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역사 |
1 |
고대 국어 |
1. 고대 국어의 표기 방법 - 차자 표기(借字 表記)
(1) 한자의 음, 뜻 사용 : 인명, 지명 등의 고유명사를 한자의 음, 뜻 이용하여 표기
(2) 서기체, 구결, 이두, 향찰
- 고유 명사의 표기 : 인명이나 지명 같은 우리말 고유 명사를 한자의 뜻과 관계없이 소리만 빌리거나,
혹은 소리와 관계없이 뜻만 빌리는 방식임
- 서기체 : 경주 ‘임신서기석’에서 유래한 문체
한자를 우리말 어순대로 표기 ㅇ + 조사,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 표기X
- 이두 : 서기체 표기에 문법 형태소 표기를 첨가한 방식. 행정 문서 기록에 주로 이용되었음
한자를 우리말 어순대로 표기 ㅇ + 조사,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 표기 ㅇ
- 구결 : 한문을 읽을 때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가 들어갈 만한 자리에 단 토를 말함
한문 원문을 살림(우리말 어순 X) + 조사, 어미 등 문법적 요소 표기(토) ㅇ
- 향찰 : 향가 표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부분은 한자의 뜻을,
형식적인 의미를 가진 부분은 한자의 소리를 빌려 우리말 문장 전체를 표기하는 방식임
(참고) 고대국어를 연구할 수 있는 자료 - 삼국지 위지 동이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균여전, 금석문
2. 향찰
- 신라 때,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전면적으로 기록했던 표기 체계. 향가를 기록함.
표기 방법 | |||
실질 형태소 |
체언, 용언의 어간 |
→ 뜻 |
의미소(훈차) |
형식 형태소 |
조사, 용언의 어미 |
→ 음 |
문법소(음차) |
특징 |
① 우리말의 어순대로 배열 ② 문법적인 기능을 나타냄 ③ 문장 전체 표기 가능 | ||
의의 |
① 우리 문자가 없던 시기에 조상들이 고안해 낸 방식 중 가장 종합적인 표기 체계 (그러나 완벽한 표기가 불가능 → 우리 문자의 필요성) ② 한자의 주체적 수용 |
<‘서동요’ 핵심 정리 >
(1) 갈래 - 4구체 향가
(2) 성격 - 민요적, 참요적(讖謠/讒謠), 주술적, 예언적
(3) 특징
① 관련된 배경 설화가 전해짐.
② 국경과 신분을 뛰어넘은, 적극적인 애정관이 나타남.
③ 민요가 4구체 향가로 정착된 작품으로 볼 수도 있음.
④ 현전하는 최고(最古)의 향가임.
(4) 주제
• 표면적: 선화 공주의 은밀한 사랑
• 이면적: 선화 공주에 대한 서동의 연모의 정
◎ ‘서동요’의 향찰 표기 방식 [실질 의미 : 훈차 / 문법적 요소 : 음차]
|
善 |
化 |
公 |
主 |
主 |
隱 |
음 |
선 |
화 |
공 |
주 |
주 |
은 |
훈 |
착하다 |
될 |
귀인 |
님 |
님 |
숨다 |
|
他 |
密 |
只 |
嫁 |
良 |
置 |
古 |
음 |
타 |
밀 |
지 |
가 |
량 |
치 |
고 |
훈 |
남 |
몰래 그윽하다 |
다만 |
시집 얼다 |
어질 |
둘 |
옛 |
|
薯 |
童 |
房 |
乙 |
음 |
서 |
동 |
방 |
을 |
훈 |
마 |
아이 |
방 |
새 |
|
夜 |
矣 |
夘 |
乙 |
抱 |
遣 |
去 |
如 |
음 |
야 |
의 |
묘 |
을 |
포 |
견 |
거 |
여 |
훈 |
밤 |
어조사 |
토끼 |
새 |
안다 |
보내다 |
갈 |
같다 |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0) | 2019.01.06 |
---|---|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0) | 2019.01.05 |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0) | 2019.01.03 |
중2 천재(김) - 2단원 (1) 올바른 언어생활 - 어문 규범 (교과서 정리) (0) | 2018.02.27 |
중2 국어 창비 - '3단원 (2) 어문 규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핵심정리 (0) | 2018.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