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산문문학과 관련된 용어들 정리>
ㆍ변증법
- 하나의 사물(正)이 그 발전 과정에서 스스로의 내부에 존재하는 모순으로 말미암아 자신을 부정하는 것(反)이 생기고,
다시 이 모순을 지향함으로써 보다 높고 새로운 것(合)에 이르게 된다는 논리
- ‘정(正) → 반(反) → 합(合)’의 과정을 거쳐 결론을 이끌어 내는 사고의 한 유형
ex) 자본주의(정) → 공산주의(반) → 수정자본주의(합)
ㆍ설(說)
설은 이치에 따라 사물을 해석, 시비를 밝히면서 자기 의견을 설명하는 형식의 한문 문체의 한 종류.
국문학상의 형식으로는 수필에 가장 가까운 글.
온갖 말을 사용하여 자세히 논술하는 것이 특징이다.
비유나 우의적 표현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구체적 사물을 대상으로 사리에 따라 설명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해 나가는 한문학의 한 양식이다.
ㆍ이규보의 ‘슬견설’의 구성상의 특징
‘설(說)’이라는 갈래는 ‘사실+의견’ 또는 ‘체험+깨달음’의 2단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우의적인 표현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글에서 우의적 표현이 활용된 점, 유추에 의한 사고의 확장과 주제의 보편화가 이루어진 점 등은 ‘설’의 일반적인 표현 형식을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견해를 논박하는 형식 통해 주제 제시한 것은 이 글만의 독특한 점이라 할 수 있다.
ㆍ김시습의 ‘금오신화’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 알려진 ‘금오신화’에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 등 5편이 수록되어 있음.
※ 금오신화의 소설적 특성
① 주인공들이 한결같이 재자가인적 인물이라는 점
②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으로 사물을 극히 미화시켜 표현했다는 점
③ 일상적ㆍ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내용을 그렸다는 점
이는 전기소설의 일반적인 성격으로 중국소설 ‘전등신화’의 영향을 어느정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들 작품 세계가 인간성을 긍정하고 현실 속에서 제도ㆍ인습ㆍ전쟁ㆍ인간의 운명 등과 강력히 대결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한편, 소설의 발달 과정에서 볼 때, 조신 설화에서 최치원 설화를 거쳐 국선생전에 이르러 소설의 단계에 접근하다가
금오신화에 이르러 소설이라는 문학 양식을 확립시켰고, 그 이후 소설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ㆍ중세 후기의 비평
국문학에서 비평의 발생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시에 대해 비평적 관심이 비롯된 것은 고려 시대부터이다.
문헌상으로는 이인로의 ‘파한집’이 시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보여준 첫 예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이규보의 ‘백운소설’,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역옹패설’을 거쳐 조선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이들 비평문학은 그 문학관의 측면에서 살필 때 ‘재도론’이라 할 수 있다.
재도란 ‘도를 싣는다’는 뜻으로서, 문학을 인간의 성정을 교화하는 계몽적 성격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편, 고려에서 출발한 비평문학은 중세 후기까지는 그 연장선상에 놓은 모습을 보인다.
서거정의 ‘동문선’, ‘동인시화’, 성현의 ‘용재총화’ 등이 그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을 통해 나타나는 문학관 역시 재도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산문 - 조선 후기 1 (1) | 2020.09.17 |
---|---|
고전문학 - 고대가요 (0) | 2020.09.16 |
고전문학 - 향가 (1) | 2020.09.15 |
고전문학 - 시조의 형식과 흐름 (0) | 2020.09.15 |
고전시가의 갈래와 특징 (0) | 2020.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