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

고전문학 - 시조의 형식과 흐름

by 솜비 2020. 9. 15.

고려말 -

 

시조의 형식

3장 6구 45자 내외

주로 4음보

종장의 첫음보는 3음절로 고정

 

 

고려말 유학을 신봉하는 신흥 사대부들이 경기체가로는 표현할 수 없는 유교이념을 담기 위해 만든 문학 양식

(점차 향유계층이 귀족, 평민으로 확대됨)

 

 

기원

고려가요 기원설(고려가요의 형태상 특징이 허물어지면서 단형화되어 만들어졌다는 설이 유력함)

10구체 향가에서 비롯됐다는 설

한시 번역과정에서 생성되었다는 설 등...... 

 

 

 

 

 

 

- 조선 초기 -

여성작가(기녀)들이 시조 창작에 참여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시기

이 시기는 주로 '유교적 이념, 자연에 대한 동경'이 주제

그러나 환경 변화에 따라 세부적으로 차이 있음

 

 

1. 조선 초

주류

- 고려 유신들의 회고가, 충절가

- 조선 초 개국 공신들의 송축가

- 강호가도(조선 초기 안정된 정서에서 비롯)

★ 맹사성 <강호사시가> : 최초의 연시조. 강호가도의 선구적 작품

        ↓

이황 <도산십이곡>

이이 <고산구곡가>

윤선도 <어부사시사> 에 영향을 줌

( ↑ 이현보 <어부가>의 영향을 받음 )

2. 세조 즉위 직후 

세조 비판, 단종에 대한 충성심 표현

(사육신, 생육신 중심의 충절가 多)

3. 성종 이후 안정기

유유자적하는 삶 노래

시조의 영역 확대

- 영남 가단, 호남 가단 형성​

- 기녀의 참여로 작자 계층 확대 (의의 : 상류층의 전유물이던 시조의 작가층을 확대했다는 점

        시조가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계기 마련 )​

 

영남 가단 : 심성을 닦는 것이 우위

호남 가단 : 풍류를 즐김

정철 <장진주사> : 최초의 사설시조

 

 

 

 

- 조선 후기 -

 

​향유계층이 사대부 → 평민층으로 확대

시조의 장형화(4음보의 정형성이 파괴됨)  → 사설시조 출현

​대중적 창법이 새로이 등장(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게 됨)

전문가객 등장 (평민 가객 - 김천택, 김수장, 박효관, 안민영)

가단 형성 / 가집 편찬​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             ↓

조선 후기 시조 부흥에 기여​

 

 

 

 

출처 및 참고 - 청소년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고전문학 - 시조의 형식과 흐름

반응형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산문 - 조선 전기  (0) 2020.09.16
고전문학 - 향가  (1) 2020.09.15
고전시가의 갈래와 특징  (0) 2020.09.14
고전문학 - 가사의 종류와 특성  (0) 2020.09.14
권필, <주생전> 해설 정리  (1) 202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