주제 |
대부분 권선징악 |
여러 가지의 주제 |
구성 |
시간의 흐름 |
복합적·다양한 구성 |
문체 |
일상어와 다른 문어체 |
언문일치의 산문체 |
결말 |
행복한 결말 |
다양한 결말 |
인물 |
전형적, 평면적 인물 |
개성적, 입체적 인물 |
사건 |
우연적, 비현실적 사건 |
필연적, 현실적 사건 |
배경 |
막연하거나 비현실적 배경 |
구체적, 현실적인 배경 |
시점 |
대부분 전지적 작가 시점 |
다양한 시점 |
☆주의 : 우리 책의 <토끼전>의 용왕은 입체적 인물(성격이 변화함)
☆ <토끼전> 본문의 단어 뜻, 사회적 배경을 암시하는 단어들, 한자성어 등
본문 한번 꼼꼼히 읽고 외울 것은 외워야 함 (특히 단어 뜻은 객관식 출제 가능성 90%)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성기, <창선감의록> 스크랩 정리 (0) | 2020.01.29 |
---|---|
이세보, 상사별곡 - 2019년 고2, 고3 모의고사 출제 작품 (0) | 2020.01.29 |
삼국사기의 효녀 지은 설화, 삼국유사의 빈녀양모 비교 (0) | 2020.01.27 |
고전소설 속 삽입시의 기능 (0) | 2020.01.24 |
정철, 관동별곡 원문, 해석 (파일 다운) (6) | 2020.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