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학201

상고 시대의 서정 문학 / 서사 문학 1. 상고 시대(~고려시대 이전까지)의 서정 문학 - 샤머니즘, 토테미즘을 바탕으로 하는 원시 종합 예술 (제천의식에서 이루어짐) - 음악(소리) + 무용(몸짓) + 문학(말) - 지혜가 발달, 사회가 진보하면서 말(문학)이 시가 문학과 서사 문학으로 세분화됨. - 구전되다가 한자로 기록되어 전해짐. 1) 고대가요 - 제천의식에서 불렀던 집단적 서사 가요 -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개인적 서정 가요 - , , :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해짐. 시가 문학이 서사 문학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음. 2) 향가 - 향찰로 표기됨. - 의의 : 최초의 국문 시가, 개인 창작시. - 에 14수, 에 11수 - 총 25수가 있음. - 최초의 향가 : 6C말 서동이 지은 - 마지막 향가 : 10C말 .. 2020. 6. 27.
황동규,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해석/해설 (안 보이고 보이고 : 부정적 현실에 대한 극복의 가능성과 전망을 표현) (보이고 안 보인다 : 긍정적 세계에 대한 불안을 표현) (2연의 2, 3, 4, 5행의 앞부분은 '보인다/보이고'의 '보'가 두운적 요소로 작용하여 운율감을 조성하고 있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사회비판적, 암시적 주제 : 정체된 현실을 변화시키고 싶은 소망 시의 특징과 표현 : 1. 사물을 통해 주제 의식을 상징적으로 표현 2. 반복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소망과 의지를 강조. 3. 당연히 굴러가야 할 바퀴처럼 우리의 삶이 변화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 황동규,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원문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자전거 유모차 리어카의 바퀴 마차의 바퀴 굴러가는 바퀴도 굴리고.. 2020. 6. 27.
박용하, '지구' 해석/해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냉소적, 비판적 주제 : 이기적인 인간에 의한 생태계 파괴를 비판함 시의 특징과 표현 1. '달 호텔'에서 '지구 여관'를 바라본다는 참신한 설정을 통해 인간의 이기심에 의한 생태계 파괴를 비판함. 2. 인위적인 시행의 배열을 통해 협소한 지구를 형상화함. 박용하, '지구' 원문 달 호텔에서 지구를 보면 우편엽서 한 장 같다. 나뭇잎 한 장 같다. 훅 불면 날아가 버릴 것 같 은. 연약하기 짝이 없는 저 별이 아직은 은하계 의 오아시스인 모양이다. 우주의 샘물인 모양이 다. 지구 여관에 깃들어 잠을 청하는 사람들이 만원이다. 방이 없어 떠나는 새 · 나무 · 파도 · 두꺼비 · 호랑이 · 표범 · 돌고래 · 청개구리 · 콩 새 ·사탕단풍나무 · 바람꽃 · 무지개.. 2020. 6. 25.
김기림, '바다와 나비' 해석 / 해설 아무도 그에게 수심을 일러 준 일이 없기에 (나비) (바다의 깊이. 가혹한 현실을 상징) 흰 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흰색. 순수한 존재) (푸른색. 냉혹한 현실) - 흰색과 푸른색의 색채 대비 1연 : 바다의 무서움을 모르는 순진한 나비 청 무우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 (나비가 동경하는 세계. 생명력의 공간)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 (어린 날개 : 순진한 나비를 뜻함) (물결 : 현실의 가혹함) 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연약한 나비) (냉혹한 현실에 부딪힌 나비의 좌절) 2연 : 바다로 날아갔다가 지쳐서 돌아온 나비 삼월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 (청무우밭 ↔ 바다) (생명력을 상실한 불모의 공간)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나비의 좌절된 꿈을 공감각적 이미지로.. 2020. 6. 22.
김동명, '내 마음은' 해석 / 해설 내 마음은 호수요. (은유법. 맑고 잔잔하고 평화로운 상태를 의미) 그대 노 저어 오오. 나는 그대의 흰 그림자를 안고 옥같이 (직유법. 옥처럼 하얗게)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라.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화자의 사랑) 내 마음은 촛불이요, (자기희생적 사랑) 그대 저 문을 닫아 주오. 나는 그대의 비단 옷자락에 떨며, 고요히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 (그대를 향한 화자의 열정과 희생적 사랑) 내 마음은 나그네요, (외로이 떠도는 존재) 그대 피리를 불어 주오. (그대와 나의 정서적 매개물) 나는 달 아래 귀를 기울이며 호젓이 나의 밤을 새이오리다. (그대를 향한 그리움) 내 마음은 낙엽이요, (쓸쓸하게 떠도는 존재) 잠깐 그대의 뜰에 머무르게 하오. 이제 바람이 일면 나는 또 나그네같이, 외로.. 2020. 6. 22.
