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by 솜비 2019. 1. 4.

우리말의 역사

 

 

 

 

 

 

 

 

1

고대 국어

 

1. 고대 국어의 표기 방법 - 차자 표기(借字 表記)

(1) 한자의 음, 뜻 사용 : 인명, 지명 등의 고유명사를 한자의 음, 뜻 이용하여 표기

 

(2) 서기체, 구결, 이두, 향찰

     - 고유 명사의 표기 :  인명이나 지명 같은 우리말 고유 명사를 한자의 뜻과 관계없이 소리만 빌리거나,

                                   혹은 소리와 관계없이 뜻만 빌리는 방식임
      - 서기체 :  경주 ‘임신서기석’에서 유래한 문체
                      한자를 우리말 어순대로 표기 ㅇ + 조사,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 표기X
     - 이두 :  서기체 표기에 문법 형태소 표기를 첨가한 방식. 행정 문서 기록에 주로 이용되었음
                  한자를 우리말 어순대로 표기 ㅇ + 조사,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 표기 ㅇ
     - 구결 : 한문을 읽을 때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가 들어갈 만한 자리에 단 토를 말함
                 한문 원문을 살림(우리말 어순 X) + 조사, 어미 등 문법적 요소 표기(토) ㅇ
     - 향찰 :  향가 표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부분은 한자의 뜻을,

                 형식적인 의미를 가진 부분은 한자의 소리를 빌려 우리말 문장 전체를 표기하는 방식임

(참고) 고대국어를 연구할 수 있는 자료 - 삼국지 위지 동이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균여전, 금석문

 

 

 

 

2. 향찰

- 신라 때,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전면적으로 기록했던 표기 체계. 향가를 기록함.

표기 방법

실질 형태소

체언, 용언의 어간

의미소(훈차)

형식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문법소(음차)

특징

우리말의 어순대로 배열

문법적인 기능을 나타냄

문장 전체 표기 가능

의의

우리 문자가 없던 시기에 조상들이 고안해 낸 방식 중 가장 종합적인 표기 체계

(그러나 완벽한 표기가 불가능 우리 문자의 필요성)

한자의 주체적 수용

 

 

 

 

 

 

 

 

<서동요핵심 정리 >

(1) 갈래 - 4구체 향가

(2) 성격 - 민요적, 참요적(讖謠/讒謠), 주술적, 예언적

(3) 특징

관련된 배경 설화가 전해짐.

국경과 신분을 뛰어넘은, 적극적인 애정관이 나타남.

민요가 4구체 향가로 정착된 작품으로 볼 수도 있음.

현전하는 최고(最古)의 향가임.

(4) 주제

표면적: 선화 공주의 은밀한 사랑

이면적: 선화 공주에 대한 서동의 연모의 정

 

 

 

 

 

 

 

 

 

 

서동요향찰 표기 방식   [실질 의미 : 훈차 / 문법적 요소 : 음차]

 

 

착하다

귀인

숨다

 

 

 

 

몰래

그윽하다

다만

시집

얼다

어질

 

 

 

 

아이

 

 

 

 

어조사

토끼

보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