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고은, '선제리 아낙네들' 해석 / 해설

by 솜비 2021. 7. 10.

먹밤중 한밤중 새터 중뜸 개들이 시끌짝하게 짖어댄다.
(시간적 배경) (집에 돌아가는 길에 있는 마을. 공간적 배경)
이 개 짖으니 저 개도 짖어
들 건너 갈뫼 개까지 덩달아 짖어댄다. (갈뫼 : 마을 이름)
이런 개 짖는 소리 사이로
언뜻언뜻 까 여 다 여 따위 말끝이 들린다. (종결어미 '-까', '-여', '-다'를 통해 아낙네들의 대화장면을 표현)
밤 기러기 드높게 날며
추운 땅으로 떨어뜨리는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기러기 울음소리가 아낙네들의 목소리와 조화됨.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풍경 표현)
앞서거니 뒤서거니 의좋은 그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의좋은 그 소리 : 민중에 대한 화자의 애정어린 시선)
콩밭 김칫거리
아쉬울 때 마늘 한 접 이고 가서
군산 묵은 장 가서 팔고 오는 선제리 아낙네들
(선제리 아낙네들의 생활 터전)
팔다 못해 파장 떨이로 넘기고 오는 아낙네들
(콩밭~아낙네들 : 선제리 아낙네들의 기난하고 고달픈 삶을 형상화함)
시오 리 길 한밤중이니
십리길 더 가야지
빈 광주리야 가볍지만
빈 배 요기도 못하고 오죽이나 가벼울까. (반어적 표현. 선제리 아낙네들의 고달픈 삶의 모습에 대한 연민)
그래도 이 고생 혼자 하는게 아니라
못난 백성
못난 아낙네 끼리끼리 나누는 고생이라.
(공동체적인 정서적 유대감 - 민중이 삶의 고달픔을 이겨낼 수 있는 바탕이다)
얼마나 의좋은 한세상이더냐. (민중의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
그들의 말소리에 익숙한지
어느새 개 짖는 소리 뜸해지고
밤은 내가 밤이다 하고 말하려는 듯 어둠이 눈을 멀뚱거린다. (밤이 깊어가는 것을 의인법으로 표현)


- 선제리 : 군산에 있는 마을 이름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민중적, 토속적, 사실적, 감각적, 긍정적
주제 : 고단한 생활 속에서도 의좋게 살아가는 민중의 삶
특징과 표현 1. 고단한 인생에 대한 시인의 긍정적 관점을 보임
2. 청각, 시각 등의 감각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사용
(청각적 이미지를 적절히 활용 - 개 짖는 소리, 기러기 울음소리, 아낙네들의 말소리)
3.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평이하고 사실적으로 묘사
4. 유사한 통사구조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
5. 시상의 전개 방식(청각 → 시각, 시끄러움 → 잠잠해짐, 힘들고 고됨 → 정겨움)
6. 선제리 아낙네들 = 못난 백성
→ 고단한 삶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살아가는 민중의 모습

시상의 흐름
1~8행 : 선제리 아낙네들이 밤에 장에서 돌아오는 장면
9~20행 : 선제리 아낙네들의 고단한 삶과 정겨운 마음씨
21~23행 : 아낙네들의 정겨운 모습 위에 깔리는 밤길의 정경



고은, <선제리 아낙네들> 원문


먹밤중 한밤중 새터 중뜸 개들이 시끌짝하게 짖어댄다.
이 개 짖으니 저 개도 짖어
들 건너 갈뫼 개까지 덩달아 짖어댄다.
이런 개 짖는 소리 사이로
언뜻언뜻 까 여 다 여 따위 말끝이 들린다.
밤 기러기 드높게 날며
추운 땅으로 떨어뜨리는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의좋은 그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콩밭 김칫거리
아쉬울 때 마늘 한 접 이고 가서
군산 묵은 장 가서 팔고 오는 선제리 아낙네들
팔다 못해 파장 떨이로 넘기고 오는 아낙네들
시오 리 길 한밤중이니
십리길 더 가야지
빈 광주리야 가볍지만
빈 배 요기도 못하고 오죽이나 가벼울까.
그래도 이 고생 혼자 하는게 아니라
못난 백성
못난 아낙네 끼리끼리 나누는 고생이라.
얼마나 의좋은 한세상이더냐.
그들의 말소리에 익숙한지
어느새 개 짖는 소리 뜸해지고
밤은 내가 밤이다 하고 말하려는 듯 어둠이 눈을 멀뚱거린다.




옛날에 기록해둔 자료여서 자습서로 추정되나 출처불분명합니다
출처 알게되면 기재하겠습니다

# 고등문학 현대문학 현대시 고은 선제리 아낙네들 해석 해설 정리 핵심정리 시상의 흐름 짜임 갈래 성격 주제 표현 특징 고등문학 현대문학 현대시 고은 선제리 아낙네들 해석 해설 정리 핵심정리 시상의 흐름 짜임 갈래 성격 주제 표현 특징 고등문학 현대문학 현대시 고은 선제리 아낙네들 해석 해설 정리 핵심정리 시상의 흐름 짜임 갈래 성격 주제 표현 특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