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고전문학51 조성기, <창선감의록> 스크랩 정리 개인 공부용으로 스크랩했고,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쳐서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였음. 핵심정리도 추가로 정리해둠 :) (참고 : 책에 따라 딸 이름이 빙선으로 나오기도, 태강으로 나오기도 함) 창선감의록 국문본·한문본이 있다. 작자에 대하여 김태준(金台俊)은 그의 『조선소설사』에서 정준동(鄭浚東)·김도수(金道洙) 등을 기록한 바 있다. 뒤에 나온 증보판에서는 조재삼(趙在三)의 『송남잡지(松南雜識)』에 선조 졸수공(拙修公)이 어머니를 위하여 「창선감의록」과 「장승상전(張丞相傳)」을 저작하였다는 기록을 들어 조성기(趙聖期)가 지었다는 설을 첨가하였다. 김태준이 김도수 저작설을 제시한 것에 대해서는 전언인지 문헌에 의거한 것인지 밝힌 바 없고, 또 저작과 관련되는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믿기 어렵다. 정준동.. 2020. 1. 29. 이세보, 상사별곡 - 2019년 고2, 고3 모의고사 출제 작품 이세보, '상사별곡' 황매 시절 떠난 이별 만학단풍 늦었으니 상사일념 무한사는 저도 나를 그리려니 굳은 언약 깊은 정을 낸들 어이 잊었을까 인간의 일이 많고 조물이 시기런지 삼하삼추 지나가고 낙목한천 또 되었네 운산이 멀었으니 소식인들 쉬울손가 대인난 긴 한숨의 눈물은 몇 때런고 흉중의 ㉠불이 나니 구회간장 다 타 간다 인간의 ㉡물로 못 끄는 불이라 없건마는 내 가슴 태우는 불은 물로도 어이 못 끄는고 자네 사정 내가 알고 내 사정 자네 아니 세우사창 저문 날과 소소상풍 송안성의 상사몽 놀라 깨여 맥맥히 생각하니 방춘화류 좋은 시절 강루사찰 경개 좇아 일부일 월부월의 운우지락 협흡할 제 청산녹수 증인 두고 차생백년 서로 맹세 못 보아도 병이 되고 더디 와도 성화로세 오는 글발 가는 사연 자자획획 다정터니.. 2020. 1. 29. 삼국사기의 효녀 지은 설화, 삼국유사의 빈녀양모 비교 불교에서는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태어남과 죽음을 반복하는 일을 윤회라 한다. 윤회를 하면서 전생의 인연과 쌓은 덕화가 후세에 영향을 준다고 하여 덕(德)혹은 공덕을 쌓기를 강조한다. 그렇게하면 부처님의 은덕으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이다. 일연이 쓴 삼국유사는 이러한 불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천상계, 지상계, 인간계, 축생계 등 보이지 않는 세계의 존재와 상호소통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인간이 아닌 존재의 신이함 등을 다룬 책이다. ‘빈녀양모’도 그러한 맥락에서 살펴보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던 가난한 여자의 이야기가 지나가던 효종랑의 두 낭도들의 귀에 들어가 많은 사람들과 임금의 도움을 받고, 후에 그 집을 희사하여 절로 만들게 된 모든 과정이 어떤 보이.. 2020. 1. 27. 토끼전 핵심 정리 1. 인물의 행동과 성격, 인물에 따라 달라지는 주제 인물 행동 성격 주제 토끼 먹을 것을 앞세운 별주부의 유혹에 넘어감 욕심이 많음 헛된 욕심 경계 위기 극복하는 지혜의 필요성 위기의 순간에 기지를 발휘하여 살아남 남의 말을 너무 쉽게 믿음 별주부 용왕에게 토끼의 간을 구해주려 노력 충성심이 깊음 우직한 충성심 비판의식 없이 맹목적인 충성심 비판 토끼의 속임수를 알고 자결 왕의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름 용왕 자신이 살기 위해 토끼를 희생시키려고 함 이기적 권력층의 이기적인 횡포 비판 거짓에 속아 진실을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 비판 토끼의 말에 쉽게 속음 어리석음, 우둔함. 죽음을 받아들임 잘못을 반성 자가 사리 토끼의 말이 거짓임을 용왕에게 당당히 말함 충직함, 이성적, 합리적 소신있게 비판하는 강직.. 2020. 1. 25. 고전소설 속 삽입시의 기능 시는 압축적인 내용으로 의미의 함축성을 강조하여 오래도록 감동을 지속시키게 하여, 인물의 심리를 비유적, 함축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주제를 집약적으로 전달하기도 한다. 또한 사건 전개의 방향을 암시하기도 하고, 작품의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한다. 1. 인물의 상황, 심리 표현 /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를 비유적, 함축적으로 표현 2. 인물의 개성 표현 3. 서사적 전개 속에 서정적 감흥을 일으킴 4. 낭만적 분위기 조성 5. 상상력 자극 6. 주제를 집약적으로 전달 7. 사건 전개 방향 암시 / 사건 전개의 매개 역할 8. 단조로운 구성에서 벗어나게 함 # 고전 소설 삽입시 고전소설 시 고전소설 삽입시의 역할 기능 삽입시의 기능 삽입시 2020. 1. 24. 정철, 관동별곡 원문, 해석 (파일 다운) 정철 관동별곡 원문, 해석 파일 다운(맨 아래에 있음) 고등국어 관동별곡 원문, 해석 파일 다운 무료배포합니다. 필기하기 좋게 정리되어 있어요 :) 다운받아서 쓰셔요~~~ 본문 江湖(강호)에 病(병)이 깁퍼 竹林(듁님)의 누엇더니 關東(관동) 八白里(팔ᄇᆡᆨ니)에 方面(방면)을 맛디시니 어와 聖恩(셩은)이야 가디록 罔極(망극)ᄒᆞ다 延秋門(연츄문) 드러ᄃᆞ라 慶會(경회) 南門(남문) ᄇᆞ라보며 하직하고 믈러나니 玉節(옥졀)이 알ᄑᆡ 셧다 平丘驛(평구역) ᄆᆞᆯ을 ᄀᆞ라 黑水(흑슈)로 도라드니 蟾江(섬강)은 어드메오, 雉岳(티악)이 여긔로다 昭陽江(쇼양강) ᄂᆞ린 믈이 어드러로 든단 말고 孤臣去國(고신거국)에 白髮(ᄇᆡᆨ발)도 하도 할샤 東州(동ᄌᆔ) 밤 계오 새와 北寬亭(븍관뎡)의 올나ᄒᆞ니 三角山(삼각.. 2020. 1. 21.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