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고전문학51 사설시조 '님이 오마 하거늘~' 해석 / 해설 님이 오마 하거늘 저녁밥을 일지어 먹고 中門(중문) 나서 大門(대문) 나가 地方(지방) 우희 치다라 안자 以手(이수)로 加額(가액)하고 오난가 가난가 걱넌 山(산) 바라보니 거머흿들 셔 잇거날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겻븨님븨 님븨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듸 마른 듸 갈희지 말고 워렁충장 건너가셔 情(정)엣말 하려 하고 겻눈을 흘긧 보니 上年(상년) 七月(칠월) 사흔날 발가벅긴 주추리 삼대 살드리도 날 소겨다. 모쳐라 밤일싀 망졍 행혀 낫이런들 남 우일번 하괘라. 해석 임이 오겠다고 하기에 저녁밥을 일찍 지어 먹고, 중문을 나와서 대문으로 나가 문지방 위에 달려가 앉아, 손을 이마에 대고 임이 오는가 하여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거무희뜩한 것이 서 있기에 저것이 틀림없는 .. 2020. 8. 25. 희명 '천수대비가' 해석 / 해설 무루플 고조며 / 둘 손ㅅ바당 모호누아 두 손바닥 모아 千手觀音(천수관음)ㅅ 前(전) 아해 / 비살블 두누오다. 천수관음 앞에 / 비옵니다. 즈믄 손ㅅ 즈믄 눈흘 / 하단할 노하 하단할 더압디 천개의 손, 천개의 눈을/ 하나를 내놓고 하나를 덜어서 둘 업는 내라 / 하단사 그스시 고티누옷다라. 둘이 다 없는 나이니, / 하나만 그윽이 고쳐 주시옵소서. 아으으 나애 기티샬단 / 노태 쑬 慈悲(자비)여 큰고. 아아, 나에게 끼쳐주신다면, / 놓되 베푼 자비가 얼마나 큰 것인가! - 희명 '천수대비가' 양주동 해석 이 작품은 천수천안(千手千眼)을 가진 천수관음에게 자식이 눈을 뜨기를 기원하는 어머니의 지극한 정성이 절실하게 와 닿는 기원의 노래이다. 이 노래는 명령법, 강제의 요소에 의존하는 주술가와는 달리 .. 2020. 8. 21. [민요] 시집살이 노래 형님 온다 형님 온다 분(枌)고개로 형님 온다. - 분고개 : 지명인듯. 보고저즌(보고 싶은)으로 표기된 것도 있음 형님 마중 누가 갈까 형님 동생 내가 가지. 형님 형님 사촌 형님 시집살이 어떱뎁까? 이애 이애 그 말 마라 시집살이 개집살이 앞밭에는 당추 심고 뒷밭에는 고추 심어, - 당추 : 고추 고추 당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더라. 둥글둥글 수박 식기(食器) 담기도 어렵더라. 도리도리 도리 소반(小盤) 수저 놓기 더 어렵더라. 오 리(五里) 물을 길어다가 십 리(十里) 방아 찧어다가, 아홉 솥에 불을 때고 열두 방에 자리 걷고, 외나무다리 어렵대야 시아버니 같이 어려우랴? 나뭇잎이 푸르대야 시어머니보다 더 푸르랴? 시아버니 호랑새요 시어머니 꾸중새요, - 호랑새 : 호랑이 같이 무서운 새 동세.. 2020. 8. 21. 임제, <원생몽유록> 스크랩 정리 ★ 임제의 에 관한 자료 스크랩 & 중요한 부분 체크 조선 중기에 임제(林悌)가 지은 한문소설. ‘원자허전(元子虛傳)’이라고도 한다. 작자에 대해서는 김시습(金時習)·원호를 주장하는 이설이 있었다. 황여일(黃汝一)의 ≪해월문집 海月文集≫의 기록에 의하여 임제임이 확정되었다. 작품의 제작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작품 말미의 연기(年記)로 추정하면 1568년(선조 1)으로 보인다. 황여일은 이 글에 발(跋)과 제시(題詩)를 붙이고 있다. 꿈을 이용하여 현실을 비판하되 현실의 인물이 꿈 속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는 소설류를 몽유록이라고 한다. 몽유록 계통의 소설은 심의의 을 거쳐 임체의 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원생몽유록은 꿈이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세조의 왕위 찬탈이라는 정치권력의 모순을 폭로하려는 의도를 실행한.. 2020. 8. 20. 채수, <설공찬전> 스크랩 정리 ● 채수, 에 관한 자료 스크랩 & 중요한 부분 체크 설공찬전 : 1511년(중종 6) 무렵 '채수'가 지은 고전소설. 『중종실록』에서는 ‘설공찬전(薛公瓚傳)’,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에서는 ‘설공찬환혼전(薛公瓚還魂傳)’으로 표기하였고, 국문본에서는 ‘설공찬이’로 표기하고 있다. 한문 원본은 1511년 9월에 그 내용이 불교의 윤회화복설을 담고 있어 백성을 미혹한다 하여 왕명으로 모조리 불태워진 이래 전하지 않는다. 그 국문필사본이 이문건(李文楗)의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의 이면에 「왕시전」·「왕시봉전」·「비군전」·「주생전」 국문본 등 다른 고전소설과 함께 은밀히 적혀 있다가 1997년 극적으로 발견되었다. 국문본도 후반부가 낙질된 채 13쪽까지만 남아 있다. ● 줄거리 - 사촌 몸에 들어.. 2020. 8. 20. 고려가요, '청산별곡'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서 살겠노라. 머루랑 다래를 먹고 청산에서 살겠노라.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서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서 울며 지내노라. 날아가던 새(갈던 사래)를 본다. 물 아래(평원 지.. 2020. 7. 9. 고려가요, '가시리'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잡와 두어리마 선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셜온 님 보내노니 나 가시 도셔 오쇼셔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나더러는 어찌 살라 하고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서운하면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위 증즐가 대평성대 서러운 임 보내오니 가시자마자 곧 돌아오십시오. 위 증즐가 대평성대 고려가요 '가시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받기 :) 다운 받으실 때, 아래에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고려.. 2020. 7. 8. 고려가요, '정석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先王聖代)예 노니와지이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신 님믈 여와지이다. 옥(玉)으로 련(蓮)ㅅ고즐 사교이다. 옥(玉)으로 련(蓮)ㅅ고즐 사교이다. 바회 우희 접듀(接柱)요이다.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텰릭을 아 나 므쇠로 텰릭을 아 나 텰(鐵絲)로 주롬 바고이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텰슈산(鐵.. 2020. 7. 8.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龜乎龜乎出首露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구호구호출수로 掠人婦女罪何極 남의 아내 앗았으니 그 죄가 얼마나 큰가? 약인부녀죄하극 汝若悖逆不出獻 네 만약 거스르고 내놓지 않는다면 여약패역불출헌 入網捕掠燔之喫 그물로 너를 잡아서 구워 먹으리라. 입망포략번지끽 # 고대가요 해 핵심정리 및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2020. 7. 2.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