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계통과 국어사의 시대 구분 |
1. 국어의 계통과 형성
2. 국어의 특징
형태상 : 교착어(첨가어)
문자상 : 표음 문자
3. 국어의 시대 구분
한글의 제자 원리와 특성 |
1 |
한글 창제 시기와 창제 이유 |
• 창제 시기 : 한글은 탄생 기록이 있는 유일한 문자 : 1443년 창제 → 1446년 반포 • 창제 이유 ① 한자 표기는 우리의 말소리와 글자가 일치하지 않아 우리말을 표기하는 데 한계가 있음. ② 일반 백성은 한자를 익히기가 어려워 글을 읽고 쓸 수 없고,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그 뜻을 제대로 전하기가 어려움. (백성이 익히고 쓰기 쉬운 문자 창제) •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의미 ① 오늘날 ‘한글’이라고 부르는 글자의 이름 ② 책의 이름(해례본) • 한글의 창제 정신 ① 자주 정신 - 중국과 우리나라의 차이 인식 ② 애민 정신 - 문자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백성들에 대한 배려 ③ 실용 정신 -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문자로 제작 |
2 |
자음의 제자 원리 |
상형의 원리 (기본자) |
소리를 내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듦 |
가획의 원리 (가획자) |
기본자에 획을 더해 소리의 세기를 나타냄. |
이체의 원리 (이체자) |
소리의 세기와 무관하게 글자의 모양을 달리하여 만듦 |
소리 |
본뜬 모양 |
기본자 |
가획자 |
이체자 |
어금닛소리 〔牙音〕 |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 |
ㄱ |
ㅋ |
ㆁ |
혓소리 〔舌音〕 |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 |
ㄴ |
ㄷ, ㅌ |
ㄹ (반혓소리, 반설음) |
입술소리 〔脣音〕 |
입의 모양 |
ㅁ |
ㅂ, ㅍ |
|
잇소리 〔齒音〕 |
이의 모양 |
ㅅ |
ㅈ, ㅊ |
ㅿ (반잇소리, 반치음) |
목구멍소리 〔喉音〕 |
목구멍의 모양 |
ㅇ |
ㆆ, ㅎ |
|
상형(5자) + 가획(9자) + 이체(3자) = 17자
현재 쓰이지 않는 자음 = ㆆ, ㆁ, ㅿ
※ 자음(초성)의 제자 원리
|
기본자 |
1회 가획 |
2회 가획 |
이체자 |
각자 병서 |
합용 병서 |
연서 |
어금닛소리(아음) |
ㄱ |
ㅋ |
|
ㆁ |
ㄲ |
ㅺ, ㅼ, ㅽ ㅳ, ㅄ, ㅶ ㅴ, ㅵ ㅧ, ㄺ, ㄻ ㄼ, ㅭ |
|
혓소리(설음) |
ㄴ |
ㄷ |
ㅌ |
ㄹ |
ㄸ |
| |
입술소리(순음) |
ㅁ |
ㅂ |
ㅍ |
|
ㅃ |
ㅱ ㅸ ㆄ ㅹ | |
잇소리(치음) |
ㅅ |
ㅈ |
ㅊ |
ㅿ |
ㅆ, ㅉ |
| |
목구멍소리(후음) |
ㅇ |
ㆆ |
ㅎ |
|
ㆅ |
|
전청 (예사소리) |
차청 (거센소리) |
전탁 (된소리) |
불청불탁 (울림소리) |
ㄱ |
ㅋ |
ㄲ |
ㄴ ㄹ ㅁ ㅇ ㆁ ㅿ |
ㄷ |
ㅌ |
ㄸ | |
ㅂ |
ㅍ |
ㅃ | |
ㅅ |
|
ㅆ | |
ㅈ |
ㅊ |
ㅉ | |
ㆆ |
ㅎ |
ㆅ |
※ 자음(종성)의 제자 원리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 종성의 글자를 별도로 만들지 아니하고 초성을 다시 종성에 사용한다
3 |
모음의 제자 원리 |
|
원리 |
내용 |
예시 | ||||||||||||
기본자 |
상형 |
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본떠 만듦. |
| ||||||||||||
초출자 |
합성 |
기본자 중 ‘ㆍ’와 ‘ㅡ’, ‘ㆍ’와 ‘ㅣ’를 결합 |
ㅗ, ㅏ, ㅜ, ㅓ | ||||||||||||
재출자 |
초출자에 ‘ㆍ’를 한 번 더 결합하여 만듦 |
ㅛ, ㅑ, ㅠ, ㅕ | |||||||||||||
합용자 |
합용 |
모음에서 초줄자 간에 붙여 쓰거나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에 ‘ㅣ’를 붙여 쓰는 방법 |
ㅘ, ㅝ,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ㅙ, ㅞ |
4 |
한글의 특성과 우수성 |
한글의 특성 | |||
조직적 체계적 |
① 기본자를 만들고, 나머지 글자는 거기에서부터 파생해가는 이원적인 구성 ② 음성적으로 같은 계열에 속하는 글자들은 서로 비슷한 모양을 지님 (ㅅ, ㅈ, ㅊ) | ||
실용적 |
배우기 쉬우며, 자모 24자만 익히면 이들을 조합하여 문자 생활을 할 수 있음 | ||
개방성 |
자음과 모음의 기본자를 바탕으로 가획, 병서나 연서, 합용과 같은 여러 방법을 사용하여 많은 글자를 만듦 | ||
독창적 |
남의 문자를 계승하거나 빌려 쓴 것이 아니라,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독창적으로 만듦. | ||
과학적 |
①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현대의 언어학 이론에 들어맞는 과학적인 체계를 지님. ② 국어의 음성 및 음운 구조를 정확하고 치밀하게 분석하여 제자에 반영 ③ 기본자와 나머지 글자들 사이에 음성학적 관계가 반영되어 있음 |
• 모아쓰기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지는 음소문자이므로 자음 글자, 모음 글자 하나하나가 독립된 글자들임.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때, 소리가 분석되는 최소 단위인 음소(자음, 모음)로 문자를 만들고, 이것이 모여 소리를 낼 때를 고려하여 음절 단위로 모아쓰도록 규정. “ ‘ㆍ, ㅡ, ㅗ, ㅜ, ㅛ, ㅠ’는 초성의 아래에 붙여 쓰고, ‘ㅣ, ㅏ, ㅓ, ㅑ, ㅕ’는 초성의 오른쪽에 붙여 쓴다”라고 규정하여 ‘ㄴㅏㅁㅜ’처럼 풀어 쓰지 않고, ‘나무’처럼 음절 단위로 모아쓴다.
• 모아쓰기의 장점 - 글자를 읽기 편하고, 뜻을 알기 쉬워서 독서에 능률적. - 조사와 어미가 발달한 첨가어에 적합 - 정보화 사회에서 생존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 (컴퓨터 자판에 자음, 모음을 입력하면 저절로 모아쓰기 형태의 글자를 만들어주어 빠르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음) |
본 자료는 전문서적과 자습서를 참고하여 본인이 직접 작성한 것임을 밝힙니다.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0) | 2019.01.05 |
---|---|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2) | 2019.01.04 |
중2 천재(김) - 2단원 (1) 올바른 언어생활 - 어문 규범 (교과서 정리) (0) | 2018.02.27 |
중2 국어 창비 - '3단원 (2) 어문 규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핵심정리 (0) | 2018.02.25 |
고1을 위한 모의고사 대비 국어영역 공부 방법 (1) | 201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