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가(백수광부의 아내 / 고조선)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개인적 서정시
- 공후인 설화에 삽입되어 있는 가요
- 한역시가
- 집단의식요(구지가, 해가)→개인서정가요(황조가, 공무도하가)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작품
- 중심제재 : 물
‘물’의 이미지 변화 : 사랑→이별→죽음
* 고대 서정가요는 서사 문학과 시가 문학의 과도기적 형태로 배경 설화 속에서 삽입.
* 한역시가 : 원래 우리말로 지은 시가를 한문으로 번역해 기록한 것.
표기할 수 있는 문자가 한자밖에 없었기 때문에 한문으로 번역.
예) 공무도하가
* 한시 : 처음부터 한문으로 한시의 형식에 맞춰 지은 시. 예) 송인(정지상)
* 이별의 한(恨)을 노래한 작품 계보
공무도하가 → 정읍사 → 가시리 → 서경별곡 → 송인 → 황진이의 시조, 민요 → 진달래꽃
* 이별가에서 나타나는 물(원형적 심상)
공무도하가 → 서경별곡 → 송인
* 구지가(구간 등) 신라 유리왕
- 현전 최고(最高)의 집단 무가(巫歌)
- 주술적 집단 무요(위협을 통해 목적을 이루려 함)
- 한역 시가
- 사람들이 모여 흙을 두드리며 노래 부름 : 집단적, 제의적 노동요. 원시종합예술.
- 가락국 시조인 수로왕의 건국 신화 속에 삽입된 노래(고대 서사시의 흔적 엿볼 수 있음)
- 위협을 통해 목적을 이루려는 주술 문학의 성격. 영신군가(임금을 맞이하는 노래)
구지가(번작이끽야)→해가(입망포락번지끽)
* 황조가(유리왕) 고구려 유리왕 3년
- 현전하는 최고(最高)의 개인적 서정시
-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단계의 노래
- 자연물(꾀꼬리)을 빌려 우의적(寓意的)으로 표현. 객관적 상관물.
- 선경후정의 시상 전개 방식 취함
* 우의적 표현 :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다른 대상에 빗대는 식으로 돌려 말하는 표현
* 선경후정 : 작가 자신의 감정을 노래하기 전에 먼저 자연물에 의탁하여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수법
* 정읍사(어느 행상인의 아내) 백제
- 현전(現傳)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
- 한글로 전하는 가장 오래된 노래
- 서정시
- 고려와 조선 시대에 삼국 속악의 하나로 궁중악으로 불림
- 『악학궤법』:가사, 『고려사악지』:배경설화
- 달의 원형적 이미지 : 소망, 기원
- 시조의 연원으로 추정됨 : 여음을 제외하고 2음보 1구. 2구를 1장으로 묶으면 3장 6구.
* 전통적 여인상
정읍사 → 가시리 → 진달래꽃
* 해가(작자미상) 신라 성덕왕
- 주술적, 집단적
- 신라 시대 민간에 널리 전승되어 액을 막고 소원 성취를 비는 재액 극복의 주술요
- ‘구지가’가 후대에 전승되었음을 알려 주는 시가.
|
구지가 |
해가 |
공통점 |
집단가무 주술요, 노동요 ‘호명-명령-가정-위협’의 구조 한역시가 |
|
차이점 |
4언 4구 수로왕의 강림 기원 공적이고 집단적 노래 |
7언 4구 수로 부인의 귀환 기원 사적이고 개인적인 노래 |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 조선 후기 2 (0) | 2020.09.20 |
---|---|
고전 산문 - 조선 후기 1 (1) | 2020.09.17 |
고전 산문 - 조선 전기 (0) | 2020.09.16 |
고전문학 - 향가 (1) | 2020.09.15 |
고전문학 - 시조의 형식과 흐름 (0) | 2020.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