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고전문학51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공무도하(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공경도하(公竟渡河)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공타하사(公墮河死)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당내공하(當柰公何) 가신 임을 어이할꼬 갈래 : 고대가요, 서정시, 한역시 성격 : 애상적, 서정적, 체념적 주제 : 임과 사별한 슬픔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서정시가 집단가요에서 개인서정시로 넘어가는 단계의 가요 사랑하는 임의 죽음과 이별에서 오는 한의 정서는 정읍사, 가시리, 서경별곡, 진달래꽃 등으로 이어지는 민족 정서의 전통의 기반이 되었다 창작배경 고조선 때, 뱃사공 곽리자고가 배를 손질하고있는데 머리가 하얗게 센 미친 사람(백수광부)이 머리를 풀고 술병을 든채 물을 건너려 했다. 그의 아내가 뒤따르며 만류했으나 그는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이에 그의 아내는 노래.. 2023. 7. 10.
정극인, 상춘곡 해설 정리 꼭! 외워두어야 할 '가사의 특징' (작품이랑 연관지어서 시험에 출제됨 !!!) 정극인, '상춘곡' 작품 해설 및 정리 2023. 7. 10.
판소리사설, 흥보가 해설 정리 2023. 7. 8.
고려가요, 동동 해설 정리 고려가요 동동 정리 & 해석 해설 고려가요 동동 정리 & 해석 해설 2023. 7. 4.
향가, '제망매가' 해설 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연 구분 없습니다. pdf 캡쳐하면서 나뉜거에요. 직접 여러 자료를 정리하여 만들었습니다. (빈칸 테스트 예시) 제망매가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받기 :) 다운 받으실 때, 아래에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안 정리 파일 생사(生死) 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해설 정리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핵심정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해설 정리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핵심정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해설 정리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핵심정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 2022. 4. 26.
고전소설, <홍계월전> 해설 정리 작품 개관 갈래 : 군담 소설, 여성 영웅 소설 성격 : 영웅적, 일대기적 배경 : 명나라 서달의 난 시기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편집자적 논평 주제 : 홍계월의 영웅적인 행적과 활약 특징 1. 여성의 봉건적 역할을 거부하는 근대적 가치관이 담겨 있음 2. 남성보다 여성을 주체적, 의지적으로 표현 3. 신분을 감추기 위한 남장 모티브가 사용됨 4. 서술자의 주관적 평가가 담김 작품의 전체 구성과 영웅의 일대기 구조 여성 영웅 소설의 발생 조선후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양란을 겪은 후에 지배층에 대해 민중이 실망함. 또한 패전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민족적인 보상심리가 생김. 그래서 영웅소설과 군담소설이 많이 발생하기 시작. ↓ 양란 이후에 유교 사회의 무능함과 모순이 드러남 ↓ 개인의 능력 강조하는.. 2021. 12. 15.
박지원, '허생전' 해설 정리 개인적인 공부와 정리를 위함임, 각 출처는 아래에 적어두었음. 중요부분 체크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의 문집인 『연암집(燕巖集)』 별집(朴榮喆本, 1932)의 『열하일기(河日記)』 중 「옥갑야화(玉匣夜話)」에 수록되어 있다. 이가원(李家源) 소장의 일재본(一齋本) 필사본에는 「진덕재야화(進德齋夜話)」에 들어 있다. 두 이본의 내용은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후지(後識)는 전혀 다르다. 「옥갑야화」는 작자 박지원이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옥갑에 들러 여러 비장(裨將)들과 나눈 이야기들을 적은 것이다. 「허생전」은 윤영(尹映)에게서 들은 변승업(卞承業) 할아버지의 치부 유래를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본디 제목 없이 편의상 「허생」 또는 「허생전」이라 부른다... 2021. 7. 7.
고전문학 - 한시 * 한시의 종류 1. 율시: 기승전결이 각각 2행씩 총 8행을 가져야 하고, 1, 2, 4, 6, 8행의 끝에 각운(시행의 끝에 있는 '운')을 지니고 있어야 함 2. 절구 : 율시 절반의 형식을 가짐. 기승전결 각각 1행씩 총 4행이 되면서 1, 2, 4행의 끝에 각운을 지님 3. 배율 : 12행 이상 4. 고시(고체시) : 당나라 이전, 이후에 씌여진 시. 이런 시들은 모두 규칙을 어기고 있음. 1행에 글자수가 5개면 - 1행에 글자수가 7개면 - 만약 6개나 7개가 한 행이 되어 있다면 이런 것을 라고 부르고 이런 잡언구가 섞여 있는 한시라면 규칙을 어긴 시로서 라 부름 신라 한시 * 여수장우중문시(을지문덕) 고구려 영양왕 - 5언 고시 - 현전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한시 - 풍자적, 반어적... 2020. 9. 21.
고전산문 - 조선 후기 3 ㆍ판소리의 구성 요소 - 창 : 판소리에서 노래로 부르는 부분 - 아니리 : 말로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부분 - 발림(=너름새, 동작) : 창자가 소리를 부르는 중간중간에 손, 발, 몸을 움직여 감정을 표현하는 것. ㆍ판소리 흥보가 - 조선 후기에 불리던 판소리 사설. 지금까지 전해지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소외된 서민층의 정서가 가장 잘 표현되었다. 형제간의 우애와 갈등을 통해 인간 내부에 잠재된 선악의 문제를 부각시켰으며, 비참한 삶의 현실을 웃음과 해학으로 풀어나가고 있음. - 주제 : 형제간의 우애와 권선징악 / 빈부간의 갈등 당대 급변하는 시대에서 몰락한 양반(흥보)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서민의 현실주의적 세계관이 자리잡고 있음. - 의의 : 춘향가, 심청가와 더불어 3대 판소리임. 놀보와 흥.. 2020. 9. 20.
고전산문 - 조선 후기 2 ㆍ판소리계 소설의 주제의 이원화 현상 - 판소리 사설이 소설로 전환된 시기는 19세기경으로, 이 때에 판소리의 내용이 확장되면서 주제가 이원화되는 현상이 나타났음. - 주제의 이원화란, 판소리계 소설의 관념적인 인과론이라 할 수 있는 권선징악적 주제와 현실적 합리주의라고 할 수 있는 경험과 합리적 가치 추구라는 주제를 모두 담고 있음을 말함. 관념적인 인과론과 현실적 합리주의는 서로 다른 가치관이 대립했던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함. 그런데 장끼전은 다른 판소리계 소설과 달리 주제의 이원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음. 이는 장끼전이 판소리로 불리어지자마자 곧바로 독서물인 소설로 넘어온 탓도 있고, 우화라는 형식적 제약 때문에 서술 단락의 체계가 독자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탓도 있음. ㆍ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 판소.. 2020.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