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42

반의관계의 특성과 유형 반의관계 ▷ 반의관계 : ‘남자/여자, 사다/팔다, 크다/작다’와 같이 상호 공통된 속성을 많이 갖춘 바탕 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 되는 의미관계. 반의관계를 형성하는 단어의 짝을 ‘대립어’라고 함. ▷ 성립요건 : 반의어는 모든 국면에서 의미자질이 공통적이어야 하고, 오직 한 가지 면에서만 의미 자질에 차이가 있어야 성립. 󰃚 남자 : [+생물], [+동물], [+인간], [+남성] 여자 : [+생물], [+동물], [+인간], [-남성] 여아 : [+생물], [+동물], [+인간], [-남성], [+아이] ▷ 반의어의 특성 - 반의어는 둘 사이에 공통적인 의미요소가 있으면서도 한 개의 요소만 달라야 한다. - 한 단어에 여러 개의 단어가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고유어↔외래어,한자어) - .. 2019. 6. 29.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 대화주의 작문이론 1. 형식주의 작문이론 - 단계적 작문모형. 선조적 작문과정 중시 - 필자 내부에서 작문과정을 보는 것이 X, 필자 외부에서 관찰하는 입장에서 작문의 과정을 본 것. (외부적으로 관찰되는 작문결과에 기반을 둔 모형 - 예비작문하기 → 작문하기 → 다시쓰기 - 제일 중요한 것 : 이상적인 모범텍스트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객관화된 지식을 추출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 - 객관화된 지식, 언어, 장르규칙 강조. - 표현 관련 요인 (언어, 사회문화, 심리) 중에 상대적으로 언어 요인에 더 비중을 두는 이론 󰋼 형식주의 작문이론에 따른 작문교육 - 이상적인 모범텍스트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객관화된 지식을 추출 → 학생들에게 제시해주는 것 - 완성된 학생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교정해주는 것 - 문제점 : 학생.. 2019. 6. 28.
과정 중심 작문 교육 ※ 결과중심 접근법과 과정중심 접근법 1) 결과중심 접근법 - 결과 자체를 강조하여 모범적인 글을 제시하고 모방 요구 - 쓴 글에 대해 논평해 주는 방식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것 - 교사는 과제 제시해주고, 한편의 글을 완성한 다음에 그 글을 점검, 평가하는 일을 주로 담당 2) 과정중심 접근법 - 쓰기의 과정을 강조 - 아이디어를 생성, 조직, 표현, 고치는 각각의 과정 중시 - 각 과정 및 단계에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전략을 직접 가르침으로써 쓰기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방식 -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역동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이 필자로서의 책임을 인식하도록 도와주고 일련의 쓰기 과정을 통달할 수 있도록 적절히 안내해주는 역할 ※ 과정중심 작문교육의 특성 - 쓰기를 역동적 의미구.. 2019. 6. 19.
작문 - 내용생성단계의 전략 ※ 내용생성단계의 전략 1)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한 내용생성 ▹브레인스토밍 : 즉흥적으로 주제에 대해 자기의 머릿속에 있는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활동. 아이디어를 최대한 많이 떠올리게 하는 데 목적 떠올리는 순간에는 별다른 논평을 하지 않도록 한다.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하는 활동 2) 내용구조도를 활용한 내용생성 ▹내용구조도 : 아이디어를 계층적인 순서대로 그려넣을 수 있는 역동적인 성격의 방법 수형도, 의미 지도 등 여러 형식으로 나타냄 ▹의의 : 글에 대해 생각하고, 실제로 글을 써나가는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발전되어가는 아이디어를 반영할 수 있 게 함 필자에게 아이디어를 탄력성있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해주고, 필자의 생각을 시각화·구체화할 수 있게 해주며, 어느 지점에서 아이디어들.. 2019. 1. 8.
국어의 역사5 - 근대국어 3 근대 국어 표기 및 음운 •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으로 혼란스러움. (예 : 지베 / 집에 / 집베) • 독립신문 이후부터 (띄어쓰기)가 나타남. • 7종성법 : 받침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일곱 개의 글자만 적도록 함 • 16세기 말부터 (방점)이 소멸됨. • ‘ㅿ, ㆆ , ㆁ’이 표기에서 사라짐. (‘•’)는 음가는 사라지고 표기만 유지됨. • ㅴ,ㅵ와 같은 세 글자 합용 어두자음군 소멸 / 다른 어두자음군 표기에 혼란 존재(‘(뜻)’이 ‘’으로 표기) • 구개음화가 나타남. (예 : 디윌>지윌) • 원순 모음화가 나타남. (믈>물, 블>불, 플>풀) • ‘ㅣ’모음 역행동화(전설모음화) 문법 • 현대 국어와 유사함. • 조사와 결합할 때 형태 바뀌던 체언 고정 (.. 2019. 1. 6.
