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by 솜비 2019. 1. 6.

- 세종어제 훈민정음 -

- 훈민정음(해례본) : 새로 창제된 글자를 반포하기 위해 만든 한문본

예의

세종의 어지, 자모의 음가, 종성법, 글자 운용법

해례

제자원리, 초성·중성·종성, 합자에 관해 실례 들어 설명

정인지 서

훈민정음의 창제 취지, 경위, 가치 등

 - 세종어제 훈민정음(훈민정음 언해본)

 

1446(세종 28)에 창제하신 글자를 반포하기 위하여 만든 한문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세종 사후에 언해(諺解)하여 세종 어제 훈민정음이라 하였다. 전자를 해례본’, 후자를 언해본이라 한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은 세조 5(1459)에 간행된 것이 가장 오랜 것이다.

 

작자 : 세종대왕과 정인지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

창제자-세종 대왕

협찬자-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이개, 최항, 박팽년, 이선로, 강희안 등 집현전 학자들

 

제작 연대 : ‘예의는 세종 25(1443), ‘해례정인지 서는 세종 28(1446)에 제작

창제-세종 25(1443) 음력 12월에 예의완성

반포-세종 28(1446) 음략 9월에 훈민정음 해례본간행

 

체제

(1) 예의-개론적 설명 부분, 언해된 부분

어지(御旨) : 창제의 취지, 세종 대왕의 서문

글자와 소리값 : 초성, 중성, 종성 글자의 소리값을 설명

글자의 운용 : 나란히쓰기, 이어쓰기, 붙여쓰기, 음절이루기, 점찍기의 용법을 설명

(2) 해례-구체적 해설 부분, 언해되지 않은 부분(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의 51)

(3) 정인지 서-훈민정음을 제작한 경위 설명

 

창제 정신

(1) 자주정신 - 중국과 우리 나라의 차이 인식

(2) 애민정신 - 문자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백성들에 대한 배려

(3) 실용정신 -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문자로 제작

(4) 창조정신 - 새로 스물여덟자를 만듦

 

 

 

 

  

 

◆ 어휘의 의미 변화

유형

훈민정음 내 예시

추가적인 예시

의미의 이동

어린

어엿비

씩씩하다 (엄하다 용감하다)

방송 (석방 전파로 내보내는 일)

의미의 축소

말ᄊᆞᆷ

얼굴 (형체 안면)

계집 (여성 낮춤말)

의미의 확대

X

다리 (사람, 짐승의 다리 물건의 하체 포함)

영감 (당상관의 호칭 남자 노인)

 

 

문법 정리

 

 

 

학습 활동

 

( 평성 )

무점

(낯은)소리

임진왜란 이후 성조는 소멸되었으나 거성의 장음은 현대에도 남아 있음

( 거성 )

( 1 )

(높은) 소리

( 상성 )

( 2 )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

( 입성 )

특별히 마련하지 않음

빨리 그치는 소리

중세 국어

현대 국어

음운상의 차이점

니르

이르고자

I’계 모음 앞에서 ( )이 탈락하여 '으로 바뀜

근대 국어 시기에 어미 모음의 양성화 경향에 따라

‘-‘-( )’로 바뀜

( 뜻을 )

( 어두 자음군 )이 소실되어 된소리로 바뀜

펴지

( 구개음화 ) 영향으로 ‘ -‘-로 바뀜

( 스물 )

( 원순모음화 ) 영향으로 ''로 바뀜

중세 국어

현대 국어

문법상의 차이점

중국과

중세 국어에는 비교나 기준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 )’가 있었으나 현대에는 로 바뀌었다.

중세 국어

현대 국어

의미상의 차이점

나이가 적은

중세 국어에서는 ( 어리석은 )의 뜻이었으나 현대에는 의미가 이동함

놈이(남자를 낮춤)

중세 국어에서는 ( 보통 사람 )의 뜻이었으나 현대에는 의미가 축소됨

어엿

예쁘게

중세 국어에서는 ( 불쌍하게 )의 뜻이었으나 현대에는 의미가 이동함

 

 

 

 

 

 

 

-  소학언해 -

 

 

 

훈민정음

소학언해

음운

, , , , 이 존재함

(수ᄫᅵ, ᅙᅳᆷ, 말ᄊᆞ미)

모음조화가 규칙적으로 사용됨 (ᄡᅮ메)

방점을 잘 지켜 사용

어두자음군 사용

 

, , 이 소멸됨 (해로온)

 

모음조화가 지켜지지 않는 경우도 나타남

방점에 혼란이 옴

어두자음군 사용되지만 간혹 보임

 

문법

명사형 어미 ‘-/규칙적

명사형 어미 ‘-가 쓰이지 않음

• ㄹㅇ형 사용

주격조사 사용

 

 

 

명사형 어미 ‘-/혼란

명사형 어미 ‘-가 사용됨 (아당ᄒᆞ기)

• ㄹㄹ형 사용

주격조사 사용

 

 

 

표기법

이어적기가 일반적으로 쓰임 (말ᄊᆞ미)

각자 병서가 쓰임 (말ᄊᆞᆷ)

동국정운식 한자음

 

이어적기 + 끊어적기 (들온)

각자 병서가 쓰이지 않음 (말ᄉᆞᆷ)

현실적인 한자음

 

 

 

 

 

2019/01/03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2019/01/04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2019/01/05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