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외적초점화, 내적초점화, 선택적 전지, 일원묘사

by 솜비 2021. 3. 18.

※ 외적초점화와 내적초점화의 개념 정의
이야기 속에서 화자는 서술 화자로서의 역할, 초점 주체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특히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1인칭 소설의 경우에는 서술 화자와 초점 주체라는 용어는 서술자아와 경험자아에 해당한다고 보면 이해가 쉽다.

 

작품 속에서
- 서술자아와 경험자아가 일치할 경우
: 서술자아는 사건을 바라보는 초점 주체와 사건을 서술하는 서술 화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이때의 모든 사건은 서술자아의 시각으로 제시되므로 외적초점화에 해당한다. 즉, 외적초점화는 초점 주체의 존재보다는 서술화자의 존재가 더 뚜렷이 부각되고, 독자는 이 서술화자의 초점을 따라 사건을 파악하게 된다.
- 서술자아와 경험자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 초점 주체와 서술 화자 사이에는 시간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 때 초점 주체는 경험 자아이므로 사건에 대한 관점은 경험자아가 겪는 행동의 시공간에 국한된 인식수준에서 초점화되고, 따라서 내적 초점화가 된다.
초점화 이론에서는 기존의 시점 개념과 달리 보는 이와 말하는 이를 따로 인식하고 있으며,
서술자 = 누가 말하는가
시점 = 누구의 눈으로 보는가
내적 초점화 = 인물의 내면을 알 수 있음
외적 초점화 = 인물의 내면을 알 수 없음
제로 초점화 = 전지적 작가 시점



※ 시점과 초점화
소설에서 이야기하는 행위 전체를 서술이라 부른다면, 서술이란 말 속에 시점이 내포되게 될 것이다. 엄밀하게 구분하자면 서술은 “누가 말하는가”에 해당하고, 시점은 “누가 보았는가”에 해당한다.
우리는 보통 어떤 사건을 목격한 사람이 그 사건에 대한 이야기도 전할 수 있으므로 본 사람과 말하는 사람이 일치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갖기 마련이다. 그래서 영미쪽의 소설 이론서들은 시점(point of view)이라는 용어를 거의 서술(narration)과 같은 개념으로 써왔고 우리도 그 영향을 받아 시점이란 단어를 서술과 같은 개념으로 쓰곤 했다. 예를 들면 3인칭 시점과 3인칭 서술을 같은 개념으로 사용했던 것이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이 두 가지가 꼭 일치하지는 않는다. 말하는 사람(서술자)과 보는 사람(시점)이 일치하는 게 보통이지만, 소설에서는 이 두 가지가 분리될 수 있다. 다음 인용문을 보자.

석방 포로 이명준(李明俊)은, 오른편의 곧장 갑판으로 통한 사닥다리를 타고 내려가, 배 뒤쪽 난간에 가서, 거기에 기대어 선다. 담배를 꺼내 물고 라이터를 켜댔으나 바람에 이내 꺼지고 하여, 몇 번이나 그르친 끝에, 그 자리에 쭈그리고 앉아서 오른팔로 얼굴을 가리고 간신히 댕긴다. 그때다. 또 그 눈이다. 배가 떠나고부터 가끔 나타나는 허깨비다. 누군가 엿보고 있다가는, 명준이 휙 돌아보면, 쑥, 숨어 버린다. 헛것인 줄 알게 되고서도 줄곧 멈추지 않는 허깨비다. 이번에는 그 눈은, 뱃간으로 들어가는 문 안쪽에서 이쪽을 지켜보다가, 명준이 고개를 들자 쑥 숨어 버린다. 얼굴이 없는 눈이다.

