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지도 접근 방법 - 기능 중심, 전략 중심
※ 읽기 지도 접근 방법 기능 중심 읽기 지도 전략 중심 읽기 지도 관련 모형 상향식 모형 상호작용식 모형 기능/전략의 예 바렛의 축어적 재인 및 회상, 재조직, 추론, 평가, 감상 질문만들기, 예측하기, 정교화하기, 글 구조 활용하기 주요 독해지도 방법 분절적 지도 통합적 지도 작용 및 특성 위계화된 하위 전략의 독립적, 자동적 처리 과정 읽기 과제와 독해 기능, 읽기 수업 모형과 상위인지 학습의 긴밀한 연계 관점 행동주의적 관점 구성주의적 관점 ※ 바렛의 읽기의 하위기능 5가지 ① 축어적 재인 : 세부 내용, 중심 생각, 줄거리, 비교, 원인과 결과 관계, 인물의 특성에 대한 재인 및 회상 ② 재조직 : 유목화, 개요, 요약, 종합 ③ 추론 : 뒷받침이 되는 세부 내용의 추론, 중심 생각, 줄거리, ..
2019. 7. 26.
반의관계의 특성과 유형
반의관계 ▷ 반의관계 : ‘남자/여자, 사다/팔다, 크다/작다’와 같이 상호 공통된 속성을 많이 갖춘 바탕 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 되는 의미관계. 반의관계를 형성하는 단어의 짝을 ‘대립어’라고 함. ▷ 성립요건 : 반의어는 모든 국면에서 의미자질이 공통적이어야 하고, 오직 한 가지 면에서만 의미 자질에 차이가 있어야 성립. 남자 : [+생물], [+동물], [+인간], [+남성] 여자 : [+생물], [+동물], [+인간], [-남성] 여아 : [+생물], [+동물], [+인간], [-남성], [+아이] ▷ 반의어의 특성 - 반의어는 둘 사이에 공통적인 의미요소가 있으면서도 한 개의 요소만 달라야 한다. - 한 단어에 여러 개의 단어가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고유어↔외래어,한자어) - ..
2019. 6. 29.
국어의 역사5 - 근대국어
3 근대 국어 표기 및 음운 •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으로 혼란스러움. (예 : 지베 / 집에 / 집베) • 독립신문 이후부터 (띄어쓰기)가 나타남. • 7종성법 : 받침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일곱 개의 글자만 적도록 함 • 16세기 말부터 (방점)이 소멸됨. • ‘ㅿ, ㆆ , ㆁ’이 표기에서 사라짐. (‘•’)는 음가는 사라지고 표기만 유지됨. • ㅴ,ㅵ와 같은 세 글자 합용 어두자음군 소멸 / 다른 어두자음군 표기에 혼란 존재(‘(뜻)’이 ‘’으로 표기) • 구개음화가 나타남. (예 : 디윌>지윌) • 원순 모음화가 나타남. (믈>물, 블>불, 플>풀) • ‘ㅣ’모음 역행동화(전설모음화) 문법 • 현대 국어와 유사함. • 조사와 결합할 때 형태 바뀌던 체언 고정 (..
2019. 1. 6.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 세종어제 훈민정음 - - 훈민정음(해례본) : 새로 창제된 글자를 반포하기 위해 만든 한문본 예의 세종의 어지, 자모의 음가, 종성법, 글자 운용법 해례 제자원리, 초성·중성·종성, 합자에 관해 실례 들어 설명 정인지 서 훈민정음의 창제 취지, 경위, 가치 등 - 세종어제 훈민정음(훈민정음 언해본) 1446년(세종 28년)에 창제하신 글자를 반포하기 위하여 만든 한문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세종 사후에 언해(諺解)하여 ‘세종 어제 훈민정음’이라 하였다. 전자를 ‘해례본’, 후자를 ‘언해본’이라 한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은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것이 가장 오랜 것이다. ▣ 작자 : 세종대왕과 정인지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 ① 창제자-세종 대왕 ② 협찬자-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이개, ..
2019.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