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

고전문학 - 한시

by 솜비 2020. 9. 21.

* 한시의 종류
1. 율시: 기승전결이 각각 2행씩 총 8행을 가져야 하고,

           1, 2, 4, 6, 8행의 끝에 각운(시행의 끝에 있는 '운')을 지니고 있어야 함
2. 절구 : 율시 절반의 형식을 가짐.

          기승전결 각각 1행씩 총 4행이 되면서 1, 2, 4행의 끝에 각운을 지님
3. 배율 : 12행 이상
4. 고시(고체시) : 당나라 이전, 이후에 씌여진 시. 이런 시들은 모두 규칙을 어기고 있음.

 

1행에 글자수가 5개면 - <5언>

1행에 글자수가 7개면 - <7언>
만약 6개나 7개가 한 행이 되어 있다면 이런 것을 <잡언구>라고 부르고

이런 잡언구가 섞여 있는 한시라면 규칙을 어긴 시로서 <고시>라 부름

 

 

 

 

신라 한시


* 여수장우중문시(을지문덕) 고구려 영양왕 
    - 5언 고시
    - 현전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한시
    - 풍자적, 반어적. 살수대첩.
    - 1,2 행의 대구
    - 억양법을 통한 조롱 : 대상을 높였다가 낮추어서 표현. 두 사실을 명백하게 대조시켜서 나타내고자 하는 사실을 강조.

 

 

 

 

* 제가야산독서당(최치원) 신라 말기
    - 7언 절구
    - 신라말 혼란한 시기에 6두품 지식인으로서 한계를 느끼고 가야산의 독서당에서 지은 시
    - ‘물’의 주관적 변용

      (주관적 변용이란? 자연물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것)
    - 제가야산독서당 : 화자 자신이 물로 산을 둘렀다.
    (비교) 십년을 경영하여 : 달, 바람에서  방 한칸을 내 주고 강과 산은 들일 방이 없어 병풍 처럼 둘러두고 보겠다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 밤이라는 추상적 시간을 허리라는 구체적 사물로 변형

 

 


* ‘물’의 의미
제가야산독서당 - 화자와 속세의 단절, 화자의 내면 갈등을 해소해주는 존재.
공무도하가 - 이별과 죽음
송인 - 임과의 단절
심청전 - 죽음과 재생

 

 

 

* 추야우중(최치원) 신라 말기
    - 5언 절구

 

 

* 야청도의성(양태사) 발해 문왕
    - 7언 고시(24행 장편 시가)
    - 도의성 : 다듬이 소리.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증폭시키는 소재. 
    - 청각적 심상이 주제로 승화됨.

 

 

 

 

 

 

고려 한시

 

* 송인(정지상) 고려 인종
     - 7언 절구
     - 도치법, 과장법, 설의법
     - 인간사와 자연사의 대비 ; 초색다(草色多)영원한 자연 ↔ 동비가(動悲歌)유한한 인간
                                       더욱 슬프게 느껴짐
     - 시상전개 : (서경+서정)+(서경+서정)

 

 

 

* 시벽(이규보) 고려
    - 5언 배율
    - 시작(詩作)에 대한 애정. 자족적 태도. 겸손.

 

 

* 동명왕편(이규보) 고려 고종
    - 5언 282구
    - 우리나라 최초 건국 서사시. 장편 영웅 서사시
    - 동명왕의 탄생. 고구려 건국 신화(주몽 신화)
    - 북방계 난생 설화. 
    - 신화적 구조 활용 : 천손 하강 모티프, 천부지모(天夫地母)형 구조

 

 

* 모티프
    - 문학 텍스트에 자주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정한 요소 
    - 가장 작은 서사적 단위.

 


* 부벽루(이색) 고려 말
    - 5언 율시
    - 선경후정의 시상전개 : 자연의 영원함↔인간 역사의 유한함
    -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
    - 원나라의 오랜 침략으로 극도로 쇠약해져 있던 고려의 기상이 회복되기를 바라는 소망.
    - 고구려의 자주적 민족 국가로서의 위상 회복 염원
    - 우국지정(나랏일을 근심하는 마음)

 

 

* 독두시(이색) 고려 말
    - 두보의 시 인용
    - 두보의 절의를 예찬(충절, 현실 비판 의식)

 

 

* 사리화(이제현) 고려 말
    - 7언 절구의 한역시
    - 풍자적, 상징적
    - 가혹한 수탈로 인한 농민들의 비참한 삶

 

 

* 잠시 쾌활한 일(일연) 고려
    - ‘조신 설화’에 한 작가의 생각을 운문 형식으로 기술
    - 인생은 한바탕 꿈임을 나타냄.

 

 

 

▶ 이전글 보기

[문학] - (고전문학) 향가

[문학] - (고전문학) 고대가요

반응형

'문학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소설, <홍계월전> 해설 정리  (0) 2021.12.15
박지원, '허생전' 해설 정리  (6) 2021.07.07
고전산문 - 조선 후기 3  (0) 2020.09.20
고전산문 - 조선 후기 2  (0) 2020.09.20
고전 산문 - 조선 후기 1  (1) 2020.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