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

고전시가의 갈래와 특징

by 솜비 2020. 9. 14.

* 직접 정리한 자료입니다!

 

 

 

 

고전 시가의 갈래와 특징

 

1

고대 가요

향가 발생 이전까지 노래의 총칭.

원시 종합 예술에서 서정적 내용의 시가가 분리되어 발생함

- 대체로 구전되어 전해지다가 후대에 한역(한시로 번역)

- 의식요, 노동요의 성격을 지닌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을 노래한 개인 서정가요로 변천함

- 배경 설화가 함께 전해져 서정과 서사 문학이 완벽히 분리되지 않음

(원시 종합 예술 : 음악, 무용, 시가 등 예술의 각 영역이 혼재된 종합 예술 형태.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등 제천 의식과 함께 행해진 집단적 가무)

- 공무도하가, 구지가, 황조가, 정읍사 등이 대표적.

<공무도하가>

公無渡河(공무도하)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公竟渡河(공경도하) 임은 결국 물을 건너시네.

墮河而死(타하이사)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當奈公何(당내공하) 가신 임을 어이할꼬.

 

 

 

 

 

 

2

향가

신라에서 고려 초까지 창작향유된 서정시.

향찰로 표기된 우리 고유의 시가.

- 국문학사상 최초의 정형시.

- 대부분 승려와 화랑 계층에 의해 창작됨

- 민요, 동요, 축사(나쁜 기운/귀신을 내쫓음)의 노래, 임금을 그리워하는 노래 등 다양하며, 이 중 주술적 내용과 불교적 기원 및 신앙심을 노래한 것이 가장 많음.

 

 향가의 형식

- 4구체 : 구전되어 오던 민요나 동요가 정착된 초기 형태의 노래. (서동요, 도솔가, 헌화가)

- 8구체 : 4구체가 2배로 늘어난 과도기 형태의 노래. (모죽지랑가, 처용가)

- 10구체 : 가장 정제되고 세련된 형태의 노래. ‘사뇌가라고 불림. (안민가, 찬기파랑가, 제망매가)

 

 10구체 향가의 특징

- ‘4 + 4 + 2 3개의 의미 단락을 이룬다

- 낙구(마지막 2)의 첫머리에 감탄사가 오며, 시상이 집약된다.

 

 

 

3

고려가요

고려시대 평민들이 창작향유하던 민요적 시가.

고려 속요, 여요, 장가(長歌)라고도 함.

- 평민들이 부르던 노래. 소박하고 풍부한 서민들의 정서가 진솔하게 담김

- 3·3·2, 3음보 율격이 많이 나타남.

- 대체로 몇 개의 연이 나누어져 연속되는 분연체로 구성됨.

- 창작 당시에는 구전되다가 한글 창제 이후에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기록되어 저작 연대, 작가 등을 알기 어려움.

- 문자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조선 유학자들에 의해 남녀상열지사(남녀가 서로 사랑하며 즐거워하는 노래)로 분류되어 개작/삭제된 작품이 많았을 것으로 추정됨.

 

- 정과정, 동동, 청산별곡, 가시리, 서경별곡, 정석가, 사모곡, 이상곡, 만전춘, 쌍화점, 상저가 등이 대표적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위 증즐가 태평성ᄃᆞ

 

날러는 엇디 살라 ᄒᆞ고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위 증즐가 태평성ᄃᆞ

잡ᄉᆞ와 두어리마나ᄂᆞᆫ

선ᄒᆞ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태평성ᄃᆞ

 

셜온님 보내ᄋᆞᆸ노니 나ᄂᆞᆫ

가시ᄂᆞᆫ ᄃᆞᆺ 도셔 오셔서 나ᄂᆞᆫ

위 증즐가 태평성ᄃᆞ

 

 

 

 

 

 

 

4

경기체가

고려 중엽 무신의 난 이후 등장한 신흥 사대부 계층의 득의에 찬 삶과 향락적 생활을 드러내기 위해 창작된 노래

- 노래 끝에 () 긔 엇더ᄒᆞ니잇고 혹은 경기하여라는 후렴구가 붙어 경기하여가라고도 함.

- 몇 개의 연이 중첩되어 한 작품을 이루는 연장 형식임.

- 구체적 사물을 나열하면서 객관적 설명을 더하는 교술적 성격을 지님.

- , 경치, 기상 등을 제대로 삼아 선비들의 학식과 체험, 사물이나 경치 등을 노래하면서 신흥 사대부의 호탕한 기상과 자부심을 드러냄

-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등이 대표적

元淳文(원슌문) 仁老詩(인노시) 公老四六(공노)

李正言(니정언) 陳翰林(딘한림) 雙韻走筆(솽운주필)

冲基對策(튱긔) 光鈞經義(광균경의) 良鏡詩賦(량 경시부)

 試場(시댱) () 긔 엇더니잇고.

琴學士() 玉笋門生(옥슌뮨) 琴學士() 玉笋門生(옥슌뮨)

위 날조차 몃 부니잇고.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이규보와 진화가 쌍운을 맞추어 써내려간 글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 해석, 김양경의 시와 부

, 과거 시험장의 광경, 그것이 어떠합니까?