국어의 역사4 - 중세국어(2) 훈민정음, 소학언해 - 세종어제 훈민정음 - - 훈민정음(해례본) : 새로 창제된 글자를 반포하기 위해 만든 한문본 예의 세종의 어지, 자모의 음가, 종성법, 글자 운용법 해례 제자원리, 초성·중성·종성, 합자에 관해 실례 들어 설명 정인지 서 훈민정음의 창제 취지, 경위, 가치 등 - 세종어제 훈민정음(훈민정음 언해본) 1446년(세종 28년)에 창제하신 글자를 반포하기 위하여 만든 한문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세종 사후에 언해(諺解)하여 ‘세종 어제 훈민정음’이라 하였다. 전자를 ‘해례본’, 후자를 ‘언해본’이라 한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은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것이 가장 오랜 것이다. ▣ 작자 : 세종대왕과 정인지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 ① 창제자-세종 대왕 ② 협찬자-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이개, .. 2019. 1. 6.
국어의 역사3 - 중세 국어(1) 2 중세 국어 표기 및 음운 •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 주로 (이어적기)를 함. (예 : 놈+이 → 노미, 믈+은 → 므른, 바ᄅᆞᆯ+애 → 바ᄅᆞ래 ) 표기법의 종류 이어적기 (연철) 소리나는 대로 적는 표음적 표기 사ᄅᆞ미 끊어적기 (분철) 형태소의 본 모습을 밝혀 적는 표의적 표기 사ᄅᆞᆷ이 거듭적기 (중철) 앞음절의 받침 자음을 두 번 거듭하여 뒤음절 초성으로 표기하는 과도기적 표기 사ᄅᆞᆷ미 • 8종성법 : 종성에 ‘ㄱㄴㄷㄹㅁㅂㅅㅇ’만 표기함 • 방점을 찍어 성조를 표시함. 성조 : 글자 왼쪽에 방점을 찍어 소리의 높낮이와 빠르기 표시 평성 점 없음 낮은 소리 거성 점 1개 높은 소리 상성 점 2개 낮았다가 높아지는 소리 입성 Ø, 1, 2 빨리 끝나는 소리 받침이 ‘ㄱ, ㄷ, ㅂ, ㅅ'으로.. 2019. 1. 5.
국어의 역사2 - 고대국어 우리말의 역사 1 고대 국어 1. 고대 국어의 표기 방법 - 차자 표기(借字 表記) (1) 한자의 음, 뜻 사용 : 인명, 지명 등의 고유명사를 한자의 음, 뜻 이용하여 표기 (2) 서기체, 구결, 이두, 향찰 - 고유 명사의 표기 : 인명이나 지명 같은 우리말 고유 명사를 한자의 뜻과 관계없이 소리만 빌리거나, 혹은 소리와 관계없이 뜻만 빌리는 방식임 - 서기체 : 경주 ‘임신서기석’에서 유래한 문체 한자를 우리말 어순대로 표기 ㅇ + 조사,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 표기X - 이두 : 서기체 표기에 문법 형태소 표기를 첨가한 방식. 행정 문서 기록에 주로 이용되었음 한자를 우리말 어순대로 표기 ㅇ + 조사,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 표기 ㅇ - 구결 : 한문을 읽을 때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가 들어갈 만한.. 2019. 1. 4.
국어의 역사1 - 국어의 계통, 시대사 구분, 한글의 제자원리와 특성 국어의 계통과 국어사의 시대 구분 1. 국어의 계통과 형성 2. 국어의 특징 계통상 : 알타이어족 형태상 : 교착어(첨가어) 문자상 : 표음 문자 3. 국어의 시대 구분 한글의 제자 원리와 특성 1 한글 창제 시기와 창제 이유 • 창제 시기 : 한글은 탄생 기록이 있는 유일한 문자 : 1443년 창제 → 1446년 반포 • 창제 이유 ① 한자 표기는 우리의 말소리와 글자가 일치하지 않아 우리말을 표기하는 데 한계가 있음. ② 일반 백성은 한자를 익히기가 어려워 글을 읽고 쓸 수 없고,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그 뜻을 제대로 전하기가 어려움. (백성이 익히고 쓰기 쉬운 문자 창제) •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의미 ① 오늘날 ‘한글’이라고 부르는 글자의 이름 ② 책의 이름(해례본) • 한글의 창제 정신.. 2019. 1. 3.
중2 천재(김) - 2단원 (1) 올바른 언어생활 - 어문 규범 (교과서 정리) 중2 2학기 중간고사 대비 - 2단원 바른 말, 다채로운 말 (1) 올바른 언어생활 1. 어문 규범이란? ◾ 어문 규범의 뜻 : 언어생활에서 따르고 지켜야 할 공식적인 ( ᄀ ᄎ 과 ᄀ ᄌ ) ◾ 어문 규범의 필요성 : 지역, 세대, 계층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다름(의사소통이 어려움) ⇒ 원활한 ( )을 위해, 공식적인 자리에서 쓸 수 있는 공동의 언어 규범이 필요함 ​ ​ ◾ 종류 표준어 규정 우리나라의 규범이 되는 것으로 정한 말과 그 발음에 대한 규칙 한글 맞춤법 한글로써 우리말을 ( ᄑ ᄀ )하는 규칙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를 우리말로 표현하기 위한 규범 로마자 표기법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현하기 위한 규범 2. 표준어 규정 표준어란? 계층적 조건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시대적 조건 현대 지.. 2018. 2. 27.