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

고전문학 - 가사의 종류와 특성

by 솜비 2020. 9. 14.

1. 가사의 발생 배경

- 고려말 ~ 조선 초기에 형태를 갖춤

-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발생.

-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이념과 정서를 시조보다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낸 양식

- 조선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개인의 서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짐.

그 가운데 시조가 확대되고, 가사가 크게 발전하게 됨

 

   

 

2. 가사의 특성 ★★★★★

3·4, 4·4

4음보의 연속체

(길이 제한 X)

우리 민족의 호흡에 자연스럽게 일치

현실적, 유교적, 교훈적인 이념을 표현하는 데 알맞은 형태

시조 = 단가(短歌) / 가사 = 장가(長歌)

형식 = 운문

내용 = 산문

형식은 운문 문학에 속하지만, 그 내용은 개인적인 정서표현만이 아니라, 교훈적인 훈계나 여행의 견문과 감상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술 장르에 해당)

=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형태

마지막 행

정격 가사

마지막행이 시조 종장의 음수율(3·5·4·3)과 유사하게 끝남(조선 전기에 많이 나타남)

변격 가사

마지막행이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음 (조선 후기에 많이 나타남)

짜임

서사 - 본사 - 결사의 구조

마지막에는 시조의 종장과 흡사한 낙구가 있음

의의

시조와 더불어 조선시대 대표적인 문학 양식

형식은 운문/내용은 산문적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작자층

조선 전기

주로 양반 사대부들

조선 후기

작자층 확대  서민과 양반 사대부 계층의 부녀자들이 창작에 참여하여 그들의 애환 표출

   

 

3. 가사의 종류

은일 가사

관직을 떠나 자연 속에 은거하면서 자연 친화/안빈낙도/군자의 덕 등을 노래

정극인<상춘곡>, 송순<면앙정가>, 박인로<누항사>

유배 가사

유배를 통해 새롭게 얻은 경험과 견문을 노래

조위<만분가>, 정철<사미인곡>, <속미인곡>, 안조환<만언사>

기행 가사

여행하면서 보고 들은 것을 적음

정철<관동별곡>, 홍순학<연행가>, 김인겸<일동장유가>

내방 가사

양반 부녀자들이 주로 향유. 주로 봉건적 삶의 규범 아래 속박된 여성적 삶의 고민과 정서를 호소

허난설헌<규원가>, 작자미상<계녀가>

   

 

 

4. 조선 전기 가사의 주제

- 임금에 대한 은총

- 벼슬길에 물러나 자연에 묻혀 살아가며(자연 친화) 안빈낙도하는 군자의 미덕을 노래

- 임금의 은혜를 잊지 못하는 충신연주지사의 성격을 지닌 작품이 대부분 (충의, 연군의 정을 남녀의 애정에 비유)

   

 

 

5. 조선 후기 가사의 변모

- 조선 전기 가사나 같은 시기의 시조에 비해 예술성이 다소 떨어지나,

문학이 당대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 변격 가사 등장

- 수필에 가까운 장편 가사가 등장  산문화의 경향이 뚜렷해짐

- 민요와 결합하여 잡가라는 새로운 형태를 낳기도 함.

-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확대  기행 가사, 유배 가사

- 여성 및 평민 작자층의 성장  내방 가사, 평민 가사 등장

- 주제와 표현 양식의 다변화

- 서민들도 작자층으로 등장  해학적인 표현으로 희극미 창출, 현실의 문제점 풍자 (우부가)

 

 

 

# 고전문학 조선시대 가사의 특징과 종류 고전문학 조선시대 가사의 특징과 종류

반응형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문학 - 시조의 형식과 흐름  (0) 2020.09.15
고전시가의 갈래와 특징  (0) 2020.09.14
권필, <주생전> 해설 정리  (1) 2020.09.13
고전소설, <운영전> 해설 정리  (0) 2020.09.13
수삽석남 설화  (1) 20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