금의의 뛰어난 제자들, 금의의 뛰어난 제자들

, 나까지 몇 분입니까?

 

 

 

 

 

 

 

5

한시

원래 중국의 시가 양식이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지은 한시와 한문을 주로 사용하던 상류 계층의 한시를 이름.

- 크게 당나라 이전의 한시 형식인 고체시와 당나라 때부터 발달한 근체시로 나뉨

- 여수장우중문시, 추야우중, 제가야산독서당, 촉규화, 송인, 사리화, 보리타작, 고시8, 탐진촌요, 산민, 절명시 등이 대표적

 

한시의 형식

절구 : 4

(---)

오언 절구 : 다섯 글자씩 4

칠언 절구 : 일곱 글자씩 4

율시 : 8

(---)

오언 율시 : 다섯 글자씩 8

칠언 율시 : 일곱 글자씩 8

棉布新治雪樣鮮 새로 짜낸 무명이 눈결같이 고왔는데

면포신치설양선

黃頭來博吏房錢 이방 줄 돈이라고 황두가 뺏어 가네.

황두래박이방전

漏田督稅女星火 누전 세금 독촉이 성화같이 급하구나.

누전독세여성화

三月中旬道發船 삼월 중순 세곡선(稅穀船)이 서울로 떠난다고.

삼월중순도발선 - 정약용, <탐진촌요>

 

 

 

 

 

 

 

 

6

시조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엽에 완성된 정형시.

현재까지도 창작되고 있다.

- 발생 : 일반적으로 10구체 향가에서 기원하여 고려가요의 분장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고 봄.

(10구체 향가 낙구의 감탄사  시조의 종장의 감탄사)

- 초기에는 단가(短歌), 신조(新調), 가요 등으로 불리다가 가객 이세춘에 의해 시절가조(詩節歌調)’  시조로 불리게 됨.

- 처음에는 신흥 사대부들이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작향유하다가 점차 향유층이 확대되어 국민문학으로 승화됨.

- 형식 : 3 6 45자 내외.

3·4 / 4·4조의 4음보

종장의 첫음보는 3음절로 고정.

 

 

 

시조의 종류

평시조

시조의 기본형.

평시조 한 수로 되어 있으면 단시조’,

2수 이상의 평시조가 모여 한 작품을 이루면 연시조라고 함.

가마귀 눈비 마ᄌᆞ 희ᄂᆞᆫ 듯 검노ᄆᆡ라

야광명월이 밤인들 어두오랴.

님 향ᄒᆞᆫ 일편단심이야 고칠 줄이 이시랴.

- 박팽년

엇시조

평시조의 형식에서 종장 첫구절을 제외하고 어느 한 구절이 평시조보다 길어진 형태

천세를 누리소셔 만세를 누리소셔

무쇠 기동에 곳 픠여 여름 여러 ᄯᅡ 드리도록 누리소셔

그 밖에 억만 세 외에 ᄯᅩ 만세를 누리소셔

사설

시조

평시조 형식에서 종장 첫 구절을 제외하고 두 구절 이상이 길어지는 형태

주로 조선후기 평민들의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작품, 현실에 대한 풍자, 해학을 담은 작품들이 많음.

싀어마님 며ᄂᆞ라기 낫바 벽 바흘 구루지 마오.

빗에 바든 며ᄂᆞ린가 갑세 쳐 온 며ᄂᆞ린가. 밤나모 셕은 등걸에 휘초리 나니ᄀᆞᆺ치 앙살픠신 싀아버님, 볏 뵌 ᄉᆈᆺᄯᅩᆼᄀᆞᆺ치 되죵고신 싀어마님, 삼년 겨론 망태에 새 송곳부리ᄀᆞᆺ치 ᄲᅭ죡ᄒᆞ신 싀누의님, 당피 가론 밧ᄐᆡ 돌피 나니ᄀᆞᆺ치 ᄉᆡ노란 욋곳 ᄀᆞᆺ튼 피ᄯᅩᆼ 누ᄂᆞᆫ 아ᄃᆞᆯ ᄒᆞ나 두고,

건 밧ᄐᆡ 메곳 ᄀᆞᆺ튼 며ᄂᆞ리를 어듸를 낫바 ᄒᆞ시ᄂᆞᆫ고

시대별 주요 작가와 주제 의식

고려

주요 작가

우탁, 이조년, 이색, 최영, 정몽주, 이방원, 길재, 원천석 등

주제 의식

왕권 교체기의 위국충절, 패망한 나라에 대한 회고, 간신에 대한 풍자 등

조선

전기

주요 작가

황희, 맹사성, 김종서, 이개, 왕방연, 송순, 이황, 길재, 원천석, 황진이, 계랑, 홍랑 등

주제 의식

유학자들의 검소함과 담백한 정서, 충의 사상, 자연에 대한 동경, 강호한정, 유교적 이념

조선

후기

주요 작가

윤선도, 김상헌, 송시열, 박인로, 김천택, 김수장, 박효관, 안민영 등의 가객들, 평민 등

주제 의식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의 우국충절, 자연과 인정, 서민적인 소박한 생활 감정 등

 

 

 

 

 

 

 

 

 

7

가사

주로 사대부들이 자신의 이념과 정서를 시조보다 좀 더 긴 형식 속에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 창작한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의 노래.

