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이태준, <해방 전후> 해설 정리

by 솜비 2019. 12. 10.

작품해설

1946년 8월 『문학』에 발표된 이태준의 중편소설.

1947년 조선문학사에서 발행한 단편집의 표제작이기도 하다. 이 소설은 작가 이태준의 1943~1945년 사이의 삶이 직접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자전적 성격이 강한 작품이다. 비록 현이란 이름의 등장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지만, 작가가 광복 전 낙향했던 철원이 배경으로 설정되어 있고, 광복 후 전국문학자대회니, 신탁통치를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의 문학인들의 모임이 그대로 서술되고 있다는 점에서 자전적인 성격을 벗어날 수 없다. 소설 속에서는 김직원으로 대표되는 보수적 민주주의 경향과 사회주의편에 서는 현의 입장이 화해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해방공간의 혼돈과 대립을 반영하고 있다.

그가 갖고 있는 순수열정이 이데올로기를 뛰어넘는 민족적 단결과 통합을 계속 기대한다는 점에서 철저한 공산주의자가 되지 않았음이 드러나고, 조직적이고 의도적 단체의 구성을 강행하려는 공산주의 젊은 문필가들을 오히려 나무라고 민주진영과의 통합을 역설한다는 점에서 작가의 분명한 태도나 선택이 유보된 전향성을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보면 이 소설은 해방공간에서 빚어지고 있었던 문필가들 사이의 이데올로기적 갈등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며, 작가의 지향이 소극적이고 불분명한 채 순수열정만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그러나 냉전체제가 고착화되고 한국전쟁 이후의 정세가 대립으로 굳어지면서 작가의 이러한 이중적 태도는 어느 쪽에서도 쉽게 용납되지 않았으며, 그의 고뇌가 오히려 북한에서는 회색적 태도나 부르주아적 사고로 지탄받아 숙청의 빌미가 되었다는 점에서 안타깝다.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줄거리

일제 말기, 시국에 대해 소극적이던 현은 강원도 철원으로 낙향을 한다. 시국의 혼란을 피해 시골에서 생활하는 현은 김직원을 만나 교우하게 된다. 한편 서울 친구의 전보를 받고 상경하던 현은 일제의 패망과 조선독립의 소식을 듣는다. 17일에 서울에 도착한 그는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를 찾고, 그들의 선언문을 읽은 뒤 발기인으로 서명한다. 현은 조선인민공화국 절대 지지라는 현수막 사건을 통해 자기 비판과 함께 정세를 판단하게 되고, 그들의 지도자가 되어 프로예맹과의 통합을 계획하게 된다. 한편, 서울에서 다시 만나게 된 김직원과 대화를 나눈 현은 그 둘이 이념적으로 서로 화해할 수 없는 사이임을 확인하게 된다.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조선문학가동맹이 제정한 제1회 해방기념 조선문학상 수상작품이다. 1925년 《시대일보》에 단편소설 《오몽녀(五夢女)》를 발표함으로써 등단한 저자는 1933년 이효석(李孝石)·김기림(金起林)·정지용(鄭芝溶)·박태원(朴泰遠) 등과 함께 구인회(九人會)를 결성하였고, 이 시기부터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전개하였다.

‘한 작가의 수기’란 부제가 붙은 이 작품은 이 시기의 작품으로 작가 자신의 가탁적(假託的) 인물인 주인공 ‘현’을 통해 해방 전과 후의 상황을 그린 작품이다. 일제의 탄압이 최고조에 달한 일제강점기 말에 최소한의 자기를 지켜내는 고뇌를 그린 후, 해방 직후의 혼돈된 상황에서 적절하고 정당한 방향을 찾아 문학인으로서 새로운 삶을 실천하는 문제를 차분하게 그려나갔다.

특히 주인공 현과 대립적 인물로 김직원 노인을 등장시켜, 양자의 관계를 통해 옛것이 사라지고 새로운 것이 태동할 수밖에 없는 해방 직후의 상황을 잘 묘파한 작품이다. (두산백과)

 

 

 

 

작품소개

‘한 작가의 수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1946년 6월 《문학》에 발표하고, 이 작품으로 그해 ‘제1회 해방문학상’을 수상했다. 해방 직후 이태준은 조선문학건설본부 중앙위원장을 맡고, 전국 문학자대회 공동의장으로 회의를 주재한 바 있다. 작품의 주인공 현과 대립하는 인물로 김 직원이라는 노인을 설정했다. 노인은 삼일운동 때 옥고를 치른 경력이 있으며, 항일적 기개는 모진 풍상에도 끝끝내 꺾이지 않는다. 인품이 고결하고 주관이 뚜렷한 애국자이지만 완고한 성격 때문에 해방 후 상황에서 무용의 구물로 퇴장한다. 구시대의 인물이 물러날 수밖에 없는 대신 현은 해방 직후의 어수선한 상황에서 새로움을 모색하는 모습을 이 소설은 주목하고 있다. 해방 전 상황에서 최소한의 가치를 지켜 내기 위한 분투 맞은편에, 혼돈과 변혁의 해방 직후 상황에서 적절하고 정당한 방향을 모색하는 신세대 인물을 설정한 것이다.