김광규, '달팽이의 사랑' 해석/해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반성적, 성찰적 주제: 달팽이를 통해 깨닫는 사랑의 의미 특징과 표현 1. 달팽이와 인간(나)의 사랑을 대비하여 주제를 강조함 2. 역설적 표현을 통해 달팽이의 간절한 사랑과 그리움을 형상화함. 3. 일상 속에서 사랑의 가치에 소홀했던 자신을 반성하고 있음. 장독대 앞뜰 이끼 낀 시멘트 바닥에서 (일상적인 공간. 사랑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뜻함) 달팽이 두 마리 얼굴 비비고 있다 (사랑을 나누는 달팽이의 모습) 요란한 천둥 번개 장대 같은 빗줄기 뚫고 (사랑을 이루기까지의 시련과 고난) 여기까지 기어오는 데 얼마나 오래 걸렸을까 멀리서 그리움에 몸이 달아 (달팽이들의 정서를 직접적으로 제시) 그들은 아마 뛰어왔을 것이다 (달팽이의 느린 이미지와 상반된 표현.. 2020. 6. 22.
(현대문학) 1945년~1960년대 이후 현대산문 (1946년~1950년대) 핵심 정리 ㆍ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의 세계 문학사적 의의 한국문학이 세계화되기 위해서는 그 나름의 독자성을 가지면서도 인간의 근원적인 삶에 대해 질문하고 해답을 찾는 보편성을 지녀야 한다. ‘압록강은 흐른다’가 세계문학으로서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은 우선 소재면에서 이야기 전체를 감싸는 전통적인 한국의 체취가 많은 독자들에게 감명을 주었으며, 한국인의 정신세계가 탁월하게 형상화되어 문화의 다양성을 느끼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수성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만남과 충격이라는 세계사의 흐름속에서 인간의 성장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지니고 있어 세계문학작품으로서 위상을 화고하고 있는 것이다. ㆍ전후소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 프랑스에서 발생한 문학의 한 경향이 바.. 2020. 6. 18.
(현대문학) 1920년대~1945년 (2) 현대산문 (1920년대~1945년) (2) 핵심 정리 ㆍ사실주의 - 낭만주의에 반대하여 사실을 있는 그대로 충실하게 묘사한다는 방침을 실천한 19세기 문학 사조. 현실을 과장하거나 꾸밈이 없이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표현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 사물을 개성적 특징으로 묘사하며, 그 대상이 추악한 것일지라도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존중하는 정신을 바탕으로 한다. ㆍ농민소설 - 농민과 농촌의 문제를 소재로 한 소설로 1930년대 소설의 주요 흐름을 이루었다. 주로 당대의 농촌이 안고 있는 구조적 모순이나 농민 의식의 성장 등을 다루는 경향이 많다. ㆍ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몽타주 기법 - 몽타주란 원래 ‘조립하는 것’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영화 등 다양한 예술 갈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데, 모더니즘.. 2020. 6. 18.
(현대문학) 1920년대~1945년 (1) 현대산문 (1920년대~1945년) (1) 핵심 정리 ㆍ김동인의 ‘배따라기’와 유미주의 또는 예술 지상주의 - ‘배따라기’는 일반적으로 자연주의 계열의 소설로 분류됨. - 이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야수성, 성격 결함에 따른 비극적 파국, 우연성, 운명 속에 내던져진 한 가족의 삶 등 의 특징은 자연주의 소설로 보는 근거가 된다. - 이러한 자연주의적 특징 외에 유미주의 또는 예술지상주의적 경향도 드러나 있음. - ‘나’는 대동강을 산책하며 삶과 인간에 대한 상념에 잠긴다. 이때 ‘나’는 문득 진시황을 떠올리며 진시황이야말로 가장 인간다운 인간이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그가 진시황을 예찬하는 것은 진시황이 인간의 욕망을 극단적으로 발현한 자아이며 삶을 누구보다도 미학적으로 살았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 2020.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