- 고려말 ~ 조선 초기에 형태를 갖춤

-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발생.

-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이념과 정서를 시조보다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낸 양식

- 조선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개인의 서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짐.

그 가운데 시조가 확대되고, 가사가 크게 발전하게 됨

- 운문 문학에 속하지만, 개인의 정서 뿐 아니라 여행의 여정이나 감상, 교훈적인 내용 등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 교술 시가로도 볼 수 있음

 

가사의 형식

3·4, 4·4

4음보의 연속체

(길이 제한 X)

우리 민족의 호흡에 자연스럽게 일치

현실적, 유교적, 교훈적인 이념을 표현하는 데 알맞은 형태

시조 = 단가(短歌) / 가사 = 장가(長歌)

형식 = 운문

내용 = 산문

형식은 운문 문학에 속하지만, 그 내용은 개인적인 정서표현만이 아니라, 교훈적인 훈계나 여행의 견문과 감상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술 장르에 해당)

=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형태

마지막 행

정격 가사

마지막행이 시조 종장의 음수율(3·5·4·3)과 유사하게 끝남(조선 전기에 많이 나타남)

변격 가사

마지막행이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음 (조선 후기에 많이 나타남)

짜임

서사 - 본사 - 결사의 구조

마지막에는 시조의 종장과 흡사한 낙구가 있음

의의

시조와 더불어 조선시대 대표적인 문학 양식

형식은 운문/내용은 산문적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작자층

조선 전기

주로 양반 사대부들

조선 후기

작자층 확대  서민과 양반 사대부 계층의 부녀자들이 창작에 참여하여 그들의 애환 표출

 

 

 가사의 종류

은일 가사

관직을 떠나 자연 속에 은거하면서 자연 친화/안빈낙도/군자의 덕 등을 노래

정극인<상춘곡>, 송순<면앙정가>, 박인로<누항사>

유배 가사

유배를 통해 새롭게 얻은 경험과 견문을 노래

조위<만분가>, 정철<사미인곡>, <속미인곡>, 안조환<만언사>

기행 가사

여행하면서 보고 들은 것을 적음

정철<관동별곡>, 홍순학<연행가>, 김인겸<일동장유가>

내방 가사

양반 부녀자들이 주로 향유. 주로 봉건적 삶의 규범 아래 속박된 여성적 삶의 고민과 정서를 호소

허난설헌<규원가>, 작자미상<계녀가>

 

 

 

 조선 전기

- 양반 사대부 중심의 정격 가사가 대부분.

-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강호 한정, 연군지정(충의, 연군의 정을 남녀의 애정에 비유), 안빈낙도하는 군자의 미덕, 기행을 통해 얻은 견문 등을 주로 다룸

- 상춘곡, 면앙정가, 관서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등이 대표적

 

 조선 후기

- 작자층의 확대로 여성 및 평민들이 자신들의 생활을 사실적으로 다룬 작품들을 창작함.

 해학적인 표현으로 희극미 창출, 현실의 문제점 풍자 (우부가)

- 변격 가사 등장

- 수필에 가까운 장편 가사가 등장(산문화의 경향이 뚜렷해짐)

-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확대  기행 가사, 유배 가사

- 민요와 결합하여 잡가라는 새로운 형태를 낳기도 함.

- 선상탄, 누항사, 규원가, 일동장유가, 농가월령가, 만언사, 연행가 등이 대표적.

 

 

ᄒᆞᄅᆞ도 열두 ᄯᅢ ᄒᆞᆫ ᄃᆞᆯ도 설흔 날

져근덧 ᄉᆡᆼ각 마라 이 시ᄅᆞᆷ 닛쟈 ᄒᆞ니

ᄆᆞᄋᆞᆷ의 ᄉᆡᆼ쳐 이셔 골슈의 ᄭᅦ텨시니

편쟉이 열히 오나 이 병을 엇디ᄒᆞ리.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ᄎᆞᆯ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곳나모 가지마다 간ᄃᆡ 죡죡 안니다가

향 므든 ᄂᆞᆯ애로 님의 오ᄉᆡ 올므리라.

님이야 날인 줄 모ᄅᆞ셔도 내 님 조ᄎᆞ려 ᄒᆞ노라. - 정철 <사미인곡>

 

 




반응형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문학 - 향가  (1) 2020.09.15
고전문학 - 시조의 형식과 흐름  (0) 2020.09.15
고전문학 - 가사의 종류와 특성  (0) 2020.09.14
권필, <주생전> 해설 정리  (1) 2020.09.13
고전소설, <운영전> 해설 정리  (0) 202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