“석방 포로”부터 “간신히 댕긴다.”까지의 문장은 이명준이란 주인공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이때 서술자는 제 3자로서 외부 어느 곳에서 이명준을 보고 이명준의 행위를 이야기한다. 따라서 여기까지는 말하는 사람과 보는 사람이 일치한다. 제 3 자인 서술자는 자기가 본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그 다음 “그때다. 또 그 눈이다.”부터는 사정이 달라진다. 배가 떠나고부터 가끔 나타나는 허깨비를 보는 것은 이명준의 눈이다. 주인공 이명준의 눈에 비친 것을 제 3자인 서술자가 이야기하고 있다. 보는 사람은 이명준인데 이야기하는 사람은 제 3 자인 서술자이다. 이때 시점과 서술은 분리되어 버린다. 허깨비가 나타났다 사라지곤 하는 것은 이명준의 눈에 포착된 것이고, 이야기를 하는 서술자는 이명준이 아니라 딴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시점의 주체와 서술자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바라보는 사람의 눈을 시점이라는 용어와 구분하기 위하여 “초점화(focalization)"라고 부른다. 이런 용어를 제안한 사람은 쥬네뜨라는 프랑스의 이론가였는데 지금은 상당히 일반화되어 쓰이고 있다.
그리고 이 눈을 인격적 주체로 보면 초점화자라 일컬을 수 있는데, 앞에서 말한 대로 “누가 보느냐”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초점화자가 이야기의 내부에 등장하는 인물이면 내부초점화, 그렇지 않고 이야기의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보고 있는 인물이면 외부초점화라 부른다. 1인칭 서술에서도 내부초점화와 외부초점화가 있을 수 있고, 3인칭 서술에서도 내부초점화와 외부초점화가 있을 수 있다.
위에 인용한 최인훈의 <광장>은 3인칭 서술이면서 인물의 시각에 포착된 것을 제 3자가 서술하는 대목이 무척 많다. 이런 경우는 3인칭 서술의 내부초점화라 말할 수 있다. 전통적인 전지적 시점의 3인칭 서술은 외부초점화에 주로 의존하게 된다.

어둠이 완전히 걷히자 밤의 섬세한 발 틈으로 세류(細流)가 되어 흐르던 냄새는 억지로 참았던 긴 숨처럼 거리 곳곳에서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아, 그제야 나는 그 냄새의 정체를 알 수 있었다. 그 냄새는 낯선 감정을 대번에 지우고 거리는 친숙하고 구체적으로 내게 다가왔다. 그것은 나른한 행복감이었고 전날 떠나온 피난지의 마을에 깔먹여진 색채였으며 유년(幼年)의 기억이었다.

위 글은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에서 발췌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1인칭 서술 상황인데, 때에 따라서는 등장인물인 아홉 살 난 여자아이의 시각이 아니라 성인이 된 이후의 시각으로 이야기를 진술할 때도 있다. 이런 경우 외부초점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대부분의 1인칭 서술에서는 내부초점화가 보통이지만, 특별히 외부초점화가 부분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초점화 (서술과 시점이 일치하지 X)​

          말하는 사람/보는 관점



※ 선택적 전지시점
<메밀꽃 필 무렵>에서 전지적 작가 시점을 취하고 있지만, 허생원의 입장에서만 거의 다뤄지고 있으며 허생원의 심리에서만 주로 나타난다. 즉, 전지적 시점 안에서 서술자가 특정 인물의 눈으로만 서술하여 특정 인물이 초점화/초점자(초점화자)가 되는 경우를 말함.



※ 일원묘사
일원묘사 = 초점화 중 내적 초점화에 해당
시점 개념으로는 전지적 작가 시점인데, 딱 한 명만 따라다니며 그 심리상황까지 읊어주는 것.
(ex. 약한자의 슬픔)  김동인, <약한자의 슬픔> 정리

일원묘사는 인형조종술을 위한 기법. 일원묘사법은 오로지 그 인물의 시선에 포착된 것만 서술하는 건데 작가가 마음대로 하는 인형조종술하고 상충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도 작가의 의도. 독자가 보기에는 1인칭 시점에서 주인공의 눈으로, 주인공이 자율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마저도 작가가 조종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작중 인물의 눈에 비치지 않은 것은 철저히 무시하고 결국은 의도한 바만 그려내는 것. 전지적 작가시점이지만 엘리자베트의 눈에 비친 것만 서술을 하니까 마치 1인칭 주인공 시점처럼 느껴지는 것.

 

 

 

오래된 자료여서 출처가 없음. 출처 알게되면 기재하겠음.

 

# 외적초점화, 내적초점화, 선택적 전지, 일원묘사 선택적 전지 시점 초점화 오정희 중국인거리 최인훈 광장 인형조종술 김동인 약한자의 슬픔  외적초점화, 내적초점화, 선택적 전지, 일원묘사 선택적 전지 시점 초점화 오정희 중국인거리 최인훈 광장 인형조종술 김동인 약한자의 슬픔  외적초점화, 내적초점화, 선택적 전지, 일원묘사 선택적 전지 시점 초점화 오정희 중국인거리 최인훈 광장 인형조종술 김동인 약한자의 슬픔 

반응형

'문학 > 현대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순원, <별> 해설 정리  (0) 2021.04.06
이광수, <무정> 정리  (1) 2021.03.18
김동인, <약한자의 슬픔> 정리  (0) 2021.03.16
김동리, <역마> 해설 정리  (1) 2021.03.15
최명익, <심문> 해설 정리  (2) 202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