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중세 국어 |
표기 및 음운 |
•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 주로 (이어적기)를 함. (예 : 놈+이 → 노미, 믈+은 → 므른, 바ᄅᆞᆯ+애 → 바ᄅᆞ래 )
• 8종성법 : 종성에 ‘ㄱㄴㄷㄹㅁㅂㅅㅇ’만 표기함 • 방점을 찍어 성조를 표시함.
• 현재 사용하지 않는 (여러 자모)를 사용함. (ㅿ, ㆆ, ㆁ, ㆍ, ㅸ)
• 연서 방식을 사용하여 ㅸ(순경음 비읍), ㅱ(순경음 미음) 등을 표기함. • ‘ㄲ’ 등의 각자 병서자와 ‘ㅳ,ㅺ,ㅴ’ 등의 합용 병서자 존재 • 된소리가 나타남. (예 : 말ᄊᆞ미, 그츨ᄊᆡ)
• 모음 조화가 엄격하게 지켜짐 •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사용 |
문법 |
• 주격 조사는 ‘이’만 사용 (공ᄌᆡ) • 체언이 조사와 결합하여 형태가 바뀌기도 함
• 명사형 어미 ‘-옴/움’ 규칙적으로 출현 (ᄡᅳ+움+에 → ᄡᅮ메) • 조사와 어미도 (모음조화)에 따라 결합됨. (예 : 곶+ᄋᆞᆫ / 믈+은) • -시/샤-를 통한 주체 높임, -ᅌᅵ/ᅌᅵᆺ-을 이용한 상대 높임을 통해 높임의 선어말 어미들이 발달했음 • ‘--/--/--’과 같은 어미를 통해 객체 높임법을 표현함. (예 : 世尊人 말ᄋᆞᆯ 듣ᄌᆞᆸ고 도라보아)
• 구조가 복잡하고 긴 문장이 많이 쓰임.
| ||||||||||||||||||||||||||||||||||||||||
어휘 |
• 한자어의 유입이 증가하고 전기 중세 국어 때에 몽골 차용어가 유입됨. (보라매, 송골매, 타락, 수라 등) • 현대 국어와 형태와 의미가 다른 어휘가 많음. (어엿비 → 현대국어 : 불쌍히) • 경쟁관계에 놓인 고유어가 소멸하는 경우가 많았음 (슈룹-우산, 온-백, 즈믄-천) |
※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① 당시 한자음을 중국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려는 방법
② 초성+중성+종성(3성체계) 갖추어 표기하려 함
⓷ 받침이 없는 글자에 ‘ㅇ, ㅱ’ 사용 : 斗(두)-두ᇢ, 御(어)-엉
⓸ 이영보래(以影補來) : ‘ㆆ’으로써 ‘ㄹ’을 보완해 중국 원음(입성)에 가깝게 표기 : 佛(불)-뿌ᇙ
2019/01/03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의 역사5 - 근대국어 (0) | 2019.01.06 |
---|---|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0) | 2019.01.06 |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2) | 2019.01.04 |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0) | 2019.01.03 |
중2 천재(김) - 2단원 (1) 올바른 언어생활 - 어문 규범 (교과서 정리)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