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

국어의 역사5 - 근대국어

by 솜비 2019. 1. 6.

3

근대 국어

표기 및 음운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으로 혼란스러움. (: 지베 / 집에 / 집베)

독립신문 이후부터 (띄어쓰기)가 나타남.

7종성법 : 받침에 , , , , , , 의 일곱 개의 글자만 적도록 함

16세기 말부터 (방점)이 소멸됨.

, , 이 표기에서 사라짐. ()는 음가는 사라지고 표기만 유지됨.

• ㅴ,와 같은 세 글자 합용 어두자음군 소멸 / 다른 어두자음군 표기에 혼란 존재(()’으로 표기)

구개음화가 나타남. (: 디윌>지윌)

원순 모음화가 나타남. (>, >, >)

모음 역행동화(전설모음화)

문법

현대 국어와 유사함.

조사와 결합할 때 형태 바뀌던 체언 고정 (나모/> 나무)

새로운 주격 조사 ()가 쓰임.

명사형 어미 ‘-가 나타나 활발하게 쓰임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 등장 (과거 :-/- / 미래 : --)

모음조화가 중세국어에 비해 엄격히 지켜지지 않음. (: 너를>너ᄅᆞᆯ)

구조가 복잡한 긴 문장이 여전히 쓰임.

어휘

한글 사용의 폭이 확대됨.

많은 고유어가 사라짐. (한자어)가 우리말 어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

19C 중후반 - 서구의 신문명어 유입(한자로 번역되어 들어오는 경우 많았음) ) 기선, 자명종, 전기

 

 

 

 

독닙신문창간사

* 홍길동전독닙신문 창간사의 국어사적 특징

 

홍길동전(17세기)

독닙신문 창간사(19세기)

음운

‘. ,, , 의 소실

‘.(아래아)’가 형태만 존재: 음가는 //로 발음됨.

문법

모음 조화의 파괴

 

주격 조사 ‘가’ 사용

표기

끊어 적기(분철)로의 변화(이어 적기도 사용됨.)

 사랑하시믈(연철), 쵸난을(분철)

다른 문헌에 거듭 적기(중철)도 나타남.

끊어 적기가 많아짐(이어적기도 사용).

 거슨(이어 적기), 홈이라, 알어 보게(끊어 적기)

• 띄어쓰기의 도입

 

 

 

2019/01/03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2019/01/04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2019/01/05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2019/01/06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