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학201

김소월 '가는 길' 해석 / 해설 1, 2연 : 짧은 시행과 느린 호흡으로 망설이는 태도를 표현 (내면적 갈등 표현) 3, 4연 : 긴 시행과 빠른 호흡으로 서둘러야 할 상황 표현 (외면적 상황 표현)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전통적, 민요적, 애상적 주제 : 이별의 아쉬움과 그리움 특징 : 1. 이별의 상황에서 떠나기 싫어하는 화자의 애상적 심정을 7.5조, 3음보의 전통적 율격과 간결한 구성을 통해 표현 2. 시행 길이의 변화와 애상적 어조로 화자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표현 3. 간결한 구조, 유음과 비음으로 된 시어를 사용하여 음악적 효과를 거둠 4. 행간걸침을 통해 갈등하는 화자의 미세한 내면 심리를 효과적으로 표현 ('그립다 말을 할까'와 '하니'를 일부러 다른 행에 떼어놓음 - 행간걸침) 까마귀와 강물의 의미 .. 2022. 6. 18.
김동환, '산 너머 남촌에는' 해석 / 해설 1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화자가 꿈꾸는 이상적인 세계) 해마다 봄바람이 남(南)으로 오네. (희망, 사랑) (남쪽으로부터 불어오네) 꽃 피는 사월이면 진달래 향기 밀익는 오월이면 보리 내음새. ( : 후각적 이미지) 대구법 어느 것 한 가진들 실어 안 오리. (봄 향기에 대한 기대감) 남촌서 남풍(南風) 불 제 나는 좋대나. (봄을 맞은 화자의 즐거움) 1연 : 남촌의 봄바람에서 느끼는 풍요로움과 즐거움 2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저 하늘 저 빛깔이 저리 고울까. (시각적 이미지) 금잔디 너른 벌엔 호랑나비 떼 (시각적 이미지) 버들밭 실개천엔 종달새 노래 (청각적 이미지) 어느 것 한 가진들 들려 안 오리. (봄에 들려오는 소리에 대한 기대감) 남촌서 남풍 불 제 나는 좋대나. 2연 .. 2022. 6. 17.
김기택, '바퀴벌레는 진화 중' 해석 / 해설 * 임의로 행 구분을 해두었습니다. 원문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믿을 수 없다. 저것들도 먼지와 수분으로 된 사람 같은 생물이란 것을.] 도치법 (바퀴벌레. 물질문명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소재) 그렇지 않고서야 어찌 시멘트와 살충제 속에서만 살면서도 저렇게 비대해질 수 있단 말인가. (현대 물질문명을 상징) (환경이 오염된 현대에도 잘 적응하는 바퀴벌레의 생명력) 살덩이를 녹이는 살충제를 어떻게 가는 혈관으로 흘려보내며 딱딱하고 거친 시멘트를 똥으로 바꿀 수 있단 말인가. [ 입을 벌릴 수 밖엔 없다. 쇳덩이의 근육에서나 보이는 저 고감도의 만첩성과 기동력 앞에서는. ] 도치법 (바퀴벌레의 생명력에 대한 감탄.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보여주기 위한 반어적 표현) 1연 : 바퀴벌레의 끈질긴.. 2022. 6. 16.
김동환 '북청 물장수' 해석/해설 새벽마다 고요히 꿈길을 밟고 와서 (아직 잠에서 깨지 않은 이른 새벽에 찾아와서) 머리맡에 찬물을 쏴아 퍼붓고는 (찬물을 퍼붓듯이 잠을 깨움 - 촉각적 이미지 / 쏴아 - 청각적 이미지) 그만 가슴을 디디면서 멀리 사라지는 북청 물장수 (신선한 감동을 주면서) 물에 젖은 꿈이 (잠에서 덜 깬 상태에서 물소리를 들어서) 북청 물장수를 부르면 그는 삐걱삐걱 소리를 치며 (청각적 이미지) 온 자취도 없이 다시 사라져 버린다. 날마다 아침마다 기다려지는 북청 물장수 (부지런하고 건강한 북청 물장수의 삶에 대한 공감과 애정)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묘사적, 감각적, 향토적 주제 : 북청 물장수의 인간적 매력과 근면성실한 생활 특징 1. 새벽에 물을 길어다 주는 북청 물장수에게 받은 신선한 감동.. 2022. 6. 15.
