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철학 핵심 정리 1

by 솜비 2019. 7. 2.

교육철학

Part 1. 교육철학의 기초

󰊱 교육개념의 정의

1. 주요 교육관의 이해

1) 주형관

ㆍ교육 = 주입을 통한 ‘주형’

영국의 경험론자 ‘로크’ → 행동주의 심리학으로 발전

ㆍ아동 = 텅빈 존재, 수동적 학습자

ㆍ교육목적 : 정해진 지식 주입하여 사회에서 규정한 기준에 맞는 존재로 만들어가는 것

행동변화로서의 교육, 문화획득으로서의 교육

ㆍ교과중심 교육(주지주의 교육)

교과 = 사회가 축적한 문화적 전통과 지식 중에 핵심적인 것을 골라 만든 것

교육만능론 = 교육에 의해 인간이 결정된다

 

2) 성장관

ㆍ주형관에 대한 비판을 통해 제기됨

소크라테스 → 18C 루소에 이르러 만개 → 페스탈로치, 프뢰벨, 헤르바르트 등이 전개한 19C 유럽의 신교육운동의 바탕이 됨

→ 20C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이론의 기본원리가 됨

ㆍ루소의 성장관 - 교육은 타고난 특성들이 올바르게 발현될 수 있도록 돕는 과정

- 아동은 능동적·주체적 학습자

- 교사는 정원사의 역할

ㆍ듀이의 성장관 - 교육은 계속적 성장을 돕는 것

- 경험으로부터의 학습

- 인간은 반성적 사고를 통해 지식 획득.

성장 = 경험의 개조

지식+경험=새로운사고(경험의 개조)

- 교육은 아동의 실생활 문제해결에 유용한 지식획득할 수 있도록 가치있는 경험 제공, 반성적 사고 촉진

 

3) 형식도야이론

ㆍ개관 : 인간의 마음은 여러 정신능력으로 구성, 이를 단련하는 이론적 교과를 반복연습시킴으로써 능력을 도야시킬 수 있다고 봄

ㆍ특징 - 능력심리학에 토대.

- 교육목적 : 교과를 통해 정신능력 단련하여 어느분야에도 적용되는 일반적 능력 획득

- 교육내용 : 정신능력 도야에 적합한 이론적·추상적 교과들 (문법, 수사학, 수학 등)

ㆍ문제점 - 어려운 수준의 교과 → 아동의 학습동기 저하

- 이해에 토대를 둔 지적성장 저해

- 학교교육을 일상적 삶과 유리시킴

 

 

 

2. 피터스의 교육개념 준거

1) 교육개념 정의

ㆍ피터스는 교육은 내재적 가치를 실현하는 활동이라고 봄.

내재적 가치는 아동을 지식의 형식에 입문시켜 이해·노력 토대로 세상과 삶에 대한 지적이해와 안목(합리적 마음)을 계발하도록 하여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고 봄.

ㆍ교육 = 문명화된 삶의 형식에의 입문으로서의 성년식

교육개념의 준거

규범적 준거

교육목적에 관한 것

내재적 가치 추구

인지적 준거

교육내용에 관한 것

지식, 이해, 지적안목

지식의 형식 (=학문) :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

교육과 훈련의 구분

과정적 준거

교육방법에 관한 것

학습자의 이해, 자발성 전제

학습자의 흥미 존중

ㆍ피터스 교육개념의 문제점 - 실제적·실용적 가치 무시

- 정서, 태도 등의 측면 무시

- 교육이 실제 삶과 유리될 가능성(지식의 형식 = 추상적 지식)

 

 

3. 교육개념의 정의 방식

ㆍ조작적 정의 : 교육활동의 요소와 그것이 작용하는 실제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형태로 정의하는 방식

ㆍ규범적 정의 : 교육목적/가치와 이에 요구되는 기준을 교육의 정의 속에 포함하는 방식

ㆍ서술적 정의 : 가치중립적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교육적 변화를 기술하고자 하는 방식

 

 

 

 

 

󰊲 교육의 목적

1. 교육목적의 의의 : 교육활동을 통해 추구하고 실현시키고자 하는 가치

ㆍ교육이념 : 국가적 단위의 제도적 교육이 추구하고 실현하고자하는 가치

교육목적 : 교육이념에 근거하여 장기적으로 교육이 실현/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추상적·포괄적으로 규정한 것

교육목표 : 교육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제시된 것.

