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학201

고려가요, '청산별곡'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서 살겠노라. 머루랑 다래를 먹고 청산에서 살겠노라.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서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서 울며 지내노라. 날아가던 새(갈던 사래)를 본다. 물 아래(평원 지.. 2020. 7. 9.
고려가요, '가시리'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잡와 두어리마 선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셜온 님 보내노니 나 가시  도셔 오쇼셔 나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나더러는 어찌 살라 하고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서운하면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위 증즐가 대평성대 서러운 임 보내오니 가시자마자 곧 돌아오십시오. 위 증즐가 대평성대 고려가요 '가시리' 빈칸테스트 파일 다운 받기 :) 다운 받으실 때, 아래에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고려.. 2020. 7. 8.
고려가요, '정석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先王聖代)예 노니와지이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신 님믈 여와지이다. 옥(玉)으로 련(蓮)ㅅ고즐 사교이다. 옥(玉)으로 련(蓮)ㅅ고즐 사교이다. 바회 우희 접듀(接柱)요이다.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텰릭을 아 나 므쇠로 텰릭을 아 나 텰(鐵絲)로 주롬 바고이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텰슈산(鐵.. 2020. 7. 8.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龜乎龜乎出首露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구호구호출수로 掠人婦女罪何極 남의 아내 앗았으니 그 죄가 얼마나 큰가? 약인부녀죄하극 汝若悖逆不出獻 네 만약 거스르고 내놓지 않는다면 여약패역불출헌 入網捕掠燔之喫 그물로 너를 잡아서 구워 먹으리라. 입망포략번지끽 # 고대가요 해 핵심정리 및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해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2020. 7. 2.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핵심정리 및 빈칸 테스트 (다운)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맨 아래에 파일을 눌러서 다운 받으세요 :) 公無渡河 임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공 무 도 하 公竟渡河 임은 마침내 물을 건너시네. 공 경 도 하 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타 하 이 사 當奈公何 아아, 가신 임을 어이할꼬. 당 내 공 하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 정리 ☞ [문학/고전문학] -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공무도하가 해석 / 해설 공무도하(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공경도하(公竟渡河)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공타하사(公墮河死)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당내공하(當柰公何) 가신 임을 어이할꼬 갈래 : 고대가� poof31.tistory.com #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핵심정리 및 테스트 (다운).. 2020. 7. 1.
고전 시가의 표현법 (비유, 상징, 고전시가에 자주 나오는 상징적 소재) 고전 시가의 표현법 (비유, 상징, 고전시가에 자주 나오는 상징적 소재) 어떤 대상을 (유사한 속성을 지닌)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1) 직유법 vs 은유법 : 비교의 의미를 담은 연결어(~같이, 처럼, 듯이 등)의 유무에 따라 2. 의인법 vs 활유법 : 어떤 대상(사람 또는 생물)에 빗대느냐에 따라 3) 대유법 : 대상의 한 부분이나 그 속성을 들어 전체나 자체를 표현하는 방법. 제유법과 환유법이 있음 - 추상적인 개념이나 관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표현법 - 원관념은 숨기고 보조 관념 만으로 의미를 표현한다. - 비유와 달리 상징은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의 유사성이 없다. - 특히 고전문학에서는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보편화된 관습적 상징이 주로 나타난다. 1) 고전시가에 자주 .. 2020. 7. 1.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 직접 정리함 ◽시적 화자 : 시 속에서 말 하는 이 (= 서정적 자아, 시적 자아) - 시인이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시 속에 내세우는 대리인을 말한다. - 소설을 쓸 때, 작가가 허구적 대리인인 ‘서술자’를 내세우듯이 시인은 시 속에 ‘시적 화자’라는 대리인을 내세워 대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한다. - 화자는 시인과 동일 인물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화자의 위치 ➀ 표면적 화자 : 작품에서 ‘나, 우리’와 같은 시어를 통해 자신을 노출시키는 화자 󰃚 서으로 가는 달같이는 /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나는 불경처럼 서러워졌다. ➁ 이면적 화자 : 화자를 지칭하는 시어가 작품 속에 드러나지 않는 상태의 화자 ◽화자와 관계를 맺는 대상 ➀ 청자 : 화자.. 2020. 7. 1.
고전소설의 특징과 서술자 ◽ 소설의 개념 : 현실에 있을 법한 이야기를 작가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재창조한 허구의 세계(문학) ◽ 소설의 발달 과정 : 설화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대소설 → 신소설 → 현대소설 ◽ 소설의 3요소 고전 소설의 특징과 서술자 고전 소설은 조선 시대 초기에 등장하여, 임진왜란 이후에 본격적으로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고전 소설은 소설 발달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현실적 사건의 등장(전기성), 우연적인 사건 전개, 편집자적 논평, 선악의 이분법적 대립, 시(노래)의 삽입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1. 고전소설의 특징 1) 전기성 ‘전기 = 기이한 이야기를 전한다’는 뜻. 비현실적인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 마치 판타지 소설에서처럼 천상계와 같은 비현실적 공간이 나오기도 하고, 주인공이 .. 2020. 7. 1.
조지훈, '승무' 해석 / 해설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사 : 얇고 가벼운 비단)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나비로구나 / 나비 : 승복을 입고 얇고 하얀 비단으로 만든 고깔을 쓴 여승의 여리고 고운 자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줌) 파르라니 깎은 머리 (파르스름하게)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 (시적 허용으로 특별한 심리적 효과 - 여인의 서러움의 심정을 드러냄. 세사에 시달려 번뇌에 쌓인 심정)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역설적 표현. 여승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서 오히려 더 서럽게 느껴진다는 뜻) 빈 대 황촉 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빈 대 : 빈 무대. 공간적 배경 / 밤 : 시간적 배경)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오동잎 잎새 뒤로 달이 지나가는 모습 - 애상적 정서)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긴 소매로.. 2020.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