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근대 국어 |
표기 및 음운 |
•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으로 혼란스러움. (예 : 지베 / 집에 / 집베) • 독립신문 이후부터 (띄어쓰기)가 나타남. • 7종성법 : 받침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일곱 개의 글자만 적도록 함 • 16세기 말부터 (방점)이 소멸됨. • ‘ㅿ, ㆆ , ㆁ’이 표기에서 사라짐. (‘•’)는 음가는 사라지고 표기만 유지됨. • ㅴ,ㅵ와 같은 세 글자 합용 어두자음군 소멸 / 다른 어두자음군 표기에 혼란 존재(‘(뜻)’이 ‘’으로 표기) • 구개음화가 나타남. (예 : 디윌>지윌) • 원순 모음화가 나타남. (믈>물, 블>불, 플>풀) • ‘ㅣ’모음 역행동화(전설모음화) |
문법 |
• 현대 국어와 유사함. • 조사와 결합할 때 형태 바뀌던 체언 고정 (나모/남ㄱ > 나무) • 새로운 주격 조사 (‘가’)가 쓰임. • 명사형 어미 ‘-기’가 나타나 활발하게 쓰임 •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 등장 (과거 :-앗/엇- / 미래 : -겟-) • 모음조화가 중세국어에 비해 엄격히 지켜지지 않음. (예 : 너를>너ᄅᆞᆯ) • 구조가 복잡한 긴 문장이 여전히 쓰임. |
어휘 |
• 한글 사용의 폭이 확대됨. • 많은 고유어가 사라짐. (한자어)가 우리말 어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 • 19C 중후반 - 서구의 신문명어 유입(한자로 번역되어 들어오는 경우 많았음) 예) 기선, 자명종, 전기 |
독닙신문창간사
* “홍길동전”과 ‘독닙신문 창간사’의 국어사적 특징
|
홍길동전(17세기) |
독닙신문 창간사(19세기) | |
음운 |
‘. ,ᅀ, ᅙ, ᅌ’의 소실 |
‘.(아래아)’가 형태만 존재: 음가는 /ㅏ/로 발음됨. | |
문법 |
모음 조화의 파괴 |
주격 조사 ‘가’ 사용 | |
표기 |
• 끊어 적기(분철)로의 변화(이어 적기도 사용됨.) 사랑하시믈(연철), 쵸난을(분철) • 다른 문헌에 거듭 적기(중철)도 나타남. |
• 끊어 적기가 많아짐(이어적기도 사용). 거슨(이어 적기), 홈이라, 알어 보게(끊어 적기) • 띄어쓰기의 도입 |
2019/01/03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2019/01/04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2019/01/05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2019/01/06 - [국어 문법] -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정 중심 작문 교육 (0) | 2019.06.19 |
---|---|
작문 - 내용생성단계의 전략 (0) | 2019.01.08 |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0) | 2019.01.06 |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0) | 2019.01.05 |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2) | 2019.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