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by 솜비 2019. 1. 3.

 

국어의 계통과 국어사의 시대 구분

 

1. 국어의 계통과 형성

 

 

 

2. 국어의 특징

계통상 : 알타이어족

형태상 : 교착어(첨가어)

문자상 : 표음 문자

 

3. 국어의 시대 구분

 

 

 

 

 

 

 

 

 

 

 

 

 

 

 

 

 

 

 

 

 

 

한글의 제자 원리와 특성

 

1

한글 창제 시기와 창제 이유

창제 시기 : 한글은 탄생 기록이 있는 유일한 문자 :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

창제 이유

한자 표기는 우리의 말소리와 글자가 일치하지 않아 우리말을 표기하는 데 한계가 있음.

일반 백성은 한자를 익히기가 어려워 글을 읽고 쓸 수 없고,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그 뜻을 제대로 전하기가 어려움. (백성이 익히고 쓰기 쉬운 문자 창제)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의미

오늘날 한글이라고 부르는 글자의 이름

책의 이름(해례본)

한글의 창제 정신

자주 정신 - 중국과 우리나라의 차이 인식

애민 정신 - 문자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백성들에 대한 배려

실용 정신 -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문자로 제작

 

 

 

2

자음의 제자 원리

상형의 원리 (기본자)

소리를 내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듦

가획의 원리 (가획자)

기본자에 획을 더해 소리의 세기를 나타냄.

이체의 원리 (이체자)

소리의 세기와 무관하게 글자의 모양을 달리하여 만듦

 

소리

본뜬 모양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

어금닛소리 牙音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

혓소리 舌音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

,

(반혓소리, 반설음)

입술소리 脣音

입의 모양

,

 

잇소리 齒音

이의 모양

,

(반잇소리, 반치음)

목구멍소리 喉音

목구멍의 모양

,

 

상형(5) + 가획(9) + 이체(3) = 17

현재 쓰이지 않는 자음 = , ,

 

 

 

 

 

 

 

 

 

 

자음(초성)의 제자 원리

 

기본자

1회 가획

2회 가획

이체자

각자 병서

합용 병서

연서

어금닛소리(아음)

 

, ,

, ,

,

, ,

,

 

혓소리(설음)

 

입술소리(순음)

 

ㅱ ㅸ ㆄ ㅹ

잇소리(치음)

,

 

목구멍소리(후음)

 

 

전청

(예사소리)

차청

(거센소리)

전탁

(된소리)

불청불탁

(울림소리)

ㄴ ㄹ ㅁ ㅇ

ㆁ ㅿ

 

 

자음(종성)의 제자 원리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 종성의 글자를 별도로 만들지 아니하고 초성을 다시 종성에 사용한다

 

 

 

 

 

 

 

 

 

 

 

 

 

3

모음의 제자 원리

 

원리

내용

예시

기본자

상형

하늘, , 사람의 모양을 본떠 만듦.

삼재(三才)

본뜬 모양

기본자

하늘의 둥근 모양

땅의 평평한 모양

사람이 서 있는 모양

초출자

합성

기본자 중 ’, ‘를 결합

, , ,

재출자

초출자에 를 한 번 더 결합하여 만듦

, , ,

합용자

합용

모음에서 초줄자 간에 붙여 쓰거나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에 를 붙여 쓰는 방법

, , , , , , , ㅔ ㆉ, , , , ,

 

 

 

 

 

 

 

 

 

 

 

4

한글의 특성과 우수성

 

한글의 특성

조직적

체계적

기본자를 만들고, 나머지 글자는 거기에서부터 파생해가는 이원적인 구성

음성적으로 같은 계열에 속하는 글자들은 서로 비슷한 모양을 지님 (, , )

실용적

배우기 쉬우며, 자모 24자만 익히면 이들을 조합하여 문자 생활을 할 수 있음

개방성

자음과 모음의 기본자를 바탕으로 가획, 병서나 연서, 합용과 같은 여러 방법을 사용하여 많은 글자를 만듦

독창적

남의 문자를 계승하거나 빌려 쓴 것이 아니라,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독창적으로 만듦.

과학적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현대의 언어학 이론에 들어맞는 과학적인 체계를 지님.

국어의 음성 및 음운 구조를 정확하고 치밀하게 분석하여 제자에 반영

기본자와 나머지 글자들 사이에 음성학적 관계가 반영되어 있음

 

모아쓰기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지는 음소문자이므로 자음 글자, 모음 글자 하나하나가 독립된 글자들임.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때, 소리가 분석되는 최소 단위인 음소(자음, 모음)로 문자를 만들고,

이것이 모여 소리를 낼 때를 고려하여 음절 단위로 모아쓰도록 규정.

“ ‘, , , , , 는 초성의 아래에 붙여 쓰고, ‘, , , , 는 초성의 오른쪽에 붙여 쓴다라고 규정하여 ㄴㅏㅁㅜ처럼 풀어 쓰지 않고, ‘나무처럼 음절 단위로 모아쓴다.

 

모아쓰기의 장점

- 글자를 읽기 편하고, 뜻을 알기 쉬워서 독서에 능률적.

- 조사와 어미가 발달한 첨가어에 적합

- 정보화 사회에서 생존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 (컴퓨터 자판에 자음, 모음을 입력하면 저절로 모아쓰기 형태의 글자를 만들어주어 빠르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음)

 

 

  본 자료는 전문서적과 자습서를 참고하여 본인이 직접 작성한 것임을 밝힙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