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현대소설사 3

by 솜비 2019. 9. 17.

[문학] - 현대소설사 1

 [문학] - 현대소설사 2

 

1960년대 순수/참여

· 60년대 문학의 가장 큰 특징은 닫힌 공간으로서의 ‘밀실’에 대한 인식과 열린 공간으로서의 ‘광장’에 대한 갈망

최인훈, ‘광장’이 대표적.

 

· 60년대 소설의 ‘밀실’에 대한 의식은 자유에 대한 정치적·현실적 압박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라 볼 수 있음

⇒ 70, 80년대 우리 소설에서 주요한 제재로 자리잡기에 이름

이러한 유형의 첫 번째가 ‘밀실’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 즉, 감시와 통제, 연행과 고문이 자행되는 비리화 된 사회를 암시 하는 동시에 열린 세계와 자유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것

(이호철,‘문’, 이청준,‘잔인한 도시’, 이정환,‘까치방’ 등)

 

· 매우 다양한 문학들이 독특한 서사구조를 갖추고 등장

- 이호철 : 최인훈의 관념성과는 다르게 구체적 형상성 표현(소시민)

- 김승옥 : 감각적 문체로 삶의 개별화 현상,도시적 삶의 위선성 그림(생명연습, 서울,1964년 겨울, 무진기행)

- 이청준 : 폭력, 억압에 대한 부정을 자유의 정신으로 밀고 나감(소문의 벽, 별을 보여드립니다, 침몰선 등)

· 이외에도 안수길,‘북간도’, 전광용,‘꺼삐딴 리’, 박영준,‘종각’ 등도 이 시대의 대표작

 

 

 

 

 

1970년대 산업화, 도시화, 이촌향도, 도시빈민 생성됨

· 순수/참여⇒‘민중문학’이라는 관점으로 통합되는 시기

· 60년대가 관념적 인식과 상징에 의존했다면, 70년대는 현실적 삶에 초점을 맞추는 양상을 보여줌

그 대표적 형태 : 농촌 공동체의 해체와 근대화에 대한 비판

- 이문구 : ‘관촌수필’, ‘해벽’, ‘우리동네’ 연작이 선구적 역할

 

· 노동현실의 소설화 양상 두드러짐

- 황석영 : 삼포가는 길, 객지

- 윤흥길 :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직선과 곡선,날개 또는 수갑

- 조세희 :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연작 형태의 장편소설)

 

· 70년대는 정치적 삶과 경제적 삶의 불균형 상태를 낳음으로써 불완전성을 내포한 시대 ⇒ 병리적 상징으로 나타나서 불완전한 인물과 병실공간의 등장이 이루어짐

- 이청준 : 퇴원, 병신과 머저리, 황홀한 실종

- 박태준 : 실금

- 정종명 : 이명

- 최인호 : 견습환자

 

· 도시형 소설의 다량 생산

- 박완서 : 도시의 흉년, 서울 사람들

- 이동하 : 도시의 늪, 장난감 도시

- 신상웅 : 도시의 자전

- 최인호 : 타인의 방

 

· 역사소설이 큰 호응을 얻음

- 안수길,‘북간도’, 박경리,‘토지’, 유주현,‘조선총독부’ 등

 

· 70년대 소설에는 제3세계적 시각이 폭넓게 깔려 있다

(결정적 영향 : 월남참전)

- 신상웅,‘분노의 일기’, 조해일,‘아메리카’, 이문구,‘해벽’ 등

 

· 이외에도 다양한 작가들이 나름대로의 개성적 문학관을 펼침

- 오정희 : 직녀, 불의강

- 서영은 : 야만인, 침입자

- 최일남 : 둘째 사위

- 이문열 : 사람의 아들, 들소

- 김성동 : 만다라

 

 

 

 

1980년대

· 광주민주화 항쟁, 노동자들의 생종권 투쟁 ⇒ 갈등의 시대

(이에 대한 반작용, 돌파구로 진보적 역사관이 목소리를 높인 시기)

· 진보의 열기에서 비켜선 자리에서 문학을 한 작가들

- 이문열 : 금시조, 칼레파 타 칼라,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전상국 : 우상의 눈물

- 이동하 : 폭력 연구

- 고원정 : 거인의 잠

등이 소재의 확대를 가져옴

 

· 광주체험의 충격에서 벗어나려는 노력

- 김유택 : 먼길

- 임철우 : 봄날, 직선과 독가스

 

· 광주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수많은 노동자의 출현으로 빚어진 진보의 흐름들. 시대적 피해자라는 인식으로부터 생성된 노동자의 주체적인 자각은 80년대 소설문학의 가장 커다란 성과이면서 특징.

- 김일남 : 파도

- 정도삼 : 새벽기차

- 유순하 : 생성

⇒ 이러한 작품들의 기본 골격은 노동자와 자본가의 대립, 자본가의 탄압에 대한 노동자의 집단적 행동, 그로부터의 승리/낙관적 전망의 제시라는 틀을 지니고 있음.

 

· 분단문학의 성격

① 전 세대에 벌어졌던 이데올로기 대립이

오늘날의 우리의 삶과는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묻는 작품들

- 윤정모,‘님’, 이창동,‘소지’

② 이데올로기 자체의 허구성과 이로 인한 비극을 다룸

- 이문열,‘영웅시대’

③ 해방 직후의 삶을 통해 우리 삶의 비극의 원천을 형상화

- 김원일,‘겨울골짜기’, 조정래,‘태백산맥’

 

 

[문학] - 현대소설사 1

[문학] - 현대소설사 2

 

 

반응형

'문학 > 현대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현대시의 흐름 2  (0) 2019.09.19
한국 현대시의 흐름 1  (0) 2019.09.19
현대소설사 2  (0) 2019.09.17
현대소설사 1  (0) 2019.09.16
조지훈, '다부원에서'  (0) 2019.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