 

 

내용

일제 말기 시국에 대해 소극적이고 가급적 협조를 않던 작가 현은 살던 집을 세놓고 강원도 산읍으로 들어간다. 창씨개명이나 친일 작품 혹은 일어 창작을 거부했지만 그렇다고 대동아 전기의 번역만은 거절하지 못하던 그였다. 감시의 눈을 피해 낚시로 소일하던 그는 그곳에서 김 직원을 만나 교유한다. 그러던 중 문인궐기대회에 참석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데 자신이 연설할 차례가 되자 대회장을 빠져나오고, 주재소에서는 현에게 시국집회에 참석하지 않았음을 경고한다. 전국유도대회와 관련하여 김 직원이 잡혀 들어가고, 친구의 전보를 받고 상경하던 현은 일제의 패망과 조선의 독립 소식을 듣는다.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를 찾은 그는 좌익 문인 단체의 선언문에 서명하고, 좌익 문인 단체에서 활동을 한다. 좌익과 우익, 찬탁과 반탁 데모로 어수선한 가운데 김 직원이 상경하여 논쟁을 벌이고 서로 이념적인 화해를 할 수 없게 되자 김 직원은 서울을 떠난다.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1917-1950, 2013. 2. 5., 송하춘)

 

 

 

 

 

 

일제말기, 시국문제에 협력하지 않고 버티던 작가 '현'은 더 이상의 시달림을 피해 철원으로 낙향을 한다. 낚시로 소일하는 그에 대한 감시의 눈초리가 없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현의 가슴에 지사적 용모와 행동으로뚜렷하게 각인된 '김 직원'과의 만남은 하나의 즐거움이었다.

그러나김 직원과의 갈등이 8.15해방이 되고부터 시작된다. 8월 16일 서울의 친구 전보를 받고 급히 상경하면서 그는 해방의 소식을 듣는다. 17일아침에야 서울에 온 그는 재빨리 문단의 주도권을 쥐려는 여러 문인친구들의 계획에 참여하게 되고, 그들이 좌익 계열이라는 것을 알고도 주도적으로 나선다. 비록 소련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대세에 밀려가는자신의 모습이 안타깝기도 하지만, 영친왕을 모셔다 왕으로 섬겨야 한다는 김 직원의 논리에는 정면으로 맞서 자신의 주의 주장을 편다. 자신의 해방 전 문학적 성향을 반성하기도 하고, 친일 분자들의 소행을 비판하기도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김 직원과의 결별이다. 강원도 산읍에서 그를 만났을 때, 시골 향교를 지키며 시국에 대해 자신보다 한층 저항적인 그에 대해서 '현'은 '상종한다기보다 모시어 볼수록 깨끗한 노인이요, 이 고을에선 엄격히 존경을 받아야 옳을 유일한 인격자요, 지사'로 인식한다. 그러나 해방 후 좌익 문인 단체에서 활동하면서는 그를 '돌과 같이 완강한 머리' 혹은 '이 세계사의 대사조 속에 한 조각 티끌처럼 아득히 가라앉아가는' 모습으로 파악한다.

이 작품은 제목 그대로 해방을 전후한 작가 '현'에 대한 기록이다. 여기서 작가 '현'은 바로 이태준 자신이기도 하다. 해방 전 자신의 작품과 삶의 태도에 대한 반성, 그리고 해방 후의 적극적 변화, 즉 좌익 계열의 문학 단체에 관여하고, 해방 전 그렇게도 존경해 마지 않았던 김 직원의 설득에 대해 자신의 방향 전환을 옹호하고 있는 한 문학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태준 자신의 자전 소설이라 할 이 작품은 작가자신의 해방을 전후한 행적과 함께 그가 북을 택한 이유를 어렴풋이나마 짐작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끝으로 이태준은 북으로 향하고, 이후 그의 문학은 이전의 작품 경향과는 전혀 다른, 생경한 구호만 나열하는 목적 문학으로 바뀌고 만다.

 

 

 

핵심정리 

갈래 : 단편소설

시간적 배경 : 해방을 전후한 1,2년

공간적 배경 : 서울 , 철원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특징 1. '한 작가의 수기'라는부제목이 붙어 있음.

      2. 해방을 전후한 문단의 상황은 물론, 이태준 자신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작품임.

주제 : 해방후 지식인의 이념적 갈등

 

 

 

# 고등 문학 현대문학 현대소설 이태준 해방 전후 정리 핵심정리 해석 해설 갈래 시간적배경 공간적배경 시점 전지적작가시점 특징 주제 이태준 해방전후 줄거리 이태준 중편소설 해방전후 작품해설 고등 문학 현대문학 현대소설 이태준 해방 전후 정리 핵심정리 해석 해설 갈래 시간적배경 공간적배경 시점 전지적작가시점 특징 주제 이태준 해방전후 줄거리 이태준 중편소설 해방전후 작품해설 고등 문학 현대문학 현대소설 이태준 해방 전후 정리 핵심정리 해석 해설 갈래 시간적배경 공간적배경 시점 전지적작가시점 특징 주제 이태준 해방전후 줄거리 이태준 중편소설 해방전후 작품해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