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사의 발생 배경
- 고려말 ~ 조선 초기에 형태를 갖춤
-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발생.
-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이념과 정서를 시조보다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낸 양식
- 조선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개인의 서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짐.
그 가운데 시조가 확대되고, 가사가 크게 발전하게 됨
2. 가사의 특성 ★★★★★
3·4조, 4·4조 4음보의 연속체 (길이 제한 X) |
우리 민족의 호흡에 자연스럽게 일치 현실적, 유교적, 교훈적인 이념을 표현하는 데 알맞은 형태 시조 = 단가(短歌) / 가사 = 장가(長歌) |
|
형식 = 운문 내용 = 산문 |
형식은 운문 문학에 속하지만, 그 내용은 개인적인 정서표현만이 아니라, 교훈적인 훈계나 여행의 견문과 감상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술 장르에 해당) =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형태 |
|
마지막 행 |
정격 가사 |
마지막행이 시조 종장의 음수율(3·5·4·3)과 유사하게 끝남(조선 전기에 많이 나타남) |
변격 가사 |
마지막행이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음 (조선 후기에 많이 나타남) |
|
짜임 |
‘서사 - 본사 - 결사’의 구조 마지막에는 시조의 종장과 흡사한 낙구가 있음 |
|
의의 |
시조와 더불어 조선시대 대표적인 문학 양식 형식은 운문/내용은 산문적 →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
|
작자층 |
조선 전기 |
주로 양반 사대부들 |
조선 후기 |
작자층 확대 → 서민과 양반 사대부 계층의 부녀자들이 창작에 참여하여 그들의 애환 표출 |
3. 가사의 종류
은일 가사 |
관직을 떠나 자연 속에 은거하면서 자연 친화/안빈낙도/군자의 덕 등을 노래 정극인<상춘곡>, 송순<면앙정가>, 박인로<누항사> |
유배 가사 |
유배를 통해 새롭게 얻은 경험과 견문을 노래 조위<만분가>, 정철<사미인곡>, <속미인곡>, 안조환<만언사> |
기행 가사 |
여행하면서 보고 들은 것을 적음 정철<관동별곡>, 홍순학<연행가>, 김인겸<일동장유가> |
내방 가사 |
양반 부녀자들이 주로 향유. 주로 봉건적 삶의 규범 아래 속박된 여성적 삶의 고민과 정서를 호소 허난설헌<규원가>, 작자미상<계녀가> |
4. 조선 전기 가사의 주제
- 임금에 대한 은총
- 벼슬길에 물러나 자연에 묻혀 살아가며(자연 친화) 안빈낙도하는 군자의 미덕을 노래
- 임금의 은혜를 잊지 못하는 ‘충신연주지사’의 성격을 지닌 작품이 대부분 (충의, 연군의 정을 남녀의 애정에 비유)
5. 조선 후기 가사의 변모
- 조선 전기 가사나 같은 시기의 시조에 비해 예술성이 다소 떨어지나,
문학이 당대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 변격 가사 등장
- 수필에 가까운 장편 가사가 등장 → 산문화의 경향이 뚜렷해짐
- 민요와 결합하여 잡가라는 새로운 형태를 낳기도 함.
-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확대 → 기행 가사, 유배 가사
- 여성 및 평민 작자층의 성장 → 내방 가사, 평민 가사 등장
- 주제와 표현 양식의 다변화
- 서민들도 작자층으로 등장 → 해학적인 표현으로 희극미 창출, 현실의 문제점 풍자 (우부가)
# 고전문학 조선시대 가사의 특징과 종류 고전문학 조선시대 가사의 특징과 종류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문학 - 시조의 형식과 흐름 (0) | 2020.09.15 |
---|---|
고전시가의 갈래와 특징 (0) | 2020.09.14 |
권필, <주생전> 해설 정리 (1) | 2020.09.13 |
고전소설, <운영전> 해설 정리 (0) | 2020.09.13 |
수삽석남 설화 (1) | 2020.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