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by 솜비 2019. 1. 5.

2

중세 국어

표기 및 음운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주로 (이어적기)를 함. (: +노미, +므른, 바ᄅᆞᆯ+바ᄅᆞ래 )

표기법의 종류

이어적기 (연철)

소리나는 대로 적는 표음적 표기

사ᄅᆞ미

끊어적기 (분철)

형태소의 본 모습을 밝혀 적는 표의적 표기

사ᄅᆞᆷ이

거듭적기 (중철)

앞음절의 받침 자음을 두 번 거듭하여

뒤음절 초성으로 표기하는 과도기적 표기

사ᄅᆞᆷ미

8종성법 : 종성에 ㄱㄴㄷㄹㅁㅂㅅㅇ만 표기함

방점을 찍어 성조를 표시함.

성조 : 글자 왼쪽에 방점을 찍어 소리의 높낮이와 빠르기 표시

평성

점 없음

낮은 소리

 

거성

1

높은 소리

상성

2

낮았다가 높아지는 소리

입성

Ø, 1, 2

빨리 끝나는 소리

받침이 , , , '으로 끝나는 말(, ᄆᆞᆺ)

현재 사용하지 않는 (여러 자모)를 사용함. (, , , , )

 

소멸 시기

사용 예 / 변화

(여린 히읗)

15C 중엽 (세조 이후)

동국정운식 한자음 초성에 사용 예) ᅙᅳᆷ

된소리 부호 예) 호ᇙ배[홀빼]

절음 부호 예) ᄒᆞᇙ노미

(순경음 비읍)

15C 중엽 (세조 이후)

의 울림소리. ‘//Ø’로 변함

(반치음)

16C (임진왜란 이후)

의 울림소리. 주로 으로 변함.

(옛이응)

16C (임진왜란 이후)

현대의 종성 소리.

(아래아)

의 중간음[Λ]

음가가 없어짐 : 16C부터 문란, 18세기 초 소실

16C경 제2음절 이하에서 소멸()

: ᄀᆞᄅᆞ치다 ᄀᆞ르치다

18C경 제1음절 이하에서도 소멸()

: ᄀᆞ르치다 가르치다

문자 소멸 : 한글맞춤법 통일안 제정시 소멸(1933)

연서 방식을 사용하여 (순경음 비읍), (순경음 미음) 등을 표기함.

등의 각자 병서자와 ,,등의 합용 병서자 존재

된소리가 나타남. (: 말ᄊᆞ미, 그츨ᄊᆡ)

양성 모음

음성 모음

, , , ,

, , , ,

어두자음군의 등장

모음 조화가 엄격하게 지켜짐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사용

문법

 

주격 조사는 만 사용 (공ᄌᆡ)

체언이 조사와 결합하여 형태가 바뀌기도 함

체언의 형태 변화

탈락

() ++(냇믈)

종성체언

모음탈락

아ᅀᆞ 아ᅀᆞ+ᄋᆞᆫ (아ᇫᄋᆞᆫ)

 

모음탈락

늘그니 늘그니+(늘그늬)

 

두 개의 형태

나모() 나모 - 나모만 / 나모도

- 남ᄀᆞᆫ (나모+ᄋᆞᆫ)

종성체언

 

명사형 어미 ‘-/규칙적으로 출현 (ᄡᅳ++ᄡᅮ메)

조사와 어미도 (모음조화)에 따라 결합됨. (: +ᄋᆞᆫ / +)

-/-를 통한 주체 높임, -ᅌᅵ/ᅌᅵᆺ-을 이용한 상대 높임을 통해 높임의 선어말 어미들이 발달했음

‘--/--/--’과 같은 어미를 통해 객체 높임법을 표현함. (: 世尊人 말ᄋᆞᆯ 듣ᄌᆞᆸ고 도라보아)

어간의 끝소리

형태

뒷 어미 첫소리

ㄱㅂㅅㅎ

-ᄉᆞᆸ-

자음

막ᄉᆞᆸ거늘

-ᄉᆞᇦ-

모음(울림소리)

+ᄉᆞᇦ+ᄋᆞ니 돕ᄉᆞᄫᆞ니

ㄷㅈㅊ

-ᄌᆞᆸ-

자음

듣ᄌᆞᆸ게

-ᄌᆞᇦ-

모음

+ᄌᆞᇦ+얻ᄌᆞᄫᅡ

모음, ㄴㅁㄹ

--

자음

보ᅀᆞᆸ게

-ᅀᆞᇦ-

모음

ᄀᆞ초+ᅀᆞᇦ+ᄀᆞ초ᅀᆞᄫᅡ

 

구조가 복잡하고 긴 문장이 많이 쓰임.

 

어휘

한자어의 유입이 증가하고 전기 중세 국어 때에 몽골 차용어가 유입됨. (보라매, 송골매, 타락, 수라 등)

현대 국어와 형태와 의미가 다른 어휘가 많음. (어엿비 현대국어 : 불쌍히)

경쟁관계에 놓인 고유어가 소멸하는 경우가 많았음 (슈룹-우산, -, 즈믄-)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당시 한자음을 중국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려는 방법

초성+중성+종성(3성체계) 갖추어 표기하려 함

받침이 없는 글자에 , 사용 : ()-두ᇢ, ()-

이영보래(以影補來) : ‘으로써 을 보완해 중국 원음(입성)에 가깝게 표기 : ()-뿌ᇙ

 

 

 

 

2019/01/03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2019/01/04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