교육과정의 우선순위, 내용과 학습경험 선정, 평가 등에 대해 구체적 행동지침 제공

ㆍ교육목적의 기능 - 교육과정의 방향 제시

- 교육적 동기 유발

- 교육결과에 대한 평가기준 제공

 

2.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ㆍ내재적 목적 : 교육활동 그 자체에서 추구하는 목적

교육개념 속에 함의된 가치

ㆍ외재적 목적 : 교육을 수단으로 하여 추구되는 목적

ㆍ내재적목적과 외재적목적의 균형

- 내재적 목적만 강조 ⇒ 교육의 자율성, 개인 내적성장을 높일 수 있는 반면,

사회의 현실·필요에서 유리된 교육이 될 가능성이 높다

- 외재적 목적만 강조 ⇒ 개인의 사회적 필요성·유용성 추구하는 수단으로 간주되어

교육의 자율성 제한, 인간을 수단시하게 될 가능성

⇒ 내재적 목적이 우선되는 가운데 균형추구가 필요

 

 

 

 

 

 

 

 

󰊳 자유교육

1. 자유교육의 역사적 전개

1) 고대그리스와 로마

- 고대 그리스인의 이상에서 유래 : 자유인이 이상적 인간상.

마음이 합리적으로 발달하여 지적으로 자유로워야 행복하고 좋은 삶을 살 수 있다고 생각

- 이론적 지식, 그 자체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지식 중시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출발

- 고대 로마의 7자유과(문법, 수사학, 논리학, 수학, 기하학, 천문학, 음악)

2) 중세의 자유교육

- 7자유과를 가르치는 교육으로 그 의미가 한정됨

- 대학이 성립되면서 전문지식 습득전 거쳐야 할 예비교육으로 간주됨

3) 르네상스 인문주의

- ‘인문교과’라는 이름으로 고대 자유교육의 이상을 부활하고자 함

4) 17~18C 자유교육

- 근대 이후 자유교양교육의 내용은 실용적 성격을 갖지 않은 모든 활동,

즉, 인문,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을 포함한 전 학문의 영역과 이론적 심미적 활동으로까지 확대됨

 

2. 피터스와 허스트의 자유교육론

ㆍ자유교육의 개념 : 이상적 교육 / 교육의 본래적 의미 그 자체 / 그러한 교육이 실현된 상태

ㆍ교육은 내재적 가치 실현 활동 (자유교육은 지식·이해의 추구가 그 중심이 되어야 한다)

ㆍ교육목적 : 좋은 삶을 사는 것(좋은 삶 = 합리적 마음 계발, 지식의 획득 필요)

 

☺ 합리적 마음의 계발 = 다양한 지식의 형식에 입문함으로써 가능

☺ 지식의 형식 = 인간과 사물에 대해 경험한 것을 체계화·구조화시킨 것

 

세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 제공

지식의 형식에 입문하면 다양한 경험 이해하게 되어 ‘합리적 마음의 계발’이 가능해짐

☺ 선험적 정당화 : 어떤 질문 그 자체에 들어있는 논리적 가정을 드러냄으로써 정당화하는 방식

 

 

 

 

 

 

 

3. 허스트의 자유교육론 비판과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

ㆍ자유교육론 비판

- 이론적 지식과 합리성이 좋은 삶을 보장하지 못함

- 교과는 삶 전체를 보여주지 못함

- 감정, 태도, 신념 등을 무시

- 이론적 지식의 추구로 실제적 삶에 무기력 초래

- 선험적 정당화의 문제 : 지식의 형식을 추구하는 것이 가치있다는 것을 보여주긴 하지만,

왜 반드시 그것을 교육에서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직접적 대답을 제공하지 못함

ㆍ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

- 교육 = 근본적으로 좋은 삶을 실현하는 일.

좋은 삶 = 인간의 욕구를 최대한 실현하는 일.

- 좋은 삶을 위해 실천적 지식에 기반을 둔 ‘실천적 합리성’ 중시

- 교육의 역할은 실천적 지식과 이성을 발달시키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