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현대문학149 조지훈, '다부원에서' 임시포스팅 - 추후 보강 필요 ※ 조지훈 이 시는 한국 전쟁 동안 시인이 종군 문인단(從軍文人團)에 소속되어 있던 중 다부원(多富院)에서 전쟁의 참상을 보고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다. 이 시에서는 이러한 시인의 실제적 경험이 생생하게 드러나 있는데, 이 시는 한 달여간의 전쟁이 끝난 뒤 그것이 할퀴고 지나간 아픈 상처들이 남아 있는 다부원(多富院)을 본 시인의 감회가 사실적으로 전달되고 있다. 다부원에서 펼쳐진 전장의 풍경을 바라보고 있자니 과연 이들의 죽음이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희생인지 생각하게 만든다. 이 아수라장에서 승자도 패자도 없고, 삶과 죽음도 무의미함을 이야기한다. 이처럼 시인 조지훈은 모든 전쟁이 그러하듯이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따지기 이전에 산자와 죽은자 모두에게 커다른 .. 2019. 7. 25. 이명한, '꿈에 다니는 길이~' 시조 꿈에 다니는 길이 자취 곧 날 양이면 님의 집 창 밖의 돌길이라도 닳으련만 꿈길이 자취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 - 이명한 중 너무 예쁘고 로맨틱하면서 애달픈 느낌의 시조여서 메모해두었다가 거의 1년만에 기록해본다. 눈이 닿을때마다 읽으면 어찌나 연애시절의 내마음과 같은지... ♥ 2019. 6. 27. 시적화자의 역할과 기능 시적화자 : 시 속의 말하는 이. 시의 화자는 시의 내용을 서술하는 서술자가 될 수도 있고, 시의 주체, 시의 대상(시 속의 등장인물)이 될 수도 있다. 시적화자는 사건이나 이야기를 객관화하여 전달하고자할 때 나타난다. 시인이 표현하려는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시적화자라는 대리인을 내세우는 것인데 자아의 세계를 확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시의 방법론(기술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시의 통일성을 살려나가는 역할 - 시의 배경묘사를 담당 -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시 속의 시간을 요약 # 현대시 # 시적화자 # 시적화자의 역할과 기능 2019. 5. 28. 풍자의 뜻과 성립 조건 풍자 : 개인이나 사회의 악덕, 모순, 어리석음을 넌지시 비판하며 웃음을 유발하는 표현방식. 사회적 현상이나 현실을 과장, 왜곡, 비꼬는 방법으로 나타내는 방법. 풍자는 주어진 사실을 곧이곧대로 드러내지 않고 과장하거나 왜곡, 비꼬아서 표현하여 우스꽝스럽게 나타내고 웃음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해학이 동정적 웃음이라면 풍자는 비판적 웃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작품 속에서 풍자를 이용할 때는 현실적인 권력과 권위를 가진 주인공을 부정적으로 제시하고, 그의 모습을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표현하며 우스꽝스럽게 나타낸다. 그렇게 함으로써 현실의 권력을 뒤엎고 결국 이상적 세계의 승리를 이끌어낸다. Basic 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2007. 8. 25., 송진우 풍자의 의미와 성립 조건 (1)풍자 : 사회.. 2019. 4. 14. 심혼시, 정신시, 기교시 심혼시, 정신시, 기교시 - 김윤식 한국현대시론비판 소월시는 영혼의 힘으로 충만되나 정신성의 결여행태, '심혼시'라고도 부를 수 있다. 반면, 영혼의 결여형태이되 정신성(지적 통제력, 혹은 의지로 단련된 그 무엇)이 충만한 시는 한국 시의 주류라고 평가받는 '비극적 황홀'의 계보에서 찾을 수 있다. 시와 시인의 비분리원칙 선상에서 벌어지는 시적 영위를 우리는 '정신시'라고 부르기로 한다. '심혼시'나 '정신시'는 이른바 '근대성'과는 다소 무관한 것으로, 시의 근대성을 언급할 때는 시(작품)와 시인의 분리에서 논의를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시는 선시적인 것도 아니고 후시적인 것도 아니고 현시적인 물건이다. 그 물건이 근대적 성격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일도 현시적인 자리에 설 때야 논리적으로 설명.. 2019. 4. 4. 이전 1 ··· 14 15 16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