김동환, '국경의 밤' 해석 / 해설 * 어유 등잔 : 물고기 기름으로 불을 켜는 등잔 * 군호 : 군 안에서 보내는 신호 * 영림창 : 산림을 관리하는 기관 * 벌부 : 뗏목에 물건을 실어나르는 인부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사시 성격 : 서사적, 비극적, 상징적 주제 :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한과 애환, 국경 지대에 사는 한 여인의 슬픈 사랑과 비극적인 삶 의의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 서사시. 1920년대 초까지 서정시가 주류였던 한국 현대시사에 서사시라는 새로운 모형을 제시함. 특징과 표현 1. 북녘 사투리의 남성적 어조 2. 서술과 대화에 의한 극적 진술, 산문적 표현 3. 발단-전개-결말 3단 구성 4.전체 3부 72장으로 구성된 최초의 근대 서사시 5. 소설과 같이 '서술자'가 존재 6. 상황을 서사적으로 전개하고,.. 2022. 6. 12.
주요한, '불놀이' 해석 / 해설 * 각 연이 이어져 있는 산문시입니다. 해설 편의상 행을 나누었습니다. 원문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핵심정리 갈래 : 산문시, 서정시 성격 : 감상적, 낭만적, 주정적, 상징적 주제 : 임을 잃은 슬픔과 극복 의지 시의 특징과 표현 ① 삶과 죽음, 밝음과 어둠, 기쁨과 슬픔 등의 대립적 의미구조를 취함 ② 생경한 한문투의 사용을 줄이고, 우리말의 미감을 살려 표현 ③ 영탄적 어조와 격정적인 감탄사로 화자의 정서를 직설적으로 드러냄 ④ '현재-과거회상-현재' 로 시상 전개 ⑤ 사랑하는 사람(조국)을 잃은 한 청년이, 슬픔과 좌절 속에서 방황하다가 '시뻘건 불덩이'를 보면서 새로운 삶의 의지를 회복해 가는 과정을 그림. 현대 자유시의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된다. ※ 참고자료 주요한 전체 5연으로 이루어진 .. 2022. 6. 12.
신경림, '파장' 해석 / 해설 못난 놈들은 서로 얼굴만 봐도 흥겹다 (서글픈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한 친근감과 동류의식) 이발소 앞에 서서 참외를 깎고 목로에 앉아 먹걸이를 들이키면 모두들 한결같이 친구 같은 얼굴들 (따뜻한 인간애를 느끼고 있음) 1~4행 : 장터에서 만나는 정다운 사람들 호남의 가뭄 얘기 조합 빚 얘기 (농민들의 여러가지 고통, 농민들이 느끼는 비애감) 약장사 기타 소리에 발장단을 치다 보면 왜 이렇게 자꾸만 서울이 그리워지나 (산업화된 도시에 대한 동경, 농촌의 피폐함에 대한 탄식) 어디를 들어가 섰다라도 벌일까 주머니를 털어 색싯집에라도 갈까 (농촌의 피폐한 현실에 대한 화자의 도피와 자포자기의 태도) 학교 마당에들 모여 소주에 오징어를 찢다 (현실에 대한 무력감, 좌절감) 5~10행 : 농민들의 현실적 어려움.. 2022. 5. 28.
정현종,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 해석 / 해설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날 때가 있다 (사람이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의미함) 앉아 있거나 차를 마시거나 잡담으로 시간에 이스트를 넣거나 (열거법,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 잡담을 통해 시간이 알차고 풍요로워지는 모습표현) 그 어떤 때거나 (앉아있거나~그 어떤 때거나 :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난다고 느끼는 소소한 일상적인 삶의 모습) 1연 : 일상 속에서 풍경으로 피어나는 사람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날 때가 있다 (반복 = 강조, 운율 형성) 그게 저 혼자 피는 풍경인지 (화자의 인식과 상관없이 스스로 존재하는 풍경) 내가 그리는 풍경인지 (화자의 인식으로 인해 존재하게 되는 풍경) 그건 잘 모르겠지만 2연 :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는 이유 추측 사람이 풍경일 때처럼 행복한 때는 없다 (주.. 2022. 5. 27.
[무료 공유 무료 배포] 국어 빈칸 넣기 문제지 - 화자의 정서 태도 어조 직접 정리한 프린트물 무료로 공유 및 배포합니다. 공부할때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위에껀 빈칸넣기 문제지, 아래껀 답지입니다. ◽시적 화자 : 시 속에서 말 하는 이 (= 서정적 자아, 시적 자아) - 시인이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시 속에 내세우는 대리인을 말한다. - 소설을 쓸 때, 작가가 허구적 대리인인 ‘서술자’를 내세우듯이 시인은 시 속에 ‘시적 화자’라는 대리인을 내세워 대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한다. - 화자는 시인과 동일 인물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화자의 위치 ➀ 표면적 화자 : 작품에서 ‘나, 우리’와 같은 시어를 통해 자신을 노출시키는 화자 󰃚 서으로 가는 달같이는 /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나는 불경처럼 서러워졌다. ➁.. 2